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국 시,군 여행 자료

경북 청도(1박2일) 여행 자료▶공암풍벽↝길부지↝대비사↝연지, 군자정↝자계서원↝청도향교↝청도 신둔사↝청도 덕사

by 여행을즐기는사람 2023. 2. 5.
728x90

↜ Tracking&Travel 

이 까페는 여행을 즐기는 사람들을 위한 카페입니다.

여행에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 경북 청도군 

 2023년 0월 0일(1일차) 경북 청도군 관광 트레킹 

길부지 둘레길 트레킹 

대비사 

↜ 공암풍벽길 트레킹 

↜ 운문호반 에코트레일길거연정전망데크(풍호대)직벽전망대풍벽휴게데크(공암) 

~~~~~~~~~~~~~~~~~~~~

↜ 경북 청도군 

 2023년 0월 0일(2일차) 경북 청도군 관광 트레킹 

↜ 연지 둘레길 트레킹덕사 트레킹 

↜ 유호연화, 연지, 군자정자계서원청도향교청도신둔사청도덕사 ↝

 2023년 0월 0일(1일차) 경북 청도군 관광 트레킹 

2023년 0월 0일(수) 대전공암리 복지회관(공암풍벽) 주차장길부지 주차장대비사 주차장쉼모텔(무인모텔)

거리; 약 261.7km,  시간; 약 5시간소요,  통행료; 약 10,000원.  주유비; 약 41,460

~~~~~~~~~~~~~~~~~~~~~~~~~~~~~~~~~~~~~

 1일 경로주소 

공암리 복지회관 주차장; 경북 청도군 운문면 공암길 64길부지 주차장; 경북 청도군 금천면 신지리 1422-2

대비사 주차장; 경북 청도군 금천면 박곡길 590쉼모텔(무인모텔); 경북 청도군 화양읍 삼신길 21-7

~~~~~~~~~~~~~~~~~~~~~~~~~~~~~~~~~~~~

↜ 경북 청도군 

 2023년 0월 0일(1일차) 경북 청도군 관광 트레킹 

길부지 둘레길 트레킹 

대비사 

↜ 공암풍벽길 트레킹 

↜ 운문호반 에코트레일길거연정전망데크(풍호대)직벽전망대풍벽휴게데크(공암) 

2023년 0월 0일 공암풍벽길 트레킹 공암리 복지회관 앞에 주차를 하고 공암풍벽으로진행운문호반 에코트레일길 시작거연정시멘트 포장길이정표(휴게토크(공암), 내려가는길)검정하우수앞에서 2시방향으로 진행야자메트길운문댐의 상류 뷰~운문호반 에코트레일 안내간판테크길벌판 습지 뷰~전망데크(풍호대)공암풍벽 뷰~테크길암벽사이길조망점암벽사이로 난 좁은 길오름길직벽전망대 풍벽아래로 흐르는 운문천 뷰~오름길 운문댐뷰~능선길공암풍벽길 (공암)반환점U공암리 복지회관

왕복 거리;  약 1.6km,  시간; 약 1시간소요. 

~~~~~~~~~~~~~~~~~~~~~~~~~~~~~~~~~~~~
↜ 공암풍벽 

공암풍벽은 운문면 대천리에서 경주로 가는 길목인 운문면 공암리에 자리잡고 있는 높이 30여m의 반월형 절벽을 말하여 청도의 대표적 경관인 청도팔경의 하나로 봄이면 진달래를 비롯한 백화가 만발하고 여름이면 운문천의 맑고 푸른물이 곡천대를 감돌아 흐르는 모습을 보면 더위를 잊게 하여 과연 절경이고,특히 가을이면 풍벽이란 이름과 같이 오색의 단풍이 하나의 벽을 이루고 겨울에는 주위 송림의 푸른 기상은 우리고장 선비들의 고절을 상징하는 

~~~~~~~~~~~~~~~~~~~~~~~~~~~~~~~~~~~~

↜ 대비사  

589년(신라 진평왕 11) 원광법사가 창건하였다고 하며, 고려 인종 때 원응이 중창하였다. 현재 경내에 있는 대웅전(보물 제834호)은 17세기경에 다시 지은 것으로 추정되는데 건물의 세부기법에 조선 초기의 수법이 남아 있어 주목된다. 건물의 규모는 앞면 3칸, 옆면 3칸의 다포식 맞배지붕으로 단아한 느낌을 준다. 자연석 주춧돌 위에 둥근 기둥을 세우고 기둥머리에 창방과 평방을 돌렸으며 공포는 내3출목·외2출목으로 되어 있는데, 아래로 처지면서 곡선을 이룬 쇠서와 끝이 사절된 살미첨차에서 조선 초기의 수법이 보인다. 건물 내부의 단청이 아름답고 뛰어나다.

~~~~~~~~~~~~~~~~~~~~~~~~~~~~~~~~~~~~

↜ 남성현 초등학교 주변 숙박시설 

쉼모텔(무인모텔); 054-372-1261, 경북 청도군 화양읍 삼신길 21-7

(호텔침구/65인치스마트TV/System에어컨/월풀(연수물)/소독100%) 

(VIP룸-스파월풀/1실1주차주중 5만원, 주말 6만원,(복층룸-루프탑테마/스파월풀 주중 6만원, 주말 7만원)

호텔 엑스2; 야놀자에서 예약하기 경북 청도군 화양읍 삼신길 21-10

(디럭스-1실1주차/오픈특가(넷플&웨이브가능/스마트TV/공기청정기/2인스파/전자렌지/호텔침구/세스코) 5만원)

뮤모텔; 야놀자에서 예약하기 경북 청도군 화양읍 이슬미로 297-29

(스탠다드 5만 3천원,  스탠다드 4만원디럭스 5만원, 프리미엄 5만 5천원, 스위트 6만원)

 경북 청도군 

 2023년 0월 0일(2일차) 경북 청도군 관광 트레킹 

2023년 0월 0일(목) 쉼모텔연지 주차장자계서원 주차장청도향교 주차장청도신둔사 주차장

청도덕사 주차장대전

거리; 약 230.0km,  시간; 약 3시간 30분,  통행료; 약 11,900원 ,  주유비; 약 36,438

~~~~~~~~~~~~~~~~~~~~~~~~~~~~~~~~~~~~

 2일 경로주소 

유호연화,연지. 군자정 주차장; 청도군 화양읍 유등리 1741-12자계서원 주차장; 청도군 이서면 자계서원길 17-7

청도향교 주차장; 경북 청도군 화양읍 동교길 36청도신둔사 주차장; 경북 청도군 화양읍 동천리 658

청도덕사 주차장; 경북 청도군 화양읍 송북리 12

~~~~~~~~~~~~~~~~~~~~~~~~~~~~~~~~~~~~

↜ 경북 청도군 

 2023년 0월 0일(2일차) 경북 청도군 관광 트레킹 

↜ 연지 둘레길 트레킹덕사 트레킹 

↜ 유호연화, 연지, 군자정자계서원청도향교청도 신둔사청도 덕사 

2023년 0월 0일 경북 청도군 관광 트레킹 코스 

~~~~~~~~~~~~~~~~~~~~~~~~~~~~~~~~~~~~

↜ 유호연화 

이 저수지는 모헌 이 육선생이 무오사화(戊午士禍)로 인해 화양읍 유등리에 은거하면서 연을 심고 군자정을 세운데서 유명해졌다. 이 곳이 자연경관이 뛰어난데다가 연꽃이 만개할 때는 일대장관을 이루어 청도팔경 중 하나로 일컬어진다. 이 곳 정자를 군자정이라고 한 것은 송나라 학자 엽계 주돈의 ' 花之君子'에 의한 것으로 1531년 (중종 26년)에 창건하여 그후 중수중건을 거듭하다가 현재 정자는 1970년 중건한 것이다. 이 육 선생은 이 곳에서 강학수교로 인·의·예를 바탕으로 한 유풍진작(儒風振作)을 향내에 펼쳤다.

~~~~~~~~~~~~~~~~~~~~~~~~~~~~~~~~~~~~

↜ 자계서원 

‘자계’는 연산군 4년 무오사화(1498)로 김일손이 화를 입자 서원 앞을 흐르는 냇물이 3일 동안 붉게 변한데서 유래하였으며, 서원 이름도 자계서원이라 부르게 되었다. 지금 남아있는 건물로는 사당인 존덕사와 제사준비를 하는 전사청, 강당인 보인당, 신문, 영귀루, 동·서재 등이다. 이 중 영귀루와 동재·서재가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영귀루는 서원에서의 여러 행사를 하고, 학생들이 모여 시를 짓고 풍류를 즐기던 곳이다. 동재와 서재는 학생들이 공부하고 숙식하는 생활공간이다. 영귀루 옆에는 김일손이 심었다고 전하는 은행나무가 있고, 원정비·신도비 등이 비각 안에 있다. 『연려실기술』등 수십 권의 문집이 소장되어 있으며, 유물로는 칠현금이 보관되어 있다. 지금은 교육기능은 없어지고, 매년 2월과 8월에 제사만 지내고 있다.

~~~~~~~~~~~~~~~~~~~~~~~~~~~~~~~~~~~~~

↜ 청도향교 

향교는 훌륭한 유학자를 제사하고 지방민의 유학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나라에서 지은 교육기관이다.

조선 선조 1년(1568)에 고평동에 세웠던 것을 영조 10년(1734)에 지금의 자리에 옮겨 지었다. 화양향교라고도 부른다. 향교 내의 건물로는 사당 출입문인 내삼문, 사당인 대성전과 동·서무, 공부하는 곳인 명륜당과 동·서재 등이 있다. 그런데 건물 배치 중 일반적으로 명륜당이 앞에 있고 대성전이 뒤에 있는 전학후묘의 배치가 아니라 대성전과 명륜당이 좌우에 놓여 있어 특이하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전적·노비 등을 받아 학생들을 가르쳤으나 갑오개혁(1894) 이후 제사만 지내고 있다. 청도향교는 특이한 건물 배치를 가진 유서 깊은 향교이다.

~~~~~~~~~~~~~~~~~~~~~~~~~~~~~~~~~~~~~

↜ 청도 신둔사 

청도 신둔사 영산보탑 및 탑비(淸道 薪芚寺 靈山寶塔 및 塔碑)는 경상북도 청도군에 있는 석탑과 석비이다. 2014년 10월 29일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제618호로 지정되었다. 전통 석탑의 형식을 바탕으로 곡률이 거의 없는 처마선, 급한 낙수면, 간결한 형태미 등을 보여주는 근대기 대표적인 석탑이다.

석탑과 석비로서 명확한 제작 경위와 제작 연대 등이 기록되어 있고, 동시기 석탑연구의 기준작으로서 중요하다.

~~~~~~~~~~~~~~~~~~~~~~~~~~~~~~~~~~~~~

↜ 청도 덕사 영산전 석조여래삼존상 및 십육나한상 ↝

2007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석조여래상 높이 92.7㎝, 미륵보살좌상(좌) 높이 82.5㎝, 제화갈라보살좌상(우) 높이 76.5㎝. 주구산에 위치한 덕사 영산전(靈山殿)에 봉안되어 있는 석조여래삼존상 및 십육나한상으로 모두 21구이다. 본존불상인 석가여래상 내부에서 발원문이 발견되어 1678년 조각승 승호(勝浩)가 이 불상들을 제작하였음이 밝혀졌다.

석가여래상과 미륵보살상·제화갈라보살상으로 구성된 석가여래삼존상을 중심으로 좌우에 가섭존자와 아난존자상을 포함한 십육나한상, 사자상 2구가 대칭을 이루며 배치되었다. 이들 존상들은 방형의 큰 얼굴, 짧은 신체, 평면적인 옷주름 표현, 불석 재료 등이 주목되는 공통적인 특징이다.

~~~~~~~~~~~~~~~~~~~~~~~~~~~~~~~~~~~~

[주의] 안내도 정보는 도보 이동 경로 구성을 위한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십시오. 

       현재 도보 탐색 경로가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이 점 양해 바랍니다.  

~~~~~~~~~~~~~~~~~~~~~~~~~~~~~~~~~~~~

청도 공암풍벽 안내도 

청도 길부지 안내도 

청도 대비사 안내도 

청도 연지, 군자정 안내도 

청도 자계서원 안내도 

청도향교 안내도 

청도 덕사 안내도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