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국 시,군 여행 자료

경북 상주(1박2일) ▶나각산↝상주보↝청룡사↝흥암서원↝상주임란북천전적지↝경천대↝정기룡장군유적↝연수암↝남장사

by 여행을즐기는사람 2023. 1. 22.
728x90

↜ Tracking&Travel 

이 까페는 여행을 즐기는 사람들을 위한 카페입니다.

여행에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경북 상주 

 2023년 0월 0일(1일차) 경북 상주 관광 트레킹 코스 

↜ 나각산 트레킹 

 2층 팔각정자(낙동정)출렁다리나각산(240.2m)정상2층 팔각정자(나각정) 

↜ 상주보청룡사흥암서원상주임란북천전적지 

~~~~~~~~~~~~~~~~~~~~~

 2023년 0월 0일(2일차) 경북 구미 관광 트레킹 코스 

↜ 상주경천대 트레킹 

돌탑길팔각정자경천대무우대드라마(상도)세트장출렁다리구름다리이색 조각공원소돌탑길

↜ 상주경천대정기룡장군유적연수암남장사 

 2023년 0월 0일(1일차) 경북 상주 관광 트레킹 코스 

2023년 0월 0일(수) 대전 출발나각산 주차장상주보인증센터 주차장청룡사 주차장흥암서원 주차장

상주임란북천전적지 주차장하야트모텔

거리; 약 149km,  시간; 약 3시간

~~~~~~~~~~~~~~~~~~~~~~~~~~~~~~~~~~~~

↜ 경유 주소 

나각산 주차장; 경북 상주시 낙동면 물량리 984-1상주보인증센터 주차장; 경북 상주시 중동면 오상리 780-1

청룡사 주차장; 경북 상주시 중동면 회상리 산 200-4흥암서원 주차장; 경북 상주시 연원동 770

상주임란북천전적지 주차장; 상주시 만산동 701-1하야트모텔; 054)531-9777, 경북 상주시 무양1길 12-18, 

~~~~~~~~~~~~~~~~~~~~~~~~~~~~~~~~~~~~

 경북 상주 

 2023년 0월 0일(1일차) 경북 상주 관광 트레킹 코스 

↜ 상주보청룡사흥암서원상주임란북천전적지 

~~~~~~~~~~~~~

↜ 나각산 트레킹 

↜ 2층 팔각정자(낙동정)출렁다리나각산(240.2m)정상2층 팔각정자(나각정) 

경북 상주 나각산은 전망대와 출렁다리 등 볼거리가 있고 낙동강이 흐르고 있어서 뷰~

가벼운 코스여서 아이들과 가볍게 나들이 가기 좋은 산입니다. 

2023년 0월 0일 나각산 트레킹 코스 ▶ 입구에 화장실과 해충기피제분사기랑 먼지털이기가 있음이정표나각산 등산로완만한 임도길이정표 나각가산 출렁다리 0.9km, 낙가산 전망대 1.2km완만한 임도길나무계단나무계단 3곳을 오르면   2층 팔각정자(낙동정)낙강정 전망대에 도착 한다.(전망대옆 출렁다리, 낙동강, 만경산 뷰~)출렁다리(길이가 30 m)를 건너 조금만 가시면 나각산(240.2m)정상 나각산 전망대, 2층 팔각정자(나각정)에서 북쪽을 바라보면 (출렁다리와 낙강정, 첩첩이 이어지는 산자락과 낙동강의 풍경 뷰~)U턴

거리; 약 2km,  시간; 약 2시간 소요.(정상까지 가는데 30분~40분 정도 소요.)

~~~~~~~~~~~~~~~~~~~~~~~~~~~~~~~~~~~~

 낙동강 경천대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 삼덕리 산에 있는 관광지로 상주 지역을 관통하여 흐르는 낙동강의 전망을 바라볼 수 있는 전망대이다. 1628년 병자호란이 발발하였을 때 소현세자와 봉림대군(조선 17대 효종)이 청(淸)으로 볼모로 갔을 적에 주치의로 동행한 채득기가 낙동강에 터를 닦고 세운 전망대로 하늘이 탁트이고 경이롭게 보여서 자천대(自天臺)라고 지었다가 후에 지금의 이름으로 변경하였다. 전설로는 조선의 장수 정기룡이 용마를 만나서 말에게 먹이를 주었다는 말먹이통이 있다.

조선왕조 당시에는 경상도 출신 유림 및 유생들이 풍류와 여가를 즐겼던 곳이었으며 멀리 주흘산과 학가산, 낙동강과 그 사이에 있는 상주 지역의 논밭이 보이게 된다.

여름에는 논밭이 푸르게 보여지며 가을 추수철에는 누렇게 익어간 모습을 볼 수 있다.

~~~~~~~~~~~~~~~~~~~~~~~~~~~~~~~~~~~~

 정기룡장군유적 

* 임란 당시 명장 정기룡 장군을 모시는 곳, 충의사(정기룡장군 유적지) *
충의사는 조선 선조 때 무장으로 임진왜란시 육전의 명장으로 큰 공을 세우신 정기룡장군의 위패를 모신 곳이다. 충의사, 신도비, 장군 묘소와 같이 1974년 지방문화재 기념물 제 13호로 지정되었고, 1978년 호국유적 정화 사업으로 당초 16.5m² 정도의 사당을 약 13,223m²의 부지에 사당, 전시관, 관리사무소 등으로 확장 정비한 호국사상의 성지이다. 전시관에는 보물 제 669호인 5점(교서 2점, 교지, 신패, 옥대 각 1점)과 동산문화재(교지 19점, 매헌실기 판목 58판)를 전시하고 있다. 또한 매년 10월 무렵 지역 주민이 임진왜란 당시 상주성을 탈환하던 장면을 재현하여 장군의 호국사상을 홍보, 계승하고 있다.
* 임진왜란 당시의 명장, 정기룡 장군에 대하여 *
정기룡 장군은 1562년 (명종17년) 경남 하동군 금남면에서 출생하여, 20세 때 상주로 천거, 25세에 무과에 급제하여, 왕명에 의해 기룡으로 개명하였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적은 군사로 크고 작은 60여회의 싸움에서 많은 왜병을 물리쳤다. 상주판관으로 있을 당시 격전 끝에 상주성을 탈환하였다. 이후 경상우도병마절도사, 경상도방어사, 3도통제사 겸 경상우도수군절도사로 재직하다가 병사하였다. 시호는 충의(忠毅)이다.

~~~~~~~~~~~~~~~~~~~~~~~~~~~~~~~~~~~~

↜ 전고령가야왕릉 ↝

경상북도 기념물 제26호. 1기. 원형봉토분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권29 함창현(咸昌縣)의 건치연혁조에 의하면 함창은 ‘본래 고령가야국이었는데, 신라가 빼앗아 고동람군(古冬攬郡, 일명 古陵)으로 하였다가 경덕왕 때에 고령(古寧)으로 고쳤다’고 하였다.

전하는 말에 의하면, 서기 41년(유리이사금 18)낙동강을 중심으로 일어난 육가야 중 이곳 함창에 고령가야국을 건국한 태조왕의 왕릉을 ‘서릉(西陵)’, 왕비릉을 ‘동릉(東陵)’이라 한다. 1592년‘古寧國太祖伽倻王陵(고령국태조가야왕릉)’이라고 음각되어 있는 묘비가 발견되어 당시 관찰사 김수(金睟)와 함창현감 이국필(李國弼) 등에 의하여 확인된 뒤 함창김씨(咸昌金氏)의 자손들이 매년 10월 1일과 3월 15일에 향사를 지내오고 있으며, 1712년(숙종 38) 왕명에 의하여 묘비(墓碑)와 석물(石物)을 다시 건립하였고, 그 뒤 수차례 비를 다시 세워 지금에 이르고 있다.

왕릉은 삼국시대의 일반적인 원형봉토분으로 약간 구릉진 지대에 있으며, 능의 크기는 직경 6.7m, 둘레 21m, 높이 3m이며, 앞에는 비석 1기, 석등 1기, 상석 1기, 석상 1쌍, 석수 2쌍이 있다. 왕릉 앞의 50m 지점에 재사(齋祠)인 만세각(萬歲閣)이 있다. 그리고 여기서 200m 정도 떨어진 동편의 구릉진 쪽에 왕비릉이 남향으로 자리하고 있다.

~~~~~~~~~~~~~~~~~~~~~~~~~~~~~~~~~~~~

 상주 임란북천전적지 

* 임란 당시 호국의 성지, 임란북천 전적지 *
임란 북천 전적지는 임진왜란 당시 조선의 중앙군과 향군이 왜군의 주력부대와 회전하여 900여명이 순국한 호국의 성지이다. 1592년 왜군이 부산에 상륙하자, 이를 막기 위해 조선의 중앙군 약 60여 명이 남하하였다. 이들과 상주 판관 권길, 박걸이 밤새워 소집한 장정 800여명 등 900여명이 17,000여 명의 왜병과 분전하여 전원이 순국한 곳이다. 1988년 지방기념물 제77호로 지정되었다.
* 임란 당시 순국한 사람을 배향하는 충렬사 *
충렬사를 건립하여 그 당시 순국한 윤섬, 권길, 김종무, 이경류, 박호, 김준신, 김일, 박걸, 무명 열사의 위패를 배향 하였다. 매년 양력 6월 4일 제향 행사를 거행하여 그 분들의 넋을 기리고, 후세들에게 역사의 산 교육장으로 활용되고 있다. 침천정은 조선시대 1577년(선조 10년)에 상주목사 정곤수가 상주읍성 남문 밖에 건립하고 연당이라 이름지어 선비들의 휴식처나 글 짓는 곳으로 사용하던 관정이었다.

~~~~~~~~~~~~~~~~~~~~~~~~~~~~~~~~~~~~

 청룡사 

* 비봉산 중턱에 위치한 아름다운 사찰, 청룡사(상주)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 오상리 비봉산(飛鳳山) 중턱의 가파른 절벽 위에 세워져 낙동강을 굽어보고 있다. 청룡사가 있는 중동면은 상주의 동쪽에 위치한다. 사찰이 많은 상주 지역이지만 낙동강이 감고 도는 중동면 일대에는 청룡사가 유일하다. 상주에서 동쪽으로 낙동면을 지나면 낙동강 중류와 만난다. 1674년(현종 14)에 창건되었다고 전해지며, 중창과 관련된 기록이 인근 도남서원(道南書院)에 보관되어 있다고 한다. 사찰은 주 전각인 극락전과 산신각·요사·종각으로 이루어져 있다.
* 청룡사의 구조 및 볼거리 *
극락전은 정면 3칸·측면 2칸 규모의 팔작지붕 건물로, 단청이 되어 있지 않다. 내부에는 목조보살상이 2층 누각의 화려한 보궁 안에 모셔져 있는데 높은 보관을 쓰고 한 손에 보주(寶珠)를 든 채 금칠한 사자상(獅子像) 위의 연화대좌에 앉아 있는 형태로, 일제강점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목조보살상 왼쪽 불단에는 경주 옥석으로 제작했다는 높이 40cm의 지장보살좌상이 있다. 머리에 모자를 쓴 이른바 피모지장(被帽地藏)에 천의를 걸친 양식으로 보아 처음 조성했을 때에는 한 손에 지팡이를 잡고, 다른 손에 보주를 들었을 것으로 여겨진다.극락전 앞으로는 지름 130cm가 넘는 석조 좌대 1점과 이와 비슷한 크기의 맷돌 1점이 있는데 이 유물들은 오래 전에 청룡사가 많은 대중들의 수행처였음을 짐작하게 해준다. 오층석탑 1기도 극락전 앞에 세워져 있다. 산신탱을 봉안하는 산신각은 정면 1칸·측면 1칸의 팔작지붕 건물로, 극락전 뒤쪽에 자리 잡고 있으며, 절벽 끝으로는 종각이 있다. 요사는 2층 규모의 현대식 건물이다.

청룡사(비봉산 230.5m)

거리; 약 2km, 시간; 약 1시간 30분

~~~~~~~~~~~~~~~~~~~~~~~~~~~~~~~~~~~~

 상주 시외버스터미널 주변 숙박업소 ↝

하야트모텔; 054)531-9777, 경북 상주시 무양1길 12-18, 탑모텔; 054)531-3455, 경북 상주시 무양1길 12-10

블루모텔; 054)536-7500, 경북 상주시 무양2길 8, 황금모텔; 경북 상주시 무양1길 12-14, 

블루모텔; 054)536-7500, 경북 상주시 무양2길 8

 2023년 0월 0일(2일차) 경북 구미 관광 트레킹 코스 

0월 0일(목) 하야트모텔상주경천대 주차장정기룡장군유적 주차장연수암 주차장남장사 주차장대전

거리; 약 126.8km,  시간; 약 3시간

~~~~~~~~~~~~~~~~~~~~~~~~~~~~~~~~~~~~

↜ 경유 주소 

상주경천대 주차장; 상주시 사벌국면 삼덕리 산 12-2정기룡장군유적 주차장; 상주시 사벌국면 금흔리 367-2

연수암 주차장; 경북 상주시 연원동 195남장사 주차장; 경북 상주시 남장동 503-1

~~~~~~~~~~~~~~~~~~~~~~~~~~~~~~~~~~~~

 2023년 0월 0일(2일차) 경북 구미 관광 트레킹 코스 

↜ 상주경천대정기룡장군유적연수암남장사 

↜ 상주경천대 트레킹 

돌탑길팔각정경천대무우대드라마(상도)세트장출렁다리구름다리이색 조각공원소돌탑길

2023년 0월 0일 상주경천대 트레킹 코스 상주경천대 주차장에서 정기룡 장군동상에서 말조형물 말타기낙동강 자전거길로 진행유래비전망대방면 진행돌계단돌탑길↝3층 팔각정 건물 전망대이정표 삼거리에서 경천대,무우정방면으로 하산경천대(낙동강 뷰~)천년송무우대사각정자쉼터목교계단오른후 좌측 드라마(상도)세트장(낙동강 뷰~) 관람후 되돌아와 이정표 출렁다리방면 나무계단오름길돌계단 오름길출렁다리구름다리 건너 자정거길로 되돌아와 경천대 팔각정자 식당에서 식사후 이색 조각공원을 둘러보고 소돌탑길로 내려와 상주경천대 주차장에 도착

거리; 약 3km,  시간; 약 2시간 소요.

~~~~~~~~~~~~~~~~~~~~~~~~~~~~~~~~~~~~

[주의] 안내도 정보는 이동 경로 구성을 위한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십시오. 

       현재 탐색 경로가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이 점 양해 바랍니다.  

~~~~~~~~~~~~~~~~~~~~~~~~~~~~~~~~~~~~

상주 나각산 안내도 

상주 청룡사, 비봉산 안내도 

상주 흥암서원 안내도 

상주 임란북전적지 안내도 

상주 경천대 안내도 

상주 정기룡장군유적 안내도 

상주 연수암 안내도 

상주 남장사 안내도 

경천섬공원 주변 관광지 안내도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