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국 시,군 여행 자료

경북 의성(1박2일) ▶대곡사&대곡사 석조암&비봉산↝비안향교↝만장사↝수정사↝의성 경덕왕릉↝의성향교↝의성 만취당↝고운사

by 여행을즐기는사람 2023. 1. 22.
728x90

↜ Tracking&Travel 

이 까페는 여행을 즐기는 사람들을 위한 카페입니다.

여행에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경북 의성 

 2023년 0월 0일(1일차) 경북 의성 관광 트레킹 코스 

 대곡사&대곡사 석조암&비봉산비안향교만장사수정사의성 경덕왕릉 

~~~~~~~~~~~~~~~~~~~~~

 2023년 0월 0일(2일차) 경북 의성 관광 트레킹 코스 

 의성향교의성 만취당고운사 

 2023년 0월 0일(1일차) 경북 의성 관광 트레킹 코스 

2023년 0월 0일(수) 대전 출발대곡사&대곡사 석조암&비봉산 주차장비안향교 주차장만장사 주차장

수정사 주차장의성 경덕왕릉 주차장모텔신라

거리; 215.8km,  시간; 4시간 30분

~~~~~~~~~~~~~~~~~~~~~~~~~~~~~~~~~~~~~~~

 경로주소 

대곡사&대곡사 석조암&비봉산 주차장; 의성군 다인면 봉정리 892~비봉산 주차장; 의성군 다인면 양서리 산 19-6

비안향교 주차장; 경북 의성군 안계면 교촌리 286-4만장사 주차장; 경북 의성군 비안면 모산길 109

수정사 주차장; 의성군 금성면 수정사길 420의성 경덕왕릉 주차장; 의성군 금성면 동부로 2545모텔신라

~~~~~~~~~~~~~~~~~~~~~~~~~~~~~~~~~~~~~~~

 2023년 0월 0일(1일차) 경북 의성 관광 트레킹 코스 

↜ 대곡사&대곡사 석조암&비봉산비안향교만장사수정사의성 경덕왕릉 

2023년 0월 0일 경북 의성 관광 트레킹 

~~~~~~~~~~~~~~~~~~~~~~~~~~~~~~~~~~~~~

 대곡사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비봉산(飛鳳山)에 있는 고려후기 인도의 승려 지공이 창건한 사찰.

대한불교조계종 제16교구 본사인 고운사(孤雲寺)의 말사이다. 비봉산은 고려 이전에는 태행산(太行山), 조선에서는 자미산(紫薇山)이라고 하였다. 1368년(공민왕 17) 인도승 지공(指空)이 창건하여 대국사(大國寺)라 하였는데, 이는 지공이 원나라와 고려의 양대국을 다니면서 불법을 편 것을 기념하기 위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그 뒤 조선 세종 때는 교종(敎宗)에 속하였고, 1605년(선조 38) 탄우(坦祐)가 중창하였으며, 1687년(숙종 13) 태전선자(太顚禪子)가 중건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대웅전·명부전(冥府殿)·범종루(梵鐘樓)·산신각·일주문·요사채 등이 있다. 이 중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60호로 지정된 대웅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으로서 내부에는 석가여래삼존불과 후불탱화, 신중탱화(神衆幀畫) 등이 봉안되어 있다. 범종각은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61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정면과 측면이 모두 3칸이고 팔작지붕의 2층건물이다. 명부전은 정면 5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 건물이며, 전 안에는 지장보살(地藏菩薩)과 명부시왕(冥府十王) 등이 봉안되어 있다. 이 밖의 문화재로는 고려 말기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13층 청석탑(靑石塔)과 하대석·간석(竿石)만 남아 있는 석등대석(石燈臺石)이 있다. 대곡사에서 약 1㎞ 산 위쪽에 근래에 중수된 진영각(眞影閣)이라는 암자가 있는데, 이곳이 바로 대곡사가 창건된 자리라고도 한다. 이곳에는 지공·나옹(懶翁)·무학(無學)·서산(西山)·사명(四溟) 등 10여 명의 고승 진영을 봉안하고 있다. 대곡사에서는 매년 인근 지역의 노인들을 위하여 경로잔치를 벌이고 있다.

~~~~~~~~~~~~~~~~~~~~~~~~~~~~~~~~~~~~~~

↜ 비안향교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에 있는 조선시대 에 창건된 향교. 교육시설. 문화재자료.

조선시대 때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처음에는 당시 비안현(比安縣)에 있었는데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그 뒤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였으며, 1898년·1924년·1935년에 각각 중수하였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8칸의 대성전, 3칸의 동무(東廡), 4칸의 서무(西廡), 6칸의 명륜당, 3문(三門) 등이 있으며, 대성전에는 5성(五聖), 송조6현(宋朝六賢), 우리나라 18현(十八賢)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전적·노비 등을 지급받아 교관이 교생을 가르쳤으나, 갑오개혁 이후 신학제 실시에 따라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고, 봄·가을에 석전(釋奠)을 봉행하며 초하루·보름에 분향을 하고 있다. 현재 전교(典校) 1명과 장의(掌議) 두어 명이 운영하고 있다.

~~~~~~~~~~~~~~~~~~~~~~~~~~~~~~~~~~~~~

 만장사석조여래좌상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22호. 이 불상은 만장사의 주지로 있던 대관(大觀) 스님이 1999년 1월에 새로 불사를 일으키면서 암자 뒤쪽에 묻혀 있는 불상 1구를 발견하여 수습한 석조여래좌상이다. 통일신라 9세기에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만장사는 본래 화장사(花長寺)였으나 대관 스님이 중창할 때 만장사로 개명했다.

~~~~~~~~~~~~~~~~~~~~~~~~~~~~~~~~~~~~~

 수정사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비봉산(飛鳳山)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승려 의상이 창건한 사찰.

대한불교조계종 제16교구 본사인 고운사(孤雲寺)의 말사이다.

신라 신문왕 때 의상(義湘)이 창건했다고 한다. 조선 중기까지의 연혁은 전하지 않는다. 1481년(성종 12)에 편찬된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는 수량사(水量寺)라고 나와 있으나, 신경준(申景濬)이 편찬한 『가람고(伽藍考)』에는 ‘지금은 수정사라고 부른다’고 나와 있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당시에 유정(惟政)이 머물면서 금성산(金城山)에 진을 치고 왜적을 격퇴했다. 절의 규모가 컸으나 1835년(헌종 1) 큰 불로 대광전만 남기고 모두 탔다. 그 뒤 전홍(展鴻)이 옛터 위쪽 지금의 자리에 중창하였다. 1965년 이래 6년 동안 월산(月山)이 중수하여 요사와 월영루, 격외선원, 사명영당, 영지, 축대 등을 세웠다. 1973년에는 정부의 보조금으로 성견(性見)이 대광전을 중수하고, 향각(香閣)을 중건하였다. 이어 1993년 주지 총혜(聰惠)가 명부전과 범종각을 새로 짓고, 산신각과 설선당(說禪堂)을 수리하였다. 건물로는 대광전을 비롯하여 명부전, 월영루, 격외선원, 사명영당, 산신각, 설선당, 요사채 등이 있다. 유물로는 유정의 영정을 비롯하여 응규(應奎), 전홍의 영정 등이 있다.

~~~~~~~~~~~~~~~~~~~~~~~~~~~~~~~~~~~~~

 의성 경덕왕릉 ↝

* 삼한시대 부족국가 조문국의 왕릉, 경덕왕릉 *
의성읍에서 남쪽으로 4㎞ 못 미쳐 금성면 대리리에 위치하고 있는 고분군 중에 조문국 경덕왕릉이라고 추정되는 무덤이 있다. 조문국은 삼한시대의 부족국가였던 나라로 현재의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일대를 도읍지로 하여 존속하다가 185년(신라 벌휴왕 2년)에 신라에 병합되었다고 전한다. 하지만 조문국이 실재했었다는 기록은 삼국사기에 짧게 언급되어 있을 뿐 문헌자료는 거의 남아 있지 않다. 옛 조문국 경덕왕릉은 그 형식이 전통적인 고분으로서 봉 아래 화강석 비석과 상석이 있다. 능의 둘레가 74m, 높이가 8m이며 능의 정면에는 가로 42㎝, 세로 22㎝, 높이 1.6m의 비석이 서있다. 1725년(영조 원년) 현령 이우신이 경덕왕릉을 증축하고 하마비 등을 세웠다고 하는데 그때부터 왕릉제사를 지내오다가 일제강점기에 중단되었고, 그후 경덕왕릉보존회가 구성되어 다시 제사를 지내고 있다. 소나무로 둘러싸인 묘역은 ‘조문국경덕왕릉’이라고 쓰여진 비석과 문인석·장명등·상석으로 단장되어 있다.
* 경덕왕릉이 발견된 전설에 대하여 *
경덕왕릉이 발견된 배경에 대한 신기한 전설이 조선 숙종 때 허미수 문집에 실려있다. 현재의 능지는 약 500년 전에 오극겸의 외밭이었다. 외를 지키던 어느 날 밤 꿈에 금관을 쓰고 조복을 한 백발의 노인이 나타나서 “내가 신라시대 조문국의 경덕왕인데 너의 원두막이 나의 능위이니 속히 철거를 하라.”고 이르고는 외직이의 등에다 한줄의 글을 남기고 사라졌다. 이에 놀란 외밭 주인은 일어나 보니 꿈속에 노인이 써준 글이 그대로 자기 등에 씌어 있어 현령께 고하고 지방의 유지들과 의논하여 봉분을 만들고 매년 춘계향사를 올렸으며 지금도 제례행사는 계속되고 있다.

~~~~~~~~~~~~~~~~~~~~~~~~~~~~~~~~~~~~~

↜ 의성 군청 주변 숙박시설 

모텔신라; 054-832-0015, 의성군 의성읍 동서1길 13, 금성모텔; 054-832-2228, 경북 의성군 금성면 탑리2길 32-1

 2023년 0월 0일(2일차) 경북 의성 관광 트레킹 코스 

2023년 0월 0일(수)  위너스모텔의성향교 주차장의성 만취당 주차장고운사 주차장대전

거리; 180.6km,  시간; 3시간

~~~~~~~~~~~~~~~~~~~~~~~~~~~~~~~~~~~~~~~

 경로주소 

모텔신라의성향교 주차장; 의성군 의성읍 향교길 57의성 만취당 주차장; 의성군 점곡면 일직점곡로 1139

고운사 주차장; 경북 의성군 단촌면 고운사길 415대전

~~~~~~~~~~~~~~~~~~~~~~~~~~~~~~~~~~~~~

 2023년 0월 0일(2일차) 경북 의성 관광 트레킹 코스 

↜ 의성향교의성 만취당고운사 

2023년 0월 0일 경북 의성 관광 트레킹 코스 

~~~~~~~~~~~~~~~~~~~~~~~~~~~~~~~~~~~~~

↜ 의성향교 

1394년(태조 3)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창건되었다.

1545년(인종 1) 중수하였고, 그밖에 자세한 기록은 전하지 않고 있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성전 등이 있으며, 대성전에는 5성(五聖), 송조4현(宋朝四賢), 우리나라 18현(十八賢)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전적·노비 등을 지급받아 교관 1명이 전원 30명의 교생을 가르쳤으나, 갑오개혁 이후 신학제 실시에 따라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고 봄·가을에 석전(釋奠)을 봉행하며, 초하루·보름에 분향하고 있다.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운영은 전교(典校) 1명과 장의(掌議) 수명이 담당하고 있다.

~~~~~~~~~~~~~~~~~~~~~~~~~~~~~~~~~~~~~

 의성 만취당 

* 가장 오래된 목조건물, 의성 만취당 *
만취당은 조선시대 퇴계 이황의 제자이며 부호군을 지낸 김사원(金士元) 선생이 선조(宣祖) 15년(1582)부터 3년간에 걸쳐 완성하였으며, 자신의 호를 따서 만취당이라 하였다. 그 후 숙종(肅宗) 32년 (1711)부분적인 보수가 있었고, 영조(英祖)3년(1727)에는 동쪽 방(복제-復齊)을 동왕 40년(1764)에는 서쪽 방을 증축함으로써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전체적인 형태는 'T' 자형이고 우물마루와 온돌방이 꾸며져 있으며, 영주의 부석사 무량수전(국보)과 함께 가장 오래된 사가(私家)의 목조건물로 꼽힌다. 현판의 글씨는 김사원과 동문인 명필가 석봉(石峯) 한호(韓濩)가 썼다.
* 만취당의 구조와 배치 *
만취당은 정면 4칸, 측면 2칸이다. 창건 이후 줄곧 김씨 종가의 대청 겸 문중 집회소로 이용하다가 1727년(영조 3) 거실로 사용하기 위해 건물 뒤편 서쪽에 1칸, 동쪽에 2칸의 방을 연결하여 지었다. 평면 형태는 복재와 서소익실이 누각 뒤쪽에 동·서로 붙어 있어 전체적으로 T자형을 이루며, 우물마루와 온돌방이 설치되었다. 누각은 기둥머리에 초익공이 짜여진 5량가구(五樑架構)에 팔작지붕이며, 양쪽 익사(翼舍)는 맞배지붕이다.

지정현황; 경북유형문화재, 지정연도; 1983년 6월 20일, 시대; 조선시대, 크기; 정면 4칸, 측면 2칸, 분류; 누(정)각

~~~~~~~~~~~~~~~~~~~~~~~~~~~~~~~~~~~~~

↜ 의성 고운사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구계리 등운산에 있는 절.

대한불교조계종 제16교구 본사이다. 681년(신문왕 1) 의상이 창건할 당시에는 고운사라 했는데 최치원이 여지·여사 두 승려와 함께 가운루와 우화루를 짓고 이를 기념하기 위해 그의 호를 따라 '孤雲寺'로 이름을 바꾸었다고 한다.

948년(정종 3) 운주가 중창했으며 1018년(현종 9)에는 천우가 대웅전·약사전·극락전·적묵당·설선당 등을 중창했다. 그뒤에도 여러 승려에 의해 중창이 있었으며 1835년(헌종 1) 화재로 소실되자 만송·호암·수열 등이 함께 재건했다. 근대까지 재건과 중수가 계속되었는데 현존하는 당우로는 대웅전·극락전·관음전·명부전·금강문·가운루·적묵당·우화루·동별실·서별실·금당·회운당·고운대암·고금당 등 25개가 있다. 가운루는 경상북도유형문화재 제151호로, 석불좌상은 보물 제246호로, 3층석탑은 경상북도문화재자료 제28호로 지정되어 있다.

* 의성 고운사 석조여래좌상 *

보물 제246호. 불상 높이 79cm, 대좌 높이 72cm, 광배 높이 134cm. 불신·광배·대좌가 모두 완전한 상태이다.

~~~~~~~~~~~~~~~~~~~~~~~~~~~~~~~~~~~~~

[주의] 안내도 정보는 이동 경로 구성을 위한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십시오. 

       현재 탐색 경로가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이 점 양해 바랍니다.  

~~~~~~~~~~~~~~~~~~~~~~~~~~~~~~~~~~~~

의성 대곡사 안내도 

의성 대곡사~비봉산 안내도 

의성 만장사 안내도 

의성 수정사 안내도 

의성 경덕왕릉 안내도 

의성 사촌마을(만취당, 민산정) 안내도 

의성 고운사 안내도 

의성 1일 관광코스 안내도 

의성 2일 관광코스 안내도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