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국 시,군 여행 자료

경북 고령군(1박2일) 여행 자료▶중화저수지↝고령장기리암각화↝대가야생활촌(대가야카라반)↝김면장군유적↝고령 지산동 고분군↝반룡사

by 여행을즐기는사람 2023. 2. 5.
728x90

↜ Tracking&Travel 

이 까페는 여행을 즐기는 사람들을 위한 카페입니다.

여행에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 경북 고령군 

 2023년 0월 0일(1일차) 경북 고령군 관광 트레킹 

↜ 중화저수지 둘레길 트레킹 

↜ 중화저수지고령장기리암각화대가야생활촌 ↝

~~~~~~~~~~~~~~~~~~~~

↜ 경북 고령군 

 2023년 0월 0일(2일차) 경북 고령군 관광 트레킹 

↜ 김면장군유적고령 지산동 고분군반룡사 ↝

 2023년 0월 0일(1일차) 경북 고령군 관광 트레킹 

2023년 0월 0일(수) 대전 출발중화유원지 주차장고령장기리암각화 주차장대가야생활촌 주차장

대가야카라반(숙박)

거리;  172.3km,  시간; 약 3시간소요,  통행료; 약 7,200원,  주유비; 약 27,297

~~~~~~~~~~~~~~~~~~~~~~~~~~~~~~~~~~~~~

 1일 경로주소 

중화저수지 주차장; 경북 고령군 대가야읍 낫질로 208&경북 고령군 대가야읍 쾌빈리 556-13

고령장기리암각화 주차장; 경북 고령군 대가야읍 장기리 534

대가야생활촌(대가야카라반) 주차장; 고령군 대가야읍 신남로 81대가야카라반; 고령군 대가야읍 신남로 61

~~~~~~~~~~~~~~~~~~~~~~~~~~~~~~~~~~~~

↜ 경북 고령군 

 2023년 0월 0일(1일차) 경북 고령군 관광 트레킹 

↜ 중화저수지 둘레길 트레킹 

 중화저수지고령장기리암각화대가야생활촌 

2023년 0월 0일(수) 경북 고령군  관광 트레킹 코스 

~~~~~~~~~~~~~~~~~~~~~~~~~~~~~~~~~~~~~~~

↜ 고령장기리암각화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 장기리에 있는 바위그림. 

높이 3미터, 너비 6미터의 바위에 동심원ㆍ‘十’ 자 모양ㆍ가면 모양 따위가 새겨져 있다. 선사 시대 사람들의 신앙을 파악하는 데 귀중한 자료이다. 보물 제605호. 양전동 암각화는 높이 3m, 너비 5.5m의 직사각형 암벽에 새긴 그림으로, 1971년에 발견되었다. 암각화는 선사시대의 신앙과 생활상을 생생하게 표현한 그림으로, 주로 풍요로운 다산을 기원하는 주술적인 내용을 바위나 성스러운 장소에 새긴 것을 말한다. 양전동 암각화의 내용은 겹둥근무늬(동심원)와 십자무늬, 탈모양(가면형) 등이 조각되어 있다. 세 겹의 동심원은 4점으로 해와 달을 상징하고, 십자형은 부족사회의 생활권을 표시한 것으로 추정되며, 가면형은 모두 17점으로 사람의 얼굴 형태를 하고 있다.양전동 암각화 유적은 당시 주민들의 농경의식이나 제사 때 사용했던 장소로 추정되며, 이곳에 새겨진 각종 문양들은 우리나라 선사문화 연구의 귀중한 자료로 간주된다. 또한, 고령의 알터에 암각화가 있는 것으로 보아 《삼국유사(三國遺事)》 등에 나오는 난생설화(卵生說話)의 근원을 찾아볼 수 있으며, 6가야의 중심지가 김해가 아니라 고령으로 추측하는 가설도 나오고 있다.

~~~~~~~~~~~~~~~~~~~~~~~~~~~~~~~~~~~~~~~

 대가야생활촌 주변 숙박시설 

대가야카라반; 054-955-1133, 010-9547-9900, 경북 고령군 대가야읍 신남로 61

(카라반(숙박) 비수기 평일 9만원, 주말(금,토,일) 1십 4만원), (마차체험(외승길) 성인 2만원)

(승마체험 성인 개인 2만원,  A코스 승마+국궁+마차체험 성인 3만 5천원, B코스 승마 숲길 체험+국궁 성인 3만원) 

↜ 경북 고령군 

 2023년 0월 0일(2일차) 경북 고령군 관광 트레킹 

2023년 0월 0일(목) 대가야카라반김면장군유적 주차장고령 지산동 고분군 주차장반룡사 주차장대전

거리;  186.7km,  시간; 약 3시간소요,  통행료; 약 8,300원,  주유비; 약 29,578

~~~~~~~~~~~~~~~~~~~~~~~~~~~~~~~~~~~~

 2일 경로주소 

김면장군유적 주차장; 고령군 쌍림면 칠등길 138고령 지산동 고분군 주차장; 고령군 대가야읍 대가야로 1203

반룡사 주차장; 경북 고령군 쌍림면 반룡사길 87

~~~~~~~~~~~~~~~~~~~~~~~~~~~~~~~~~~~~

↜ 경북 고령군 

 2023년 0월 0일(2일차) 경북 고령군 관광 트레킹 

 김면장군유적고령 지산동 고분군반룡사 

2023년 0월 0일 관광 트레킹 코스 

~~~~~~~~~~~~~~~~~~~~~~~~~~~~~~~~~~~~

 김면장군유적 

* 임진왜란 당시의 의장, 김면장군 유적지 *
조선 중기의 무신 김면(金沔)의 업적을 기리기 위하여 설립된 유적으로 쌍림면 고곡리 칠등마을에서 북쪽으로 500m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으며, 1988년 9월 23일 경상북도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묘소에 신도비(神道碑)와 망주석(望柱石) 2개가 있고 도암서당(道巖書堂)·도암재(道巖齎)·도암사당 교지(敎旨) 4장 등이 있다.
* 임진왜란 당시 의병을 규합한 김면 장군에 대하여 *
김면은 호가 송암(松菴)이며 중종 36년(1541)에 태어난 학자로 참봉, 공조 좌랑에 임명되었으나 관직에 나아가지 않았다. 하지만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거창, 고령 등지에서 의병을 규합하여 적을 격퇴하고 승전하는 등의 공을 세웠다. 그 공으로 합천군수가 되고 의병 대장의 칭호를 받았다. 후에 곽재우 장군이 "영남을 보존할 분은 이 분 뿐이다"며 그의 인품에 탄복하였다. 여러 달 동안 의갑(依甲)을 풀지 않았으며, "나라 있는 줄은 알았으나 내 몸 있는 줄은 몰랐다(只知有國 不知有身)"라는 말을 남기고 1593년 병사하였다. 병조판서에 추증되고 1607년 이조판서에 가증되었다.

~~~~~~~~~~~~~~~~~~~~~~~~~~~~~~~~~~~~

 고령 지산동 고분군 

껴묻거리의 종류와 수량에도 차이가 있으나 토기가 주류를 이루고 있고, 철제품으로는 장도(粧刀)가 거의 곽마다 나오고 있다. 드물게는 은제 버드나무잎사귀형[柳葉形]귀고리나 금제 고리형[環形]귀고리가 보이고 있다. 토기의 종류에는 굽다리접시·목항아리·그릇받침있는 손잡이 달린 작은 항아리[有臺把手付小壺]의 3종이 하나의 세트를 이루어 거의 모든 덧널마다 나온다. 이들 돌덧널의 피장자는 돌방의 주인공을 위한 순장자로 보이는데, 그 근거로는 다음과 같다. ① 돌덧널의 규모나 껴묻거리의 내용이 돌방의 그것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미비하다는 점, ② 돌덧널의 배치상태가 돌널을 중심으로 한 원주상의 주변적·종속적인 배열상을 보이고 있다는 점, ③ 더욱이 신분상의 격차를 보이는 주인공과 여타 피장자가 동시에 매장되었다는 점, ④ 이 고분이 순장묘의 성격이 보다 뚜렷하게 드러난 지산동 제44호분의 내부구조와 매장모습이 흡사하다는 점이다. 결국 이 분묘에는 주인공 1인을 위하여 1호 돌방에 2인, 2호 돌방에 1인, 주변 석곽에 9인(11기의 돌덧널 중 2기는 매장흔적이 없었음), 도합 12인의 순장자가 주인공과 함께 매장된 것이다.

~~~~~~~~~~~~~~~~~~~~~~~~~~~~~~~~~~~~

 반룡사 ↝

* 대가야 후손들의 기운이 서려있는 곳, 반룡사 *
반룡사는 대가야의 후손들이 신령스러운 용의 기운이 서려 있는 곳에 세웠다고 해서 반룡사(盤龍寺)라 이름 지어진 절이다. 신라 애장왕 3년(802년)에 해인사와 같은 시기에 건립하였다고 전하며, 고려 중기 보조국사가 중건하고 고려말 나옹선사가 다시 중건하였다.조선초기에는 교종에 속한 사찰이었으며 임진왜란으로 소진된 것을 사명대사가 중건하였다고 한다. 이 절과 관련된 고승의 면면만 보더라도 과거 이 사찰이 얼마나 이름 나 있었는지 미뤄 짐작할 수 있다. 그 뒤 화재로 인해 대웅전을 비롯한 6당과 요사가 전소되었으나 영조 때에 현감 윤심협이 다시 중건, 1930년 이봉조가 다시 중수했고, 최근 법당건물이 새로 들어섰다.
* 반룡사의 문화재, 다층석탑과 동종 *
반룡사에는 반룡사 다층석탑(유형 문화재 제117호)과 반룡사 동종(유형문화재 제288호)이 남아있었으나 현재는 도난과 훼손의 우려로 인해 '대가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반룡사 다층석탑은 고려시대의 것으로 화강암 기단 위에 1층 탑신이 남아있고 그 위에 점판암으로 만든 옥개석이 다층으로 남아있다. 2단의 화강암 지대석 위에 세워진 높이 2.4m의 단아한 소형 탑의 아름다움을 볼 수 있으며, 해인사 원당암 다층석탑과 금산사 육각 다층석탑이 이 유형에 속한다. 반룡사 동종은 1753년에 제작된 것으로 높이는 50㎝이고 무게는 100근이다. 상대 부분에 육자진언의 법문과 함께 종신에는 명문을 지니고 있다. 조선 후기의 동종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

~~~~~~~~~~~~~~~~~~~~~~~~~~~~~~~~~~~~

[주의] 안내도 정보는 도보 이동 경로 구성을 위한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십시오. 

       현재 도보 탐색 경로가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이 점 양해 바랍니다.  

~~~~~~~~~~~~~~~~~~~~~~~~~~~~~~~~~~~~

중화저수지 안내도 

고령장기리암각화 실측도 

대가야생활촌(대가야카라반) 안내도 

김면장군유적 안내도 

고령 지산동 고분군 안내도 

반룡사 안내도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