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국 시,군 여행 자료

경북 성주 여행 자료▶독용산성↝회연서원↝성주 심원사↝성주향교 대성전 및 명륜당

by 여행을즐기는사람 2023. 2. 5.
728x90

↜ Tracking&Travel 

이 까페는 여행을 즐기는 사람들을 위한 카페입니다.

여행에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경북 성주 

 2023년 0월 0일 경북 성주 관광 트레킹 

↜ 독용산성회연서원성주 심원사성주향교 대성전  명륜당 ↝

 2023년 0월 0일 경북 성주 관광 트레킹 

 

2023년 0월 0일(수) 대전 출발독용산성 진입로회연서원 주차장성주 심원사 주차장

성주향교 대성전  명륜당 주차장대전

 거리; 약 314.8km,  시간; 약 5시간 30분소요,  통행료; 약 15,000원,  주유비; 약 52,534

~~~~~~~~~~~~~~~~~~~~~~~~~~~~~~~~~~~~~~~

 경로주소 

독용산성 진입로; 성주군 가천면 금봉리 171-1지나 삼거리에서 독용산성방면 성주군 금수면 봉두리 산 110

회연서원 주차장; 경북 성주군 수륜면 동강한강로 9성주 심원사 주차장; 경북 성주군 수륜면 백운리 1840-1

성주향교 대성전 및 명륜당 주차장; 경북 성주군 성주읍 예산리 221-2

~~~~~~~~~~~~~~~~~~~~~~~~~~~~~~~~~~~~~~~

 경북 성주 

 2023년 0월 0일 경북 성주 관광 트레킹 

↜ 독용산성회연서원성주 심원사성주향교 대성전  명륜당 ↝

2023년 0월 0일 성주 관광 트레킹 코스 독용산성회연서원성주 심원사성주향교 대성전 및 명륜당 

~~~~~~~~~~~~~~~~~~~~~~~~~~~~~~~~~~~~~~~

↜ 독용산성 ↝

성주군 가천면 금봉리에 위치한 독용산성은 소백산맥의 주봉인 수도산의 줄기인 해발 955m의 독용산 정상에 위치하고 있다. 산성의 둘레는 7.7km(높이 2.5m, 폭 1.5m)에 이르며, 산성내 수원이 풍부하고 활용공간이 넓어 장기 전투에 대비하여 만들어진 포곡식 산성(包谷式 山城)으로 영남지방에 구축한 산성중 가장 큰 규모이다. 그리고 성의 축조 연대는 정확하게 알 수 없으나, 1,500년전 성산 가야 때 쌓은 것으로 추측되며 임진왜란을 피하던 중 발견되었다고 한다. 조선 숙종 원년(1675년) 관찰사 정중휘가 개축하여, 동서남북 7개 포루, 아치형의 동문, 수구문, 남소문 등이 있었으며, 동서군량고가 있어 성주, 합천, 거창의 군량미도 보관하였다. 군기고(軍器庫, 일제시 유물발굴)에는 쇠도끼, 쇠창, 쇠화살, 삼지창, 말안장, 갑옷 등이 출토되었으며, 별장1, 승장1, 호병44호로서 산성을 방어하였다 한다.
성주군에서는 1997년부터 성곽을 복원할 계획을 세워, 훼손된 성곽의 일부와 아치만이 남아 있던 동문을 보수하여 원형으로 복원하였으며, 성내에 관아터, 사지가 산재하고 있다. 독용산성에 대한 역사적 기록은 이원정(李元楨)이 1677년에 편찬한 《경산지(京山誌)》를 통해 나타난다. 그 책에 따르면 합천과 거창의 군사가 배속되었고, 성 안에는 3개의 계곡, 객사, 군기고 등등이 있다고 기록한 것으로 보아 정중휘가 개축할 당시의 규모를 짐작할 수 있다. 동문지(東門址), 서문지, 남문지, 북문지, 동암문지(東暗門址), 서문암지, 남문암지, 수구문지(水溝門址), 동치성(東雉城), 서치성, 객사지, 군기고지, 안국사지와 건립연대를 알 수 없는 비석 5기가 있다.

~~~~~~~~~~~~~~~~~~~~~~~~~~~~~~~~~~~~~~~

↜ 회연서원 ↝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에 있는 조선후기 정구와 이윤우를 추모하기 위해 창건한 서원. 시도유형문화재.

1622년(광해군 14)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정구(鄭逑)와 이윤우(李潤雨)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 위패를 모셨다. 1690년(숙종 16)에 ‘회연(檜淵)’이라 사액을 받아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왔다.

1868년(고종 5)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으나 1974년에 정부의 보조와 지방유림의 협력으로 복원하였다. 경내의 건물로는 3칸의 사우(祠宇), 6칸의 강당, 각 3칸의 동재(東齋)와 서재(西齋), 신문(神門), 외문(外門), 4칸의 숙야재(夙夜齋), 고사(庫舍), 별사(別祠), 비각, 신도비등이 있다.

사우에는 정구와 이윤우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강당은 중앙의 마루, 양쪽 협실로 되어 있는데, 원내의 여러 행사와 유림의 회합 및 학문토론장소로 사용되고 있다. 동재·서재는 수학하는 유생들이 거처하는 곳이며, 신도비의 비문은 신흠(申欽)이 정구와 이윤우의 학문·덕행 및 공적을 찬양한 글이다.

이 서원에서는 매년 2월 중정(中丁 : 두 번째 丁日)과 8월 중정에 향사를 지내고 있으며, 제품은 4변(籩)4두(豆)이다. 유물로는 용두장(龍頭杖)과 가죽신·창의 등 여러 점이 보관되어 있으며, 소장전적은 목판본과 《심경발휘 心經發揮》 외에 수십권이 보관되어 있다. 재산으로는 전답 4,600평, 임야 9,000평, 대지 1,500평 등이 있다.

~~~~~~~~~~~~~~~~~~~~~~~~~~~~~~~~~~~~~~~

↜ 성주 심원사 ↝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백운리 가야산 동쪽 자락에 위치한 심원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의 사찰이다. 가야산은 예로부터 해동의 8승지 중 하나이며 수많은 시인 묵객의 영감의 원천지였다. 가야산은 1972년에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백운동 심원사는 성주읍으로부터 27km 떨어진 곳에 자리하고 있는데, 주봉인 칠불봉은 해발 1433m이다.멀리 앞에 보이는 팔공산 위로 솟아오르는 황금빛 세상을 안으며 가야산의 하루는 장엄한 일출로 문을 연다. 힘차게 솟은 장군봉과 연이어 있는 만물상과 칠불봉의 신령스러움은 남성적인 가야산의 정수를 느끼게 한다. 가야산 백운동으로 들어서면 넓은 주차장 옆으로 '까마귀 검다하고 백로야 웃지 마라. 겉이 검은들 속까지 검을쏘냐. 겉 희고 속 검은 건 너뿐인가 하노라'라는 시조를 지은, 조선 태종 때의 영의정을 지낸 이직(李稷) 선생의 시비가 있고, 그 옆으로 심원사 표지가 보인다.
울창한 소나무 숲길을 따라 걷다보면 높은 축대 위로 웅장한 사찰이 나타난다. 정면 중앙 계단을 올라서면 가운데에 보이는 고탑과 그 뒤에 화려한 대웅전이 자리하고 있다. 대웅전 왼편으로는 극락전, 오른편으로 목탑형식의 아름다운 약사전이 자리하고 있다. 그 밑의 중앙에는 9세기 초에 조성된 심원사 삼층석탑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116호)과 아름다운 형식의 광배, 석조 유물 일괄(경상북도 문화재자료 525호) 등 다수의 문화재가 있다. 탑의 양 옆으로는 똑같은 형식으로 건축된 관음전, 문수전이 자리하고 있다.

~~~~~~~~~~~~~~~~~~~~~~~~~~~~~~~~~~~~~~~

↜ 성주향교 대성전 및 명륜당 ↝

성주향교는 전면에서 볼 때 명륜당이 좌측에 자리하고 우측에 대성전이 위치하는 좌우의 배치법을 지니고 있다. 대성전은 다포형식으로 우리나라 향교 가운데 문묘, 익산향교 대성전 외, 댁궇향교 예댓성전문 다포형식으로 중기의 수법들이 잘 보존되고 있다. 특히 다포건축이면서 천장을 설치하지 않았고, 다포이면서도 유교건축에 맞게 내부구성을 매우 간략하게 처리한 점 등은 주목된다. 명륜당은 전면 퇴칸을 두고 가운데 마루가 깔린 전형적인 중당협실형의 평면구성이다. 온돌방 상부는 고락을 설치하여 수장공간으로 활용한 듯하며 창호의 구성에서 고식들이 남아있다. 좌측 온돌방 측면에 문틀의 흔적이 남아있으며 지붕은 맞배로 처리하였다. 대성전은 중건가 (섡확히8년밝 1605년진 17세기 초기 다포식 건축물로 건축양식에서 당시의 모습들이 잘 보존되고 있으며, 명륜당 또한 평면구성과 창호수법 등에서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서의 역사적·예술적·학술적 가치가 충분하다.

~~~~~~~~~~~~~~~~~~~~~~~~~~~~~~~~~~~~~~~

[주의] 안내도 정보는 이동 경로 구성을 위한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십시오. 

       현재 탐색 경로가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이 점 양해 바랍니다.  

~~~~~~~~~~~~~~~~~~~~~~~~~~~~~~~~~~~~

성주 독용산성 안내도 

성주 회연서원 안내도 

성주 심원사 안내도 

성주향교 대성전 및 명륜당 안내도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