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국 시,군 여행 자료

경북 김천 여행 자료▶오봉저수지 둘레길↝연화지↝구화사↝삼성암↝난함산

by 여행을즐기는사람 2023. 2. 5.
728x90

↜ Tracking&Travel 

이 까페는 여행을 즐기는 사람들을 위한 카페입니다.

여행에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경북 김천 

 2023년 0월 0일 경북 김천 관광 트레킹 코스 

↜ 오봉저수지 둘레길 트레킹 

↜ 오봉저수지연화지구화사삼성암난함산 ↝

 2023년 0월 0일 경북 김천 관광 트레킹 코스 

2023년 0월 0일(수) 대전 출발오봉저수지 주차장연화지 주차장구화사 주차장삼성암 주차장

난함산 주차장대전

거리; 249.5km,  시간; 약 5시간 30분,  통행료; 약 9.200원,  주유비; 약 38,765

~~~~~~~~~~~~~~~~~~~~~~~~~~~~~~~~~~~~

 경로주소 

오봉저수지 주차장; 경북 김천시 남면 오봉리 703연화지 주차장; 경북 김천시 교동 820-2

구화사 주차장; 경북 김천시 교동 4-1삼성암 주차장; 경북 김천시 대항면 주례1길 668

난함산 주차장; 경북 김천시 봉산면 상금리 산 2-1, 경북 김천시 봉산면 상금리 산 2-3

~~~~~~~~~~~~~~~~~~~~~~~~~~~~~~~~~~~~

↜ 경북 김천 

 2023년 0월 0일 경북 김천 관광 트레킹 코스 

↜ 오봉저수지 둘레길 트레킹 

↜ 오봉저수지연화지구화사삼성암난함산 ↝

2023년 0월 0일 경북 김천 관광 트레킹 코스 오봉저수지 둘레길 거리; 약 3km,  시간; 약 2시간소요. 

~~~~~~~~~~~~~~~~~~~~~~~~~~~~~~~~~~~~

↜ 오봉저수지 ↝

오봉저수지는 금오산 아래 자리 잡고 있다. 이곳은 여름이면 수상스키를 즐기려는 사람들과 인근의 낚시객들이 많이 찾아온다. 산책로가 조성되어 있어 누구나 쉽게 저수지를 둘러볼 수 있다. 중앙에 위치한 정자에서는 저수지의 시원한 풍광을 감상할 수 있다. 저수지 인근에는 갈항사지 석조여래좌상 등 문화재가 있어 연계 관광에 나서기에도 수월하다.

거리; 약 3km,  시간; 약 2시간소요.

~~~~~~~~~~~~~~~~~~~~~~~~~~~~~~~~~~~~

↜ 연화지 ↝

김천시 교동에 있는 연화지는 조선시대 초기에 농업용수 관개지로 조성된 저수지로, 당시 물이 맑고 경관이 좋아 풍류객들이 저수지 한가운데에 섬을 만들고 정자인 봉황대(鳳凰臺)를 지어 시를 읊고 풍류를 즐겼던 곶이다. 그 후 농업용 관개시설로서의 기능이 상실되었다가 1993년 김천시가 8,885평(29,372㎡)을 벚꽃 나무을 심어 시민휴식공간으로 조성하면서 벚꽃으로 유명세를 타고 있다. 연화지는 조선시대까지만 해도 주변 농경지에다 물을 대기 위한 저수지라고 합니다. 김천의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농업용수의 임무는 끝이 났고 이제는 전국적인 벚꽃 명소로 이름을 날리는 곳이기도 하지요. 벚꽃뿐 아니라 여름이 되면 연꽃들이  연화지를 덮을 정도로 무성하답니다.
이것 때문에 연화지(蓮花池)로 생각을 하는 이들도 있다고 합니다만, 한자로는 전혀 다르답니다. 연화지(鳶華池)라는 이름은 1707년 김천으로 부임한 윤택이라는 군수의 꿈에서부터 비롯되었다고 하네요. 어느 날 군수가 못에서 솔개가 날아오르다 봉황으로 바뀌는 꿈을 꾸었답니다. 그래서 솔개 연(鳶)에다 빛날 화(華)자를 쓴다네요. 

연화지는 농업용수의 공급이라는 원래의 기능을 상실한 뒤 1993년 시민들을 위한 휴식공간으로 변모를 했답니다. 

저수지 가운데에는 3개의 섬과 정자가 있는데, 김천의 상징인 ‘삼산이수’를 형상화해 놓은 것이라고 하네요. 다리로 연결된 섬에는 봉황대(鳳凰臺)라는 멋진 정자도 있습니다. 윤택이라는 군수가 솔개가 날아오르다 봉황이 되는 꿈을 꾸었다고 합니다. 

~~~~~~~~~~~~~~~~~~~~~~~~~~~~~~~~~~~~

↜ 김천 구화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

김천 구화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金泉 九華寺 石造毘盧遮那佛坐像)은 경상북도 김천시 교동, 구화사에 있는 불상이다. 2017년 1월 5일 경상북도의 문화재자 제652호로 지정되었다. 

이 불상은 상(像) 전체가 하나의 돌로 이루어진 불석재의 비로자나불좌상이다. 높이 72cm, 슬폭 47.2cm 크기이며, 전체 크기에 비해 머리가 매우 크게 조각되어 있다. 육계(肉髻) 또한 머리가 구별되지 않을 정도로 크게 표현되었으며 원기둥 형태의 계주가 정상에 있다. 수인(手印)은 왼손이 오른손을 감싼 지권인인데 손가락이 위가 아닌 앞을 향하고 있다. 또한 오른발 엄지발가락 일부가 노출되도록 표현된 점은 조선 후기 불상에서는 매우 이례적인 것으로, 이 불상의 양식적 특징들은 17세기 후반에 활동한 금문(金文)의 작풍과 유사하다고 판단된다.

복장물(腹藏物)이 모두 도난을 당하여 원래의 봉안처나 제작연도 등을 특정할 수는 없지만, 법령-혜희·조능-금문 등으로 이어진 조각승 유파의 특징이 발현된 조선 후기의 작품으로서 자료적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므로 문화재자료로 지정한다.

~~~~~~~~~~~~~~~~~~~~~~~~~~~~~~~~~~~~

↜ 삼성암 ↝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인 직지사(直指寺)의 산내암자이다. 신라 중기에 창건하였으며 옛날 세 성현이 출현하였다 하여 삼성암이라 하였다고 전한다. 조선시대까지만 하여도 선승(禪僧)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고, 선원(禪院)으로서 널리 알려졌다. 그리고 1915년부터 약 10년 동안 의사 편강렬(片康烈)이 일본경찰의 눈을 피하여 제자들과 같이 무술을 닦으며 조국광복을 위하여 힘을 길렀던 곳이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인법당(人法堂)·산신각·요사채 등이 있는데, 이들은 모두 근래에 다시 지은 것이다. 문화재로는 높이 160㎝, 너비 120㎝의 후불탱화(後佛幀畵) 1점이 있었으나 1980년에 도난당하였다. 이 탱화는 검은 바탕에 금니(金泥)로 그린 수작이었다.

~~~~~~~~~~~~~~~~~~~~~~~~~~~~~~~~~~~~

↜ 난함산(卵含山 733.4m) ↝

난함산 통신시설까지 차로 오를수 있다. 난함산 정상에는 통신시설과 헬기장 있음,

정상은 일출, 일몰로 유명한 곳이기도합니다. 문암봉, 애기봉 왼쪽 은기마을 뷰~

난함산은 추풍령으로 내려오는 백두대간에서 불과 500여m 떨어진 곳에 대간 마루금보다 더 높이 솟아있다.

한반도의 등줄기인 백두대간이 난함산의 허리춤으로 낮게 지나가고, 남쪽 산줄기에는 전문 산악자전거 공원인 MTB파크가 조성되어 있다.

또한 이 산줄기에다 구화산과 달봉산까지 끼워넣어 ‘난함단맥’이라 부르기도 한다.

~~~~~~~~~~~~~~~~~~~~~~~~~~~~~~~~~~~~

[주의] 안내도 정보는 이동 경로 구성을 위한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십시오. 

       현재 탐색 경로가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이 점 양해 바랍니다.  

~~~~~~~~~~~~~~~~~~~~~~~~~~~~~~~~~~~~

김천 오봉저수지 안내도 

김천 연화지 안내도 

김천 구화사 안내도 

김천 삼성암 안내도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