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racking&Travel ↝
이 까페는 여행을 즐기는 사람들을 위한 카페입니다.
여행에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 전남 함평군 ↝
◀ 2022년 0월 0일(1일차) 전남 함평군 관광 트레킹 코스 ▶
↜ 용천사↝함평자연생태공원↝돌머리해변(석두어촌계) ↝
~~~~~~~~~~~~~~~~~~~~~
◀ 2022년 0월 0일(2일차) 전남 함평군 관광 트레킹 코스 ▶
↜ 자산서원↝함평엑스포공원↝보광사↝대동팽나무숲↝팔열부정각↝
◀ 2023년 0월 0일(1일차) 전남 함평군 관광 트레킹 코스 ▶
0월 0일(수) 대전↝용천사 주차장↝함평자연생태공원 주차장↝돌머리해변 주차장↝더케이무인호텔
거리; 약 233.3km, 시간; 약 3시간 30분
~~~~~~~~~~~~~~~~~~~~~~~~~~~~~~~~~~~~~~~
↜ 경로주소 ↝
용천사 주차장; 전남 함평군 해보면 광암리 410-3↝함평자연생태공원 주차장; 전남 함평군 대동면 학동로 1398-77
↝돌머리해변 주차장; 전남 함평군 함평읍 석성리 산 223-5↝더케이무인호텔
함평주포해수찜; 061-322-9489, 주소; 전남 함평군 손불면 석산로 79,
~~~~~~~~~~~~~~~~~~~~~~~~~~~~~~~~~~~~~
◀ 2023년 0월 0일(1일차) 전남 함평군 관광 트레킹 코스 ▶
↜ 용천사↝함평자연생태공원↝돌머리해변(석두어촌계) ↝
2023년 0월 0일 전남 함평군 관광 트레킹 코스 ▶
~~~~~~~~~~~~~~~~~~~~~~~~~~~~~~~~~~~~~
↜ 용천사 ↝
대한불교조계종 제9교구 본사인 동화사(桐華寺)의 말사이다. 670년(문무왕 10)에 의상대사(義湘大師)가 화엄십찰의 하나로 창건하고 옥천사(玉泉寺)라 하였다. 1261년(원종 2) 보각국존(普覺國尊)이 중건하고 절 이름을 용천사로 고쳤으며, 1631년(인조 9)조영(祖英)이 3창하였고, 1805년(순조 5)에는 의열(義烈)이 화주가 되어 중수하였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대웅전을 비롯하여 명부전(冥府殿)·산신각·요사채 등이 있다. 이 중 대웅전은 못 하나 사용하지 않은 매우 웅장한 건물로서 기둥 목재는 아름드리 칡덩굴을 사용하였다. 또, 법당 안에는 상호가 좋은 거대한 삼존불이 봉안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옛 규모를 짐작할 수 있다. 절의 우물은 장마가 지거나 가뭄에도 증감이 없으며, 이 우물 속에는 1,000년 된 물고기와 500년 된 물고기가 살고 있다고 전한다.
~~~~~~~~~~~~~~~~~~~~~~~~~~~~~~~~~~~~~
↜ 함평자연생태공원 ↝
* 멸종위기의 동,식물을 보존육성하는, 함평 자연생태공원 * 함평자연생태공원은 쾌적한 자연환경보전과 더불어 멸종위기의 각종 동/식물을 보존육성함은 물론 전시/관람을 통해 보고, 배우며, 체험할 수 있는 학습공간으로서 국민들이 여가선용의 장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역문화 발전 및 관광산업 활성화에 그 목적을 두고 추진하게 되었다. 『하늘에는 나비와 잠자리, 땅에는 꽃과 난초, 물에는 수생식물과 물고기』를 주제로 한 테마별 생태체험 학습공간으로 개발하였으며 나비ㆍ곤충표본전시관, 나비ㆍ곤충애벌레생태관 등 7개의 전시시설과 수서곤충관찰학습장, 반달가슴곰관찰원 등 16개의 관람시설 및 전망대, 벽천폭포 등 9개의 편익시설을 조성하여 생태체험학습장으로서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 함평자연생태공원 특징 * 함평자연생태공원은 캠핑카 시설이 마련되어 있어서 색다른 야영 체험을 할 수있고, 2008년 11월 18일 환경부가 '서식지외 보전기관'으로 지정하여 나도풍란, 풍란, 한란, 지네발란에 대해 보존사업을 집중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또한 초·중등학생을 대상으로 '멸종위기야생동식물 체험학습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어서 학생들이 환경파괴로 인해 멸종위기에 처해있는 동식물들에 대해서 배우고 환경 보존의 중요성을 깨닫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입장료(비수기 12월~3월 기준)
성인 4,000원, 청소년,군인 3,000원, 어린이,노인 2,000원(군민, 장기기증등록자:50%할인, 만4세미안 아동, 장애인:무료)
☆월요일 정기휴무, ☆전화문의; 061-320-3530
거리; 약 2km, 시간; 약 1시간소요
~~~~~~~~~~~~~~~~~~~~~~~~~~~~~~~~~~~~~
↜ 돌머리해변 ↝
* 솔숲과 해변이 아름다운 곳, 돌머리해수욕장 *
돌머리해수욕장은 뒤편에 솔숲이 울창하여 경치가 아름답기로 유명하며, 폭 70m, 길이 1㎞의 백사장이 있으며, 물이 맑고 수심이 얕아 가족단위의 관광객들이 찾기에 좋다. 조수간만의 차이가 좀 심하다는 게 단점이지만, 그걸 보완하기 위해 2,700여 평 규모의 인공 해수풀장이 설치돼 있다. 그래서 썰물 때도 수영을 할 수 있고, 각종 편의시설도 갖추었다. 또한 물이 빠진 갯벌 위에 긴 나무다리를 놓아 관광객들이 직접 갯벌생태를 체험할 수 있도록 했다. 또 갯벌에는 해산물 이 풍부하게 나고 해안 원두막에서는 싱싱한 여름과일들이 풍성해 해수욕과 해수찜을 즐기며 이같은 먹을거리들을 즐기는 재미도 놓칠 수 없다. 그래서 어린이들과 노인들까지 온가족이 만족하는 가족휴양지로도 손색이 없다는 곳이다.
* 돌머리해수욕장의 또다른 즐길거리, 해수찜 *
예로부터 해수찜이라 하여 유황성분이 많은 돌을 불에 달구어 바닷물 속에 넣고 찜질하는 곳으로 유명하다. 근해에서 왕새우·도미 등이 잘 잡혀 바다낚시를 즐길 수 있고, 갯벌에는 낙지·게·조개·해초류가 많아 생태학습장으로도 활용된다. 매년 11월부터 다음해 3월까지 해수욕장 왼쪽 일대에서 나는 굴은 맛과 질이 뛰어나다.
~~~~~~~~~~~~~~~~~~~~~~~~~~~~~~~~~~~~~~
↜ 함평해수찜 ↝
함평 해수찜은 1800년대부터 민간요법으로 널리 이용되어 온 신비한 치료법이다. 세종실록의 도자기 가마를 이용한 한증법을 계승 발전시킨 것으로 유황성분이 많은 돌과 삼못초같은 약초를 넣고 소나무 장작으로 가열한 후 해수(海水)가 든 탕에 넣고 데워진 물로 찜질을 하는데 온천과 약찜의 효능을 한꺼번에 즐길 수 있다.해수찜은 신경통, 산후통, 관절염, 피부염 등 만성질환 치료에 효과가 있어 특히 중노년 주부들을 중심으로 한 효도관광코스로 인기를 모으고 있다. 함평해수찜은 손불면 궁산리 일대 신흥마을에서 3개의 해수찜업소가 욕탕 130여 개소를 보유하고 있고 숙박시설이 36실 있어 동시에 500여명의 인원을 수용할 수 있다.
* 전남 함평 해수찜갯벌 마을 *
갯벌마을은 주포를 중심으로 석성 2리의 두 개 부락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석성리는 주변에 늘어진 기암괴석들이 있어 석두(石頭)라 불리웠는데 이를 우리말로 돌머리라 불리게 된 것이다. 주민들은 바다에서의 조업과 농업을 통해 생활을 영위하며, 특히 갯벌에서 나오는 세발낙지와 석화는 전국적으로 그 맛을 인정받고 있다. 여름이면 해수욕과 겨울에는 해수찜을 즐길 수 있고, 나비축제와 갯벌체험장을 통해 자연의 소중함과 아름다움을 체험할 수 있으며, 주변에 남아있는 조상들의 지혜와 숨결을 느낄 수 있다.
~~~~~~~~~~~~~~~~~~~~~~~~~~~~~~~~~~~~~
↜ 무안군청 주변 숙박시설 ↝
더케이무인호텔; 061-453-0066, 무안군 무안읍 공항로 9, (프리미엄 드라이브인 A(1실 1주차-스타일러 구비,욕조) 6만원)
(프리미엄 스위트 5만원, 프리미엄 스위트 5만원, 프리미엄 스페셜 5만 5천원, 드라이브인(1실 1주차) 5만 5천원)
샵모텔; 여기어때에서 예약하기 전남 무안군 무안읍 면성1길 111-5
2023년 0월 0일(목) 더케이무인호텔↝자산서원 주차장↝함평엑스포공원 주차장↝보광사 주차장↝대동팽나무숲 주차장
↝팔열부정각 주차장↝대전
거리; 약 221.6km, 시간; 약 3시간 30분
~~~~~~~~~~~~~~~~~~~~~~~~~~~~~~~~~~~~~~~
↜ 경로주소 ↝
자산서원 주차장; 전남 함평군 엄다면 곤재로 688↝함평엑스포공원 1주차장; 전남 함평군 함평읍 곤재로 27
↝보광사 주차장; 전남 함평군 함평읍 한재골길 26-32↝대동팽나무숲 주차장; 전남 함평군 대동면 향교리 948-2
↝팔열부정각 주차장; 전남 함평군 월야면 월야리 155-1
~~~~~~~~~~~~~~~~~~~~~~~~~~~~~~~~~~~~~
↜ 전남 함평군 ↝
◀ 2023년 0월 0일(2일차) 전남 함평군 관광 트레킹 코스 ▶
↜ 자산서원↝함평엑스포공원↝보광사↝대동팽나무숲↝팔열부정각↝
2023년 0월 0일 전남 함평군 관광 트레킹 코스 ▶
~~~~~~~~~~~~~~~~~~~~~~~~~~~~~~~~~~~~~
↜ 자산서원 ↝
1616년(광해군 8) 지방유림의 공의로 1589년 기축옥사에 연루되어 희생당한 정개청(鄭介淸)에 대한 신원(伸寃)운동이 일어나면서 그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사우를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57년(효종 8)에 서인계의 집권으로 인하여 훼철되었다가 허목(許穆)·윤선도(尹善道) 등의 상소로 1677년(숙종 3)에 복원되었으며, 1678년에 ‘자산(紫山)’이라고 사액되어 1680년에 경신환국(경신대출척)으로 서인이 정권을 잡게 되면서 관찰사 임규의(任奎毅)와 유경서(柳景瑞) 등의 상소에 따라 훼철되었다가, 나두하(羅斗夏)·김덕원(金德遠) 등 유생의 상소로 1689년에 다시 복원되었고 정대청(鄭大淸)을 추가 배향하였다. 그 뒤 이만성(李晩成)의 상소에 의하여 1702년 또다시 훼철되었다. 그 후 1752년(영조 28)에 제동사(濟洞祠)라는 이름으로 중건되었고, 1762년 훼철되었으며, 1789년 다시 복설되었으나 1868년(고종 5)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 1942년 유림 및 후손들에 의하여 유허단향비(遺墟壇享碑)가 세워졌다.
~~~~~~~~~~~~~~~~~~~~~~~~~~~~~~~~~~~~~
↜ 함평엑스포공원 ↝
* 나비와 곤충을 한 눈에, 함평엑스포공원 나비.곤충 전시관 *
2008년 함평나비 & 곤충엑스포가 열렸다. 그 행사 이후 함평 엑스포 공원은 아시아의 생태문화 관광지로 거듭났다. 이곳은 푸르른 함평의 자연환경과 더불어 나비와 곤충 등의 자연학습을 통해 즐겁고 행복한 추억을 만들 수 있는 곳이다. 원예치료관, 잔디광장, 식물/곤충 생태학교, 주제 영상관, 숲속의 곤충마을, 황금박쥐 전시관, 나비/곤충 생태관, 나비곤충표본과 화석전시관, 민물고기 과학관, 나비랜드 놀이동산, 습지 학습장 등 무려 11개 상시 전시관과 테마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대규모 생태공원이다
* 함평엑스포 공원의 다양한 즐길거리 *
함평엑스포 공원에는 나비, 곤충 전시관 외에도 다양한 볼거리와 즐길거리가 구비되어 있다. 우선 다육식물관과 자연생태관, 곤충생태학교, 나비 · 곤충생태관, 나비곤충표본과 화석전시관이 있다. 이외에도 민물고기 전시관과 황금박쥐전시관이 있어 평소 볼 수 없는 생태계를 만날 수 있다. 그 외에도 나비랜드놀이동산, 함평워터파크, 파크골프장(18홀)도 조성되어 자연체험과 함께 즐거운 레저 생활을 경험할 수 있다.
거리; 약 4km, 시간; 약 1시간 30분소요
~~~~~~~~~~~~~~~~~~~~~~~~~~~~~~~~~~~~~
↜ 보광사 ↝
보광사는 전라남도 함평군 함평읍 함평리 289번지에 자리하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8교구 본사 백양사의 말사이다. 절의 창건은 1924년 모진택이 처음 집을짓고 별당으로 사용한 것에서 유래한다.1938년 무렵 용천사(龍泉寺)의 신도에 의해 포교당으로 설립되었다가,1942년에 모성월(毛性月, 1886~1979) 스님이 원명(圓明) 스님과 김남하(金南夏) 포교사 등과 함께 인수, 지금의 보광사로 만들면서 본격적 사찰로 경영되기 시작하였다. 이후 영명(英明) 스님을 거쳐 현재 법홍(法弘) 스님이 주석하고 있다. 현재 절에는 극락보전과 요사 및 종각 등의 건물이 있고, 종각에 있는 범종은 전라남도유형문화재 제172호로 지정되어 있다. 범종은 법당 왼쪽의 범종각에 보관되어 있는 종이다.
~~~~~~~~~~~~~~~~~~~~~~~~~~~~~~~~~~~~~
↜ 함평 향교리 느티나무·팽나무·개서어나무 숲 ↝
1962년 12월 3일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전남향교재단이 소유하고 있으며 차지하는 면적은 18,274㎡으로 수령은 대체로 350년 정도로 추정된다. 향교와 초등학교 옆에 있는 옛날의 도로변에 위치하고 있다. 팽나무 10그루, 느티나무 15그루, 개서어나무 52그루, 푸조나무·곰솔·회화나무·개잎갈나무가 각각 1그루씩 자라고 있다. 이곳에 줄나무가 만들어진 유래로는 지형적인 결함을 보충하기 위한 풍수설로 풀이되고 있다. 명륜당 남쪽에 있는 수산봉(水山峰)이 화산이므로 화기를 품어 그 재앙이 예상되었다. 이것을 막고자 유림의 대표인 이양휴(李楊休)등 몇 사람이 향교리에서 나무를 캐어 이곳에 옮겨 심었다고 한다. 이 숲은 바닷바람을 막는 방풍림으로서 기능이 컸다.
~~~~~~~~~~~~~~~~~~~~~~~~~~~~~~~~~~~~~
↜ 팔열부정각 ↝
* 여덟명의 열부를 기리는 정각, 팔열부정각 *
1975년 5월 22일 전라남도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이곳은 정유재란 때 정절을 지킨 여덟 명의 열부(烈婦)를 기리는 정각으로 조선시대인 1681년(숙종 7)에 현재의 자리에 세워졌고, 순절지인 묵방포(墨防浦)에는 순절비(殉節碑)가 세워졌다. 팔열부는 부군들이 왜군의 흉탄에 맞아 영광 삼서(森西:지금의 장성)에서 전사하였다는 비보를 듣고 영광 칠산 앞바다까지 피난하던 중 왜구의 추격을 받고 이곳에서 투신 자살했다. 여덟 열부는 정함일(鄭咸一)의 부인 이씨, 정경득(鄭慶得)의 부인 박씨, 정희득(鄭希得)의 부인 이씨, 정함일의 딸 정씨, 정운길(鄭雲吉)의 부인 오씨, 정주일(鄭主一)의 부인 이씨, 정절의 부인 김씨, 정호인(鄭好仁)의 부인 이씨 등이다. 정각은 정면 3칸, 측면 1칸의 단층 맞배집으로 익공계(翼工系)건축이며 사면이 벽체 없이 홍살로 둘러 있다.
~~~~~~~~~~~~~~~~~~~~~~~~~~~~~~~~~~~~~
[주의] 안내도 정보는 이동 경로 구성을 위한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십시오.
현재 탐색 경로가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이 점 양해 바랍니다.
~~~~~~~~~~~~~~~~~~~~~~~~~~~~~~~~~~~~~
함평 광임저수지, 용천사 안내도 ▼
함평 자연생태공원 안내도 ▼
함평 돌머리해변 안내도 ▼
자산서원 안내도 ▼
함평엑스포공원 안내도 ▼
함평보광사 안내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