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racking&Travel ↝
이 까페는 여행을 즐기는 사람들을 위한 카페입니다.
여행에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 경남 창녕 ↝
◀ 2023년 0월 0일(1일차) 경남 창녕 관광 트레킹 ▶
↜ 우포늪생명길↝명덕수변생태공원, 창녕향교↝창녕교동고분군↝창녕석빙고 ↝
~~~~~~~~~~~~~~~~~~~~
↜ 경남 창녕 ↝
◀ 2023년 0월 0일(2일차) 경남 창녕 관광 트레킹 ▶
↜ 남지개비리길↝연지못(창녕 영산 만년교)↝창녕영산석빙고↝관룡사 ↝
◀ 2023년 0월 0일(1일차) 경남 창녕 관광 트레킹 ▶
2023년 0월 0일(수) 대전 출발↝우포늪생명길 도로변 주차↝창녕향교(명덕수변생태공원) 주차장
↝창녕교동고분군 주차장↝창녕석빙고 주차장↝썸무인호텔
거리; 약 201.5km, 시간; 약 3시간소요, 주유비; 약 32,483원
~~~~~~~~~~~~~~~~~~~~~~~~~~~~~~~~~~~~
↜ 1일 경로주소 ↝
우포늪생명길 도로변 주차장; 경남 창녕군 유어면 세진리 252-1(소목마을 주차장; 이방면 소목길 102)
↝창녕향교 주차장; 경남 창녕군 창녕읍 교리 344-2↝창녕교동고분군 주차장; 경남 창녕군 창녕읍 교리 94-5
↝창녕석빙고 주차장; 경남 창녕군 창녕읍 송현리 293↝썸무인호텔; 경남 창녕군 대지면 경남대로 5055
~~~~~~~~~~~~~~~~~~~~~~~~~~~~~~~~~~~~
↜ 경남 창녕 ↝
◀ 2023년 0월 0일(1일차) 경남 창녕 관광 트레킹 ▶
↜ 우포늪생명길 트레킹↝명덕수변생태공원 트레킹 ↝
↜ 우포늪생명길↝명덕수변생태공원, 창녕향교↝창녕교동고분군↝창녕석빙고 ↝
2023년 0월 0일 경남 창녕 관광 트레킹 코스 ▶ 창녕 우포늪 둘레길 거리; 약 7.2km, 시간; 약 3시간 30분
~~~~~~~~~~~~~~~~~~~~~~~~~~~~~~~~~~~~
↜ 창녕 우포늪 ↝
* 우리나라 최대의 자연 늪지, 우포늪(생태공원) *
우포늪은 우리나라 최대의 자연늪지이다. ‘늪’이라고 하면 가장 규모가 큰 우포늪뿐만 아니라 목포, 사지포, 쪽지벌 등 네 개의 늪을 모두 아우른다. 이 늪지대는 경남 창녕군의 유어·이방·대합면 등 3개면에 걸쳐 있는데, 둘레는 7.5㎞에 전체면적은 2,314,060m²에 이른다. 이곳에 늪지가 처음 형성되기 시작한 것은 1억 4,000만 년전이라고 한다. 공룡시대였던 중생기 백악기 당시에 해수면(海水面)이 급격히 상승하고 낙동강 유역의 지반이 내려앉았다. 그러자 이 일대에서 낙동강으로 흘러들던 물이 고이게 되면서 곳곳에 늪지와 자연호수가 생겨났고, 새로 생긴 호수와 늪은 당시 지구의 주인이던 공룡들의 놀이터가 되었다. 현재 우포늪 인근의 유어면 세진리에는 그 당시 것으로 추정되는 공룡발자국화석이 남아있다.
우포늪은 아무리 깊어도 사람의 온몸이 잠기는 데가 거의 없다. 장마철에는 수심이 5m에 이르기도 하지만 평소에는 1~2m를 유지하기 때문이다. 또한 늪의 바닥에는 수천만 년 전부터 숱한 생명체들이 생멸(生滅)을 거듭한 끝에 쌓인 부식층(腐植層)이 두터워서 개펄처럼 발이 푹푹 빠지지도 않는다. 억겁을 세월을 간직한 이 부식층이 있기에 우포늪은 '생태계의 고문서', 또는 '살아있는 자연사박물관'이라고 불린다.
창녕 우포늪 둘레길 거리; 약 7.2km, 시간; 약 3시간 30분
~~~~~~~~~~~~~~~~~~~~~~~~~~~~~~~~~~~~
↜ 창녕향교 ↝
향교는 훌륭한 유학자를 제사하고 지방민의 유학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나라에서 지은 교육기관이다
창녕향교를 언제 세웠는지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조선 효종(재위 1649∼1659) 때 다시 세웠다고 전한다. 1904년에 보수하고 1987년에 동재, 서재를 복원하였다. 건물은 출입문인 외삼문, 공부하는 곳인 명륜당과 동·서재, 사당인 대성전과 동·서무 등의 건물이 있으며, 앞에 명륜당이 있고 뒤에 대성전이 있는 전형적인 전학후묘의 배치를 이루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전적·노비 등을 받아 학생들을 가르쳤으나, 갑오개혁(1849) 이후 제사만 지내고 있다. 다른 향교에 비해 많은 전적을 보관하고 있으며, 특히 이 지방 향토사연구에 귀중한 자료를 많이 제공하고 있는 유서 깊은 곳이다.
~~~~~~~~~~~~~~
↜ 창녕교동고분군 ↝
창녕은 『삼국사기』에 나오는 진한의 12개 나라 중 하나인 불사국으로, 비사벌이라고 불리던 곳이다.
창녕읍 교리 및 송현리 일대에 넓게 분포하고 있는 대형 고분군으로, 1911년 일본인 학자 세키노 타타시에 의해 처음 알려졌다. 150여기 정도가 확인되는데, 출토유물과 구조양상을 볼 때 5~6세기가 중심연대가 되는 고분군으로 파악되고 있다.
창녕교동고분군(사적)과 창녕송현동고분군(사적)이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사적)으로 2011년 7월 28일에 다시 지정되었다. 송현동 무덤들은 크게 2개 지역으로 나누어진다. 1지역은 목마산 기슭에서 서쪽으로 80여기의 무덤이 있던 큰 무덤들이었으나, 지금은 16기 정도만이 남아 있다. 2지역은 송현동석불이 있는 부근에 20여 기 정도가 있었다고 하는데, 지금은 대부분이 논으로 변하여 원래의 모습을 볼 수 있는 무덤은 겨우 몇 기 정도이다. 근처의 교동 무덤들과 가까이 있기 때문에 무덤의 구조와 유물의 성격이 거의 같다고 여겨진다. 교동무덤과 함께 1918년에 발굴되어 많은 양의 유물들이 발견되었는데, 유물 중 일부는 행방을 알 수 없게 된 것도 있다고 한다.
~~~~~~~~~~~~~~
↜ 창녕석빙고 ↝
보물 제310호. 길이 1,100cm, 폭 360cm, 높이 370cm. 이 석빙고는 화왕산(火旺山) 아래 골짜기에 있는데 계곡의 맑은 물이 얼었을 때 떠다가 보관했던 곳이다. 밖에서 보면 고분처럼 보이며, 빙실의 입구는 남쪽에 있다. 내부의 벽은 잡석으로 쌓고, 4개의 홍예를 틀고 그 사이에 장대석을 쌓아 올려 천장을 만들었으며 천장 사이에 환기구가 있다. 이 석빙고 앞에 축조를 기념한 비석이 있어 1742년(영조 18)에 현감 신후서(申侯曙)가 강세복(姜世復)·김정일(金鼎一) 등과 함께 축조했음을 알 수 있다. 규모만 약간 작을 뿐 구조는 경주 석빙고안동석빙고와 동일하다.
~~~~~~~~~~~~~~~~~~~~~~~~~~~~~~~~~~~~
↜ 모천삼거리 주변 숙박시설 ↝
썸무인호텔; 055-533-5519, 예약하기 경남 창녕군 대지면 경남대로 5055
(A일반실, B일반실 4만원, A특실, B특실 5만원)
SS무인호텔; 055-532-2334, 예약하기 경남 창녕군 대지면 미산길 3-50
(디럭스A, 디럭스B 1실 1주차 4만원, 얼리체크인(선착순) 6만원)
호텔궁; 055-532-2220, 예약하기 경남 창녕군 대지면 미산길 3-42(컨셉룸(스페셜or프리미엄) 4만원)
↜ 경남 창녕 ↝
◀ 2023년 0월 0일(2일차) 경남 창녕 관광 트레킹 ▶
2023년 0월 0일(목) 썸무인호텔↝남지개비리길 주차장↝연지못(창녕 영산 만년교) 도로변 주차
↝창녕영산석빙고 주차장↝관룡사 주차장↝대전
거리; 약 254.8km, 시간; 약 4시간소요, 주유비; 약 41,075원
~~~~~~~~~~~~~~~~~~~~~~~~~~~~~~~~~~~~
↜ 2일 경로주소 ↝
남지개비리길 주차장; 경남 창녕군 남지읍 신전리 943-1↝연지못 도로변 주차장; 경남 창녕군 영산면 동리 146-4
↝창녕영산석빙고 주차장; 경남 창녕군 영산면 교리 411↝관룡사 주차장; 경남 창녕군 창녕읍 옥천리 293
~~~~~~~~~~~~~~~~~~~~~~~~~~~~~~~~~~~~
↜ 경남 창녕 ↝
◀ 2023년 월 일(2일차) 경남 창녕 관광 트레킹 ▶
↜ 남지개비리길 트레킹↝연지못 둘레길 트레킹 ↝
↜ 남지개비리길↝연지못(창녕 영산 만년교)↝창녕영산석빙고↝관룡사 ↝
2023년 0월 0일 경남 창녕 관광 트레킹 코스 ▶ 남지개비리길(거리; 약 7km, 시간; 약 3시간 30분)
~~~~~~~~~~~~~~~~~~~~~~~~~~~~~~~~~~~~
↜ 창녕영산석빙고 ↝
* 창녕 영산 석빙고의 구조에 대하여 *
개울의 반대편으로 입구를 내고 열고 닫을 수 있는 돌문이 있었던 흔적이 있으나, 지금은 없다. 계단을 통해 내부로 들어가면 개울 쪽으로 약간 경사가 져 얼음에서 녹은 물이 배수구를 통해 개울로 자연스럽게 흐를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천장에는 아치형의 홍예가 세 개가 있으며, 그 사이를 다듬은 장대석으로 걸치고 더운 공기가 나갈 수 있는 환기공을 2개 두었다. 그 규모는 경상도 지방에 있는 다른 석빙고에 비해 작은 편이지만, 그 축조 형식은 같다.
~~~~~~~~~~~~~~~~~~~~~~~~~~~~~~~~~~~~
↜ 연지못 ↝
창녕의 연지못은 선조들이 영산 고을의 화재를 예방하고 농사에도 이롭게 하기 위해 만든 저수지이다. 그 모양이 벼루 모양을 닮았다 해서 연지(硯池)라 불렸으며 영산 호국공원과 인접하여 있다. 연못 가운데 다섯 개의 섬들이 떠 있어 아름답고 그중 가장 큰 섬 두 개는 다리로 연결돼 있어 산책로를 따라 들어가 볼 수 있다. 연못을 공원화하여 해마다 유등제가 열리고 있으며 놀이터와 운동기구, 건강 지압시설 등 다양한 부대시설이 마련되어 있어 사시사철 산책이나 나들이하기 좋다. 특히 수양벚꽃이 개화하는 시기엔 관광객이 붐빌 만큼 아름다운 풍경을 연출한다. 또한 반영 샷 한 장으로 핫플레이스가 된 영산만년교가 바로 앞에 있어 연지못을 한 바퀴 돌고 만년교로 이동하는 발길이 많은 곳이다.
~~~~~~~~~~~~~~
↜ 창녕 영산 만년교 ↝
보물 제564호. 홍예 너비 110㎝, 높이 500㎝, 다리 너비 450㎝. 남천에 가설된 다리이므로 남천교라고도 한다. 석교비에 의하면 이 다리는 1780년(정조 4) 석수 백진기가 축조했으며, 1892년(고종 29) 현감 신관조가 석수 김내경을 시켜 중수했다고 한다. 마을을 끼고 흐르는 하천 양쪽의 자연암반 위에 화강석으로 반원형의 홍예를 구축하고, 그 위에 둥근 자연석으로 쌓아올린 다음 맨 위에 흙을 깔아 길을 만들었다. 다리의 상승각도가 원만하며 다리의 앞뒤를 연장하여 양안에 자연석을 쌓아 만든 석축 통로와 연결했다. 지금도 주민들이 통행로로 사용하고 있다. 이 다리는 선암사 승선교·벌교홍교와 함께 희귀한 유구인 동시에 조선 후기 남부지방의 홍예다리 축조기법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
↜ 관룡사 ↝
대한불교 조계종 제15교구 본사인 통도사의 말사이다. 신라시대부터 있었다는 사찰로서 〈사기 寺記〉에 의하면 349년에 창건되었다고 하지만 확실하지 않다. 전설에 의하면 원효가 제자 송파와 함께 이곳에서 100일기도를 드릴 때 오색채운이 영롱한 하늘을 향해 화왕산으로부터 9마리의 용이 승천하는 것을 보고 절 이름은 관룡사, 산 이름은 구룡산이라 했다고 한다.
1401년(태종 1) 대웅전을 창건했으며 임진왜란 때 불탄 것을 1617년(광해군 9) 영운이 재건했다. 1704년(숙종 30) 가을 대홍수로 금당이 유실되었으며 1712년(숙종 38) 대웅전과 다른 당우들을 재건했다. 1749년 다시 부분적인 보수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재 사찰 내에는 보물 제212호인 대웅전, 보물 제146호인 약사전, 보물 제295호인 용선대석조석가여래좌상, 보물 제519호인 석불좌상,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1호인 3층석탑 등의 귀중한 문화재들이 있다.
~~~~~~~~~~~~~~~~~~~~~~~~~~~~~~~~~~~~
[주의] 안내도 정보는 도보 이동 경로 구성을 위한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십시오.
현재 도보 탐색 경로가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이 점 양해 바랍니다.
~~~~~~~~~~~~~~~~~~~~~~~~~~~~~~~~~~~~
창녕 우포늪 안내도 ▼
창녕 명덕수변생태공원, 창녕교동고분군 안내도 ▼
창녕 석빙고 안내도 ▼
창녕 남지개비리길 안내도 ▼
창녕 연지못~영산만년교 안내도 ▼
창녕 우포늪 안내도 ▼
창녕 관룡사 안내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