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racking&Travel ↝
이 까페는 여행을 즐기는 사람들을 위한 카페입니다.
여행에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 전남 무안군 ↝
◀ 2023년 0월 0일(1일차) 전남 무안 관광 코스 ▶
↜ 식영정↝무안회산백련지↝(일로장터백반)↝전라남도청 남악호수↝초의선사유적지↝가란도다리 ↝
~~~~~~~~~~~~~
◀ 2023년 0월 0일(2일차) 전남 무안 관광 코스 ▶
↜ 송공산↝천사대교 관광안내소↝가란도다리↝무안 도리포해저유물 매장해역 ↝
◀ 2023년 0월 0일(1일차) 전남 무안 관광 코스 ▶
2023년 0월 0일(수) 대전 출발↝식영정 주차장↝무안회산백련지 주차장↝전라남도청 남악호수 주차장
↝초의선사 유적지 주차장↝무안비치호텔&압해펜션민박
충북 거리; 약 276.7km, 시간; 약 4시간
~~~~~~~~~~~~~~~~~~~~~~~~~~~~~~~~~~~~~~~~~~~~~~
↜ 경로주소 ↝
식영정 주차장; 전남 무안군 몽탄면 이산리 576-2↝무안회산백련지 주차장; 전남 무안군 일로읍 복룡리 160-3
↝(점심)일로장터백반 주차장; 무안군 일로읍 시장길 17-16↝전라남도청 남악호수 주차장; 무안군 삼향읍 오룡길 1
↝초의선사 유적지 주차장; 무안군 삼향읍 왕산리 943↝(X무안비치호텔; 무안군 망운면 톱머리길 36)
↝가란도다리 주차장; 전남 신안군 압해읍 분매리 산 1-6
↝압해펜션민박(2층)(바다앞); 061-271-9503, 신안군 압해읍 대벌길 230(조식 무료, 주중 4만원)
~~~~~~~~~~~~~~~~~~~~~~~~~~~~~~~~~~~~~~~~~~~~~~
◀ 2023년 0월 0일(1일차) 전남 무안 관광 코스 ▶
↜ 식영정↝무안회산백련지↝(일로장터백반)↝전라남도청 남악호수↝초의선사 유적지↝가란도다리 ↝
~~~~~~~~~~~~~~~~~~~
↜ 전남 무안군 ↝
↜ 무안회산백련지 ↝
전남 무안 가볼 만한 곳 회산백련지 매년 8월 백련대축제 개최되는 곳.
2023년 0월 0일(1일) 무안회산 백련지 트레킹 코스 ▶ 수변을 거닐 수 있는 목재데크는 안전 난간을 설치하여 보행자가 연못에 빠질 위험 없이 안심하고 산책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왕관처럼 보이는 전망대, 능소화 터널, 연못을 가로지르는 다리 그리고 연못 가장자리를 연결한 나무데크, 수변 데크 곳곳에 개구리를 의인화한 조형물들, 백마와 호박마차 조형물들...취사는 금지! 연꽃모양 건물이 1층 카페, 2층 식물원?으로 이루어진 백련카페...2층에도 자리있습니다. 2층서 마셔도 되어요.
~~~~~~~~~~~~~~~~~~~~~~~~~~~~~~~~~~~~
↜ 무안회산 백련지 ↝
무안회산백련지는 전남 무안군 일로읍 복용리에 위치해 있다. 전체면적이 10만평쯤 되는 이 연못은 동양 최대의 백련(白蓮) 자생지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일제 때에 농업용수를 확보하기 위해 인근 마을의 주민들이 피와 땀으로써 축조했다고 한다. 그러나 이젠 영산강 종합개발계획으로 인해 농업용수를 공급하는 기능은 거의 상실했다. 그지없이 평범하던 이 연못이 우리나라 제일의 백련(白蓮)자생지로 탈바꿈한 것은 순전히 고(故) 정수동씨의 덕택이다. 정씨는 한국전쟁이 끝난 직후인 1955년 여름 어느 날, 아이들이 발견한 연뿌리 12주를 이 저수지의 가장자리에 심었다. 전날 밤 꿈에 하늘에서 열두 마리의 학이 저수지에 내려와 앉는 광경을 보았던 터라, 정씨는 열의와 정성을 다해 백련을 보호하고 가꾸었다고 한다. 작은 개인의 위대한 힘에 의해 한국 제일의 생태공원이 탄생한 셈이다. 무안회산백련지의 백련꽃은 해마다 7월부터 9월에 걸쳐 피고 지기를 거듭한다. 그 석 달 가운데 가장 많은 꽃을 볼 수 있는 8월에는 연꽃축제가 열린다. 연꽃축제의 행사장으로 가는 길가에는 700평 규모의 수생식물 자연학습장도 조성돼 있다. 이곳에는 홍련을 비롯해 가시연, 왜연, 왜개연, 수련, 어리연, 노랑어리연, 순채, 물옥잠, 택사, 물양귀비, 물배추 등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각종 수생식물 들을 볼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멸종위기식물인 가시연꽃이 군락하는 것으로 밝혀지기도 했다. 이곳에서는 희귀한 백련의 특성을 활용, 1997년부터 매년 10만평의 회산 백련지에서 무안 연꽃 대축제를 개최해 오고 있으며, 700평 규모의 수생식물 자연학습장도 조성돼 있다. 연꽃의 원산지는 인도이다. 우리나라에는 언제 어떤 경로로 들어왔는지는 모르지만, 아주 오래 전부터 재배되어 왔다. 하지만 붉은 꽃을 피우는 홍련(紅蓮)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백련은 아주 드문 편이다. 더욱이 이곳처럼 온통 백련으로만 뒤덮인 곳은 달리 찾아보기 어렵다. 연꽃은 더러운 물 속에서 맑고 향기로운 꽃을 피운다. 불가(佛家)에서는 연꽃의 이런 특성이 불교의 근본적인 가르침과 같다고 해서 불교를 상징하는 꽃으로 여긴다. 연꽃을 만타라화 (曼陀羅花, 부처가 설법할 때 하늘에서 내려온다는 꽃)라 부르는 까닭도 거기에 있다.
관람시간; 하절기 (3월~10) 09:00~18:00, 동절기 (11월~2월) 09:00~17:00, 입장료및 주차료 무료
~~~~~~~~~~~~~~~~~~~~~~~~~~~~~~~~~~~~
↜ 식영정 ↝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37호
식영정 앞에는 아름다운 수변생태공간인 소망의 숲이라는 산책로도 있다.
무안 식영정은 승문원(承文院) 우승지를 지낸 한호(閑好)가 말년에 여생을 보내고자 지은 정자이다. 조선시대 1610년 (광해군 2)에 성균관 진사가 되고 1613년 증광문과에 합격하여 영암 군수, 진주목사, 남원부사 등을 지냈다는데... 그의 호 한호와 같이 한가로움을 좋아한다는 취지의 '그림자가 쉬었다 가는 곳'이라는 의미의 '식영정'으로 불리게 되었다고. 한호(閑好) 임연 선생이 무안에 터를 잡은 이후 학문 연구와 토론의 장으로 식영정이 쓰임을 다했다는데 영산강과 그 경관이 잘 어울려 많은 시인 묵객들과의 교류장이 되었다고 한다. 문인도제영(제목을 붙여 읊는 시)이 확인된 경우만도 28명이 92편이나 된다고.
이러한 인문적 측면에서 식영정은 영산강 유역의 대표 정자라고 할 수 있다.
현재의 건물은 1983년과 2004년에 고쳐지은 건물로 정면 3칸, 측면 3칸 규모의 팔작지붕 형태의 정자로 중앙에 방 한 칸과 이를 둘러싼 마루로 이루어져 있다. 정자 안에서는 정면으로 펼쳐진 영산강 풍경을 볼 수 있다고 한다.
~~~~~~~~~~~~~~~~~~~~~~~~~~~~~~~~~~~~
↜ 초의선사 유적지 ↝
* 초의 장의순 대선사를 기리는 곳, 초의선사 유적지 *
초의(장의순) 대선사의 출생지인 삼향면 왕산리 봉수산 자락에 그 분의 높은 정신을 기리고 추모의 장을 마련하였다. 초의선사의 생가가 위치한 이곳에 생가복원, 추모각, 추모비, 유물전시관, 다도관 등을 건립하고 있다.
* 초의선사 의순에 대하여 *
초의선사는 조선 정조10년(1786) 에 우리군 삼향면 왕산리에서 태어나 15세에 출가한 후 해남 대둔사 일지암에서 40여 년간 수행하면서 선 사상과 차에 관한 저술에 몰두하여 큰 족적을 남기신 분이다. 특히 당시 침체된 불교계에 새로운 선풍을 일으킨 대선사이자 명맥만 유지해 오던 한국 다도를 중흥시킨 다성으로서 지금까지 추앙을 받고 있으며 시, 서, 화에 능통하여 5절이라 일컬어지고 있다. 초의선사는 다산 정약용선생과 추사 김정희 선생 등 당대 최고의 거유 석학들과 깊은 교류를 통하여 도교는 물론 유교 등 범서에도 능통한 분이었다. 1866년 80세에 입적하였으며, 저서로는 《초의집(草衣集)》《선문사변만어(禪門四辨漫語)》 《이선내의(二禪來義)》가 있다. 1828년 지리산 칠불암에 머물면서 지은 차서(茶書)인 《다신전(茶神傳)》이 있다. 다신전의 내용은 찻잎따기, 차만들기, 차의 식별법, 차의 보관, 물을 끓이는 법, 차를 끓이는 법, 차를 마시는 법, 차의 향기, 차의 색 등 20여 가지 목차로 상세하게 다룬 책이다.
~~~~~~~~~~~~~~~~~~~~~~~~~~~~~~~~~~~~
↜ 톱머리 해수욕장&송고산 주변 숙박업소 ↝
압해펜션민박(바다앞)(2층); 061-271-9503, 전남 신안군 압해읍 대벌길 230(조식 무료, 주중 4만원)
무안비치호텔; 061)454-4900, 전남 무안군 망운면 톱머리길 36(스위트 6만 6천원)
해뜨는언덕모텔; 061)454-4936, 전남 무안군 망운면 톱머리길 66-4(트윈 5만원)
해양펜션; 061)452-0020, 전남 무안군 망운면 톱머리길 66-4
~~~~~~~~~~~~~~~~~~~~~~~~~~~~~~~~~~~~
↜ 무안 맛집 ↝
Tip. 김영철 동네 한바귀 방송 이후 혼잡 할수 있으니 전화이후 방문 추천 합니다.
일로장터백반; 061-282-8074, 전남 무안군 일로읍 시장길 17-16,
양파빵제작소; 010-5842-1709, 전남 무안군 해제면 현해로 1509, 영업시간; 매일 11;00~18;00,
Tip. 홀통해변 이곳의 특별한 여름별미 해파리물회
홀통장횟집; 061)453-1766, 무안군 현경면 홀통길 198, 리데오커피; 061)453-2800, 무안군 현경면 홀통길 156
◀ 2023년 0월 0일(2일차) 전남 무안 관광 코스 ▶
2023년 0월 0일(목)압해펜션 민박↝송공산 주차장↝천사대교 관광안내소 주차장↝가란도다리 주차장
↝무안 도리포해저유물 매장해역 주차장↝대전
거리; 약 291.4km, 시간; 약 4시간
~~~~~~~~~~~~~~~~~~~~~~~~~~~~~~~~~~~~
↜ 경로주소 ↝
송공산 주차장; 전남 신안군 압해읍 대천리 861-7↝천사대교 관광안내소 주차장 전남 신안군 압해읍 송공리 441-8
↝가란도다리 주차장; 신안군 압해읍 분매리 산 1-6↝도리포해저유물 매장해역 주차장; 무안군 해제면 송석리 4-13
~~~~~~~~~~~~~~~~~~~~~~~~~~~~~~~~~~~~
↜ 전남 무안군 ↝
◀ 2023년 0월 0일(2일차) 전남 무안 관광 코스 ▶
↜ 송공산↝천사대교 관광안내소↝가란도다리↝무안 도리포해저유물 매장해역 ↝
↜ 송고산(230.9m) 트레킹 ↝
↜ 수달장군 능창 기념비↝출렁다리↝팔각정 전망대↝송고산(230m)정상 ↝
2023년 0월 0일(목) 송고산 트레킹 코스 ▶ 수달장군 능창 기념비앞 주차장에 주차후 송고산성 임도길↝-이정표 (주차장 0.4km, 정상 0.5km, 출렁다리 0.8km, 웰빙숲1.8km)(숲지생태원, 우측으로 홀뫼산 뷰~)↝출렁다리로 진행↝완만한 등산로↝(암태로 이여지는 새천사대교 뷰~)↝완만한 임도길↝출렁다리(매화도 뷰~)↝완만한 임도길↝(암태로 이여지는 새천사대교 뷰~)이정표 정상(철쭉꽃길)↝침목계단 오름길↝팔각정 전망대, 돌탑(분재공원, 영산기맥 끝자락 유달산도 뷰~)↝이정표 (←팔각정자 0.3km,←천사섬 분재공원 1.4km, 정상 0.3km→)↝돌탑, 묘지, 송공산성지 안내문 간판(매화도 뷰~)↝송고산(23 0.9m)정상석&삼각점, 등나무 쉼터, 돌탑, 옹달샘, 송신탑, 산불 감시 초소(다도해 뷰~)↝U턴↝주차장
거리; 약 4km, 시간; 약 2시간 30분
등산코스; 주차장앞 도로건너↝등산로입구(등산안내도, 스트레칭그림, 송공산성지안내판)↝사거리갈림길(웰빙숲1,8km, 출렁다리0,8km, 정상0,5km)↝오솔길 출렁다리(50m)↝팔각정 전망대↝(송공성지유래문, 옹달샘)↝송고산(230.9m)정상석↝산불자동 감시장치↝등산로입구 4거리 갈림길↝주차장
~~~~~~~~~~~~~~~~~~~~~~~~~~~~~~~~~~~~
↜ 송공산성지(宋孔山城址) ↝
송공산(230m)정상에 축조된 송공산성은 정상부를 둘러싼 소형 테뫼식 산성으로 일제시기의 조사자료에 의하면 정상에 소형 석루와 우물1기가 있고 산한시대 축조되었다고 전한다. 또한 송공산성인근의 대천리 일대에는 58기의 고분이 조사보고 되었다. 이러한 정황으로 보아 압해동의 송공산성은 일찍부터 토착세력의 근거지로 활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
↜ 천사대교 관광안내소 ↝
천사날개 포토존... 천사대교 뷰~
이 있어서 사진맛집으로도 손색없는 목포 신안 천사대교관광안내소에 주변의 섬들의 갯수가 1004개고 천사대교를 지나서 무한의 다리로 가면 섬들을 연결한 다리를 걸어서 건너갈수 있게 만들어 놨다고 합니다.
~~~~~~~~~~~~~~~~~~~~~~~~~~~~~~~~~~~~
[주의] 안내도 정보는 이동 경로 구성을 위한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십시오.
현재 탐색 경로가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이 점 양해 바랍니다.
~~~~~~~~~~~~~~~~~~~~~~~~~~~~~~~~~~~~
식영정 안내도 ▼
무안회산백련지 안내도 ▼
전라남도청 남악호수 안내도 ▼
초의선사 유적지 안내도 ▼
송공산 안내도 ▼
가란도다리 안내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