↜ Tracking&Travel ↝
이 까페는 여행을 즐기는 사람들을 위한 카페입니다.
여행에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 경북 청도군 ↝
◀ 2023년 0월 0일(1일차) 경북 청도군 관광 트레킹 ▶
↜ 사리암↝내원암↝북대암↝운문사 ↝
~~~~~~~~~~~~~~~~~~~~
↜ 경북 청도군 ↝
◀ 2023년 0월 0일(2일차) 경북 청도군 관광 트레킹 ▶
↜ 사리암 108 번뇌를 10번을 했야 하는 1,080계단 트레킹 ↝
↜ 선암서원, 만화정↝청도삼족대↝청도 적천사 은행나무↝청도읍성↝와인터널 ↝
◀ 2023년 0월 0일(1일차) 경북 청도군 관광 트레킹 ▶
2023년 0월 0일(수) 대전 출발↝사리암 주차장↝내원암 주차장↝북대암 주차장↝운문사 주차장↝프레쉬힐
거리; 237.1km, 시간; 약 4시간소요, 통행료; 약 11,900원, 주유비; 약 37,563원
~~~~~~~~~~~~~~~~~~~~~~~~~~~~~~~~~~~~~
↜ 1일 경로주소 ↝
사리암 주차장; 경북 청도군 운문면 운문사길 503↝내원암 주차장; 경북 청도군 운문면 운문사길 239-117
↝북대암 주차장; 경북 청도군 운문면 운문사길 231-60↝운문사 주차장; 경북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 1784-2
↝프레쉬힐; 청도군 운문면 운문사길 129-15
~~~~~~~~~~~~~~~~~~~~~~~~~~~~~~~~~~~~
↜ 경북 청도군 ↝
◀ 2023년 0월 0일(1일차) 경북 청도군 관광 트레킹 ▶
↜ 사리암↝내원암↝북대암↝운문사 ↝
2023년 0월 0일 경북 청도군 관광 트레킹 코스 ▶
~~~~~~~~~~~~~~~~~~~~~~~~~~~~~~~~~~~~~
↜ 청도 운문사 내원암 산신도 ↝
청도 운문사 내원암 산신도(淸道 雲門寺 內院庵 山神圖)는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 운문사 내원암에 있는 산신도이다. 2010 4월 5일 경상북도의 문화재자료 제572호로 지정되었다. 이 산신도는 견본채색에 세로 99.0cm, 가로 64.4cm인 자그마한 크기의 그림으로서, 화면은 산신과 동자, 호랑이가 중심 圖像을 이루고, 소나무와 바위산, 그리고 원경의 폭포가 배경으로 등장하는 전형적인 형식의 산신도이다. 그림의 전반적인 상태는 양호한 편이나 화면 상단의 채색이 아래 부분에 비해 많이 탁해진 상태이다. 화면 하단의 畵記를 통해 이 그림이 1898년(光武 2)에 內院庵의 金堂에 봉안되었으며, 제작에 東昊震撤, 影雲奉秀, 尙祚, 亘燁 등 4명의 畵師가 참여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 중에서도 首畵師인 東昊震撤은 19세기 후반에 경기도를 중심으로 활동하던 화사로서 1886년 김천 직지사 신중도 이후로는 경상도 지역의 불사에 적극 참여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현재 남아있는 산신도는 대부분 19~20세기에 조악한 기법으로 제작된 것이 많으나, 최근 산신도의 불교신앙적인 의미나 문화사적 의의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는 시점에서 본 산신도가 지니는 의미가 크다고 판단되므로 文化財資料로 지정한다. 다만, 현재 유리창으로 된 알루미늄 틀 내에 보관되어 있어 습도로 인한 안료의 손상이 우려되므로 적절한 보존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
↜ 북대암 ↝
북대암은 창건연대가 확실치 않고 창건자도 신승 혹은 보양국사라는 설이 전해진다. 네 개 암자 중 가장 먼저 세워졌으며 운문사 북쪽에 제비집처럼 높은 곳에 지어져 북대암이라 이름 붙였다고 한다.
가파른 계단 위 작은 전각에는 독성각과 산신각 현판이 나란히 붙어 있다. 뒤로는 거대한 바위 봉우리가 신비로움을 더하고, 법당은 햇살의 품에 안겨 잠든 듯 고요하다. 숨어 있듯 열려 있는 산길을 따라 바위 앞에 이르면 운문사와 북대암이 한 눈에 보인다. 거대한 바위 어딘가에 스님과 보살의 사리가 봉안되어 있다고 한다. 정갈한 나무데크에 앉아 내려다 본 운문사는 한 송이 연꽃이다. 산으로 둘러싸인 운문사, 그 청렴한 정수리가 향기롭게 빛난다.
~~~~~~~~~~~~~~~~~~~~~~~~~~~~~~~~~~~~
↜ 운문사 ↝
운문사(雲門寺)는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 운문사(雲門山)에 있는 사찰이다.
신라 진흥왕 21년(560년)에 산승(神僧)이 창건하여 대작갑사(大鵲岬寺)라 하였다. 608년 원광국사(圓光國師)가 중건하였다. 고려 태조 20년(937년)보양국사(寶壤國師)가 중건하여 작갑사(鵲岬寺)라고 하였다. 태조 26년(943년) 태조가 운문선사(雲門禪寺)라 사액하여 운문사(雲門寺)라 불리게 되었다. 숙종 10년(1105년) 원진국사(圓眞國師)가 중창하였는데, 임진왜란 때 당우 일부가 불탔다. 조선 숙종 16년(1690년) 설송(雪松)이 중건하였다. 현재는 바구니 전문강원으로 알려져 있다. 보물 제193호; 청도 운문사 금당 앞 석등(淸道 雲門寺 金堂 앞 石燈), 보물 제208호; 청도 운문사 동호(淸道 雲門寺 銅壺) 보물 제316호; 청도 운문 원응국사비(淸道 雲門寺 圓鷹國師碑), 보물 제317호; 청도 운문사 석조여래좌상(淸道 雲門寺 石造如來坐像)보물 제318호; 청도 운문사 석조사천왕상(淸道 雲門寺 石造四天王像), 보물 제678호; 청도 운문사 동.서 삼층석탑(淸道 雲門寺 東ㆍ西 三層石塔)보물 제835호; 청도 운문사 대웅보전(淸道 雲門寺 大雄寶殿), 보물 제1613호; 청도 운문사 비로자나삼신불회도(淸道 雲門寺 毘盧遮那三身佛會圖)보물 제1817호; 청도 운문사 대웅보전 관음보살 달마대사 벽화(淸道 雲門寺 大雄寶殿 觀音菩薩 達摩大師 壁畵)천연기념물 제180호; 청도 운문사 처진소나(淸道 雲門寺 처진소나무)
~~~~~~~~~~~~~~~~~~~~~~~~~~~~~~~~~~~~~~~
↜ 운문사 주변숙박업소 ↝
프레쉬힐; 054-371-0700, 경북 청도군 운문면 운문사길 129-15(일반실 6만원 )
청도 풍금소리펜션; 054-371-1741, 경북 청도군 운문면 운문로 1741(동, 서, 남 (4인기준)2층 1십 5만원)
미가람펜션; 010-3840-4008, 경북 청도군 운문면 운문로 1430-8(동, 서, 남 (4인기준)2층 1십 5만원)
↜ 경북 청도군 ↝
◀ 2023년 0월 0일(2일차) 관광 트레킹 ▶
2023년 0월 0일(목) 프레쉬힐↝선암서원, 만화정 주차장↝청도삼족대 주차장↝청도 적천사 은행나무 주차장
↝청도읍성 주차장↝와인터널 주차장↝대전
거리; 282.4km, 시간; 약 5시간소요, 통행료; 약 11,900원, 주유비; 약 44,739원
~~~~~~~~~~~~~~~~~~~~~~~~~~~~~~~~~~~~
↜ 2일 경로주소 ↝
선암서원, 만화정 주차장; 청도군 금천면 신지리 352↝청도삼족대 주차장; 청도군 매전면 청려로 3836-13
↝청도 적천사 은행나무 주차장; 경북 청도군 청도읍 원리 979↝청도읍성 동문주차장; 청도군 화양읍 동천리 251-2
↝와인터널 주차장; 경북 청도군 화양읍 송금길 100
~~~~~~~~~~~~~~~~~~~~~~~~~~~~~~~~~~~~
↜ 경북 청도군 ↝
◀ 2023년 0월 0일(2일차) 경북 청도군 관광 트레킹 ▶
↜ 사리암 108 번뇌를 10번을 했야 하는 1,080계단 트레킹 ↝
↜ 선암서원, 만화정↝청도삼족대↝청도 적천사 은행나무↝청도읍성↝와인터널 ↝
청도 운문사에 사리암 가는 길이 좋다고 한다. 원래는 솔바람 구간이 일부 있으며 생태 탐방로를 거쳐 사리암까지 가는 것인데 왕복 10km 정도 되는 길로 사리암 올라가는 길은 계단으로 되어 있는데 이곳 사람 말로는 108 번뇌를 10번을 했야 하는 1,080계단으로 되어 있다고 하는데 정말 끝없이 올라가는 것 같았다. 길의 시작은 운문사 주차장에서 부터 시작된다.
2023년 0월 0일 사리암 트레킹 코스 ▶ 운문사 주차장↝처음 시작되는 길은 솔바람 길↝테크길↝이정표(사리암 2.3km, 문수서원 0.8km)↝문수서원방면으로 진행↝포장길↝안내간판, 생태보존 탐방로(운문 반시길1.4km 약 28분, 신화랑 풍류체험길 0.9km 약18분, 운문 녹색길 1.0km 약 20분, 운문 전나무길 1.0km 약 20분), 운문블루웨이(총 8.7km) 전망대길 2.7km 약 2시간 30분, 아랫재길 3.0km 약 3시간, 학심이골 길 3.0km 약 3시간)-운문숲길(총17.6km) 자연관찰길 2.1km 약 1시간 24분, 문화의 숲길 1.7km 약 1시간 8분, 운문경관 숲길 3.6km 2시간 24분, 푸른숲 탐방길 3.4km 2시간 16분, 향기의 숲길 2.9km 약 1시간 56분, 대화의 숲길 2.1km, 약 1시간 24분, 역사의 숲길 1.8km, 약 1시간 12분)↝사리암 가는 차도↝문수선원↝숲길↝도로옆 테크길↝이정표(아래재삼거리 2.4km, 운문사 1.6km)↝사리암 주차장↝사리암 표지석↝포장길 오름길↝사리암 입구 돌계단 오름길↝1,080계단 오름길↝108 번뇌를 10번을 반복하면서 올라가면↝사리암, 불당, 천태각↝U↝
~~~~~~~~~~~~~~~~~~~~~~~~~~~~~~~~~~~~
↜ 선암서원 ↝
선암서원은 삼족당 김대유와 소요당 박하담을 모신 서원으로 선조 원년(1567)에 매전면 동산동 운수정에 두분의 위패를 모시고 향현사라 하다가, 선조 10년(1577)에 지금의 위치로 옮기고 선암서원이라 하였다. 숙종 2년(1676)에 다시 지었으나, 고종 5년(1868)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 지금의 건물들은 고종 15년(1878)에 박하담의 후손들이 다시 지은 것이다. 대문을 들어서면, 안채와 득월정·행랑채가 ㄷ자 형을 이루고 그 뒤쪽으로는 선암서당이 있다. 선암서당은 앞면 5칸·옆면 2칸의 규모이며, 가운데 3칸은 대청마루이고 그 양쪽으로는 방을 들였다. 대문채의 남쪽칸으로는 송은·우당·소요당·제우당 등 14의사의 문집목판이 보관되어 있다.
~~~~~~~~~~~~~~~~~~~~~~~~~~~~~~~~~~~~
↜ 사리암 ↝
사리암(邪離庵)은 고려 초의 고승 보량이 930년(태조 13)에 창건하였다. 조선 후기인 1845년(헌종 11)에 정암당 효원이 중창하였다. 1851년(철종 2) 10월 13일 증명법사 동호, 지윤과 승려 만점, 선화 등이 나반존자상을 봉안하였으며, 같은 해 독성 탱화를 제작해 안치하였다. 그 후 영험이 있는 나반존자의 기도도량으로 부상하였다. 승려 신파가 천태각을 건립하였다. 1924년에 증축하고 1935년에 중수하였다. 1965년 경봉선사가 산신탱화를 봉안하였으며, 금호선사가 천태각 밑에 중수비를 건립하였다. 1980년에는 비구니 혜은이 3층의 요사를 신축하였으며, 1983년 관음전, 자인실, 정랑 등을 개축하였다. 천태전 밑에 있는 사리굴은 운문산 4굴의 하나이다. 현재 운문사의 말사로 불교의 나반신앙을 이해하는 데 참고가 되는 사찰이다.
~~~~~~~~~~~~~~~~~~~~~~~~~~~~~~~~~~~~~
↜ 언어 추가청도 적천사 은행나무 ↝
1998년 12월 23일에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수령은 약 800년으로 추정되며, 나무의 높이는 28m, 가슴높이의 줄기둘레는 8.5m이다. 이 나무는 청도역에서 남쪽으로 약 6㎞쯤 떨어진 화학산 기슭의 적천사(磧川寺) 입구에 두 그루의 은행나무가 있는데, 그 지반은 거의 평지이다. 나무의 높이가 높고 줄기가 굵으며, 수관폭이 넓은 거목이다. 전체적으로 외적인 손상이 없고 영향상태가 좋으며, 수형이 매우 아름답다. 보조국사(普照國師) 지눌(知訥)이 적천사를 중건한 뒤 짚고 다니던 은행나무 지팡이를 심은 것이 자라서 이처럼 큰 나무로 되었다고 전해지고 있다. 이러한 삽목전설은 다른 곳에서도 찾아볼 수 있으나 흔한 예는 아니다.
~~~~~~~~~~~~~~~~~~~~~~~~~~~~~~~~~~~~
↜ 청도읍성 ↝
고려 때부터 있었던 것으로 당시의 성은 석축과 토축, 혼합 토성으로 성내에는 관아와 객관, 유향소, 군기고, 서역소, 작청 등의 건물이 있었다. 선조 23년(1590년)에는 원래 토축성이었던 것을 석축성으로 고쳤으나 임진왜란 때 동, 서, 북문은 소실되었고 성벽이 파괴되었던 것을 후에 성벽의 수축과 문루의 재건이 있었으나 일제 강점기의 읍성철거정책으로 다시 성벽이 헐렸다. 현재는 도시의 확장으로 성벽 일부와 기저만 남아 있다.
~~~~~~~~~~~~~~~
↜ 청도석빙고 ↝
청도 석빙고는 동천(東川)으로 불리는 작은 하천에서 불과 50m 가량 떨어진 지점에 위치해 있다. 현재 남아 있는 석빙고의 석재를 분석한 결과 크게 안산암류와 화강암류로 이루어진 사실이 확인되었는데, 이러한 암석은 석빙고 남쪽에 위치한 화악산 일대에서 쉽게 관찰된다. 따라서 청도 석빙고는 동천에서 채취한 얼음을 저장하기 위해 화악산 일대에서 석재를 운반해 축조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청도 석빙고는 빙실의 평면이 장방형이라는 점을 비롯해 홍예와 장대석을 이용한 천장 마감, 빙실 내부의 배수를 위해 경사진 지형을 활용한 점 등 구조적인 면에서 다른 석빙고와 공통된다. 그러나 다른 석빙고의 무사석이 장대석으로 되어 있는 것과 달리, 청도 석빙고는 자연석을 이용하였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
↜ 와인터널 ↝
옛 경부선 철도 터널이었던 폐 터널을 활용하여 청도 특산품인 반시(감)로 만든 와인의 숙성, 카페로 이용하고 있는 곳이다. 와인터널은 1.01km 길이에 높이 5.3m, 폭 4.5m규모로 15만병이 넘는 와인을 저장, 숙성하고 있다. 바깥 온도에 관계없이 연중 15도의 온도와 70~80%의 습도를 유지해 와인 숙성 및 보관에 최적지이며, 시원한 곳에서 와인을 맛볼 수 있는 ‘와인터널’은 청도군민은 물론 인근 대구 등의 주민들에게 여름 최고의 피서지로 각광을 받았으며, 병마다 자신들만의 사연을 적어 보관할 수 있어 훗날 다시 찾아와 추억을 되살릴 수도 있다.
영업시간; 월~금 09:30 ~ 19:00, 토,일 09:30 ~ 20:00, 공휴일; 09:30 ~ 19:00
~~~~~~~~~~~~~~~~~~~~~~~~~~~~~~~~~~~~
[주의] 안내도 정보는 도보 이동 경로 구성을 위한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십시오.
현재 도보 탐색 경로가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이 점 양해 바랍니다.
~~~~~~~~~~~~~~~~~~~~~~~~~~~~~~~~~~~~
청도 운문사↝사리암↝내원암↝북대암 안내도 ▼
청도 사리암 안내도 ▼
청도 문수서원 안내도 ▼
청도 내원암 안내도 ▼
청도 북대암 안내도 ▼
청도 운문사 안내도 ▼
청도 선암서원, 만화정, 신지생태공원 안내도 ▼
청도 삼족대 안내도 ▼
청도 적천사은행나무 안내도 ▼
청도읍성 안내도 ▼
'❈전국 시,군 여행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북 김천 여행 자료▶오봉저수지 둘레길↝연화지↝구화사↝삼성암↝난함산 (1) | 2023.02.05 |
---|---|
경북 청도(1박2일) 여행 자료▶공암풍벽↝길부지↝대비사↝연지, 군자정↝자계서원↝청도향교↝청도 신둔사↝청도 덕사 (1) | 2023.02.05 |
경북 성주 여행 자료▶독용산성↝회연서원↝성주 심원사↝성주향교 대성전 및 명륜당 (1) | 2023.02.05 |
경북 고령군(1박2일) 여행 자료▶중화저수지↝고령장기리암각화↝대가야생활촌(대가야카라반)↝김면장군유적↝고령 지산동 고분군↝반룡사 (1) | 2023.02.05 |
경북 칠곡군(1박2일) 여행 자료▶가산산성↝가산산성 진남문↝동명지수변공원↝도봉사↝성곡지↝유학지↝관호산성둘레길, 칠곡보↝신유장군유적↝두만지 (0) | 2023.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