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 안성 관광 트레킹 코스 ▶
↜ Tracking&Travel ↝
이 까페는 여행을 즐기는 사람들을 위한 카페입니다.
여행에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 경기 안성 ↝
◀ 2023년 0월 0일(1일차) 경기 안성 관광 트레킹 ▶
↜ 죽주산성&성은사↝매산리석불입상↝칠장사↝국사암 ↝
~~~~~~~~~~~~~~~~~~~~~~~~~~~~~~~~~~~~~
◀ 2023년 0월 0일(2일차) 경기 안성 관광 트레킹 ▶
↜ 덕봉서원↝운수암↝석남사 ↝
0월 0일(1일차) 대전 월평동 출발↝죽주산성&성은사 주차장↝매산리석불입상 주차장↝칠장사 주차장
↝국사암&국사봉 주차장↝호텔루엠
거리; 약 138.8km, 시간; 약 3시간
~~~~~~~~~~~~~~~~~~~~~~~~~~~~~~~~~~~~~~~
↜ 경로주소 ↝
죽주산성&성은사; 경기 안성시 죽산면 매산리 산 105-1↝매산리석불입상; 경기 안성시 죽산면 매산리 357-8
↝칠장사; 경기 안성시 죽산면 칠장리 790↝국사암&국사봉 트레킹; 경기 안성시 삼죽면 텃골길 80-100↝호텔루엠
~~~~~~~~~~~~~~~~~~~~~~~~~~~~~~~~~~~~
↜ 경기 안성 ↝
◀ 2023년 0월 0일(1일차) 경기 안성 관광 트레킹 ▶
↜ 죽주산성&성은사↝매산리석불입상↝칠장사↝국사암 ↝
2023년 0월 0일 0 트레킹 ▶죽주산성&성은사↝매산리석불입상↝칠장사↝국사암 관광 트레킹
~~~~~~~~~~~~~~~~~~~~~~~~~~~~~~~~~~~~
↜ 죽주산성 ↝
태평미륵이 등을 기대고 서 있는 매산리 비봉산에 죽주산성이 있다. 죽주산성은 신라 때 내성을 쌓고, 고려 때 외성을 쌓았다. 언제 쌓았는지 알 수 없는 본성은 1.7㎞이고, 외성 1.5㎞, 내성 270m로 세겹의 석성이 지금도 남아있고 보전 상태가 좋다. 죽주산성은 특히 임진왜란 때 격전지였다. 왜군에게 내주고 말았던 죽주산성을 황진 장군이 기습작전으로 탈환에 성공하자 왜군은 더 이상 용인과 이천을 넘보지 못했다. 포루가 만들어진 산정에 올라서면 안성벌, 이천ㆍ장호원이 한눈에 잡힌다. 충청, 전라, 경상도의 삼남과 서울을 이어주는 교통의 요충지이자 군사 전략적인 요새였던 이곳을 아군의 기지로 삼으려는 시도는 나라마다, 전시마다 치열하였다. 경기도 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는 산성의 내성 곁에는 몽고군을 물리친 송문주 장군의 전공영각과 재실이 있다. 재실을 지나쳐 내려오면 쉼터가 있다. 죽주산성을 이리저리 둘러보는 것보다는 산성을 따라 산책하듯 걸어보는 맛이 일품이다. 주변의 울창한 소나무와 침엽수들이 길동무를 해주어 상쾌한 발걸음을 재촉한다.
~~~~~~~~~~~~~~~~~~~~~~~~~~~~~~~~~~~~~~~
↜ 매산리석불입상 ↝
안성 매산리 석불입상(安城 梅山里 石佛立像)은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매산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석불이다. 1973년 7월 10일 경기도의 유형문화재 제37호로 지정되었다. 경기도 안성에 있는 높이 3.9m의 보살상으로 머리에는 보관(寶冠)이 높이 솟아 있는데, 고려 초기 보살상에서부터 흔히 나타나는 모습이다. 얼굴은 넙적하고 눈·코·입은 비례가 맞지 않아 독특한 인상을 주고 있다. 이러한 토속적인 얼굴은 높은 관과 더불어 보살상의 시대적인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얼굴에 비해서 체구는 작은 편이며 어깨는 둥글고 가슴은 듬직하게 처리되어 있다. 왼쪽 어깨만을 감싸고 있는 옷은 다소 두꺼우며, 상체에는 왼쪽 어깨에서 시작된 간략한 주름이 표현되고, 하체에는 계단식으로 처리된 U자형의 옷주름이 표현되었다. 양 손목에는 팔찌를 하고 있는데, 오른손은 가슴에 들어 손바닥을 밖으로 해서 보이게 했으며 손가락을 구부려 멋을 부리고 있고, 왼손은 복부에서 손등을 밖으로 향하고 있다. 두 다리는 정면으로 꼿꼿하게 서 있는데 다소 둔중하지만 다리 표현은 분명한 편이다. 듬직하고 우람하게 표현된 이 거구의 보살상은 개태사 석불입상(보물 제219호) 등 고려 초기 석불상들과 함께 당시의 대표적인 석조보살상으로 높이 평가된다.
~~~~~~~~~~~~~~~~~~~~~~~~~~~~~~~~~~~~~~~
↜ 칠장사 ↝
대한불교조계종 제2교구 본사인 용주사의 말사이다. 636년(선덕여왕 5)에 자장율사가 창건했고, 고려초 혜소가 현재 비가 있는 자리에 홍제관을 짓고 수도를 할 때 7명의 악인을 교화제도하여 득도의 경지에 이르게 했기 때문에 산이름을 칠현산이라 했다고 한다. 1014년(현종 5) 왕명으로 절을 크게 중창한 뒤에도 여러 차례의 중수와 중건이 있었다. 1674년(현종 15)에는 어떤 세도가가 산을 빼앗아 승려들이 흩어지는 비운을 겪었으나 초견이 절을 다시 찾아 중수했다. 현존 당우로는 대웅전·원통전·영각·명부전·천왕문·요사채 등이 있다. 중요문화재로는 인목대비의 친필 족자(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4호), 대웅전(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14호), 천왕문 안에 있는 소조사천왕상(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15호), 혜소국사비(보물 제488호), 삼불회괘불탱(보물 제1256호)이 있다. 이밖에 절 입구에 고려시대의 철제 당간지주와 부도 14기 등이 있다.
~~~~~~~~~~~~~~~~~~~~~~~~~~~~~~~~~~~~~~~
↜ 국사암&국사봉 트레킹 ↝
국사봉 정상으로 향하면 국사암이라는 작은 절이 바위 틈새를 비집고 앉아 있다.법당 오른쪽 옆으로 국사봉의 궁예미륵이라 불리는 세 개의 아담한 미륵이 있다. 그러나 이 미륵은 미륵이라기보다 석인상에 걸맞을 정도로 몸의 전체적인 비례에 비해 모자가 거대하고 손 모양도 수인이 아니라 선비들이 합장을 하고 있는 듯한 모습이다. 목도 지나치게 짧으며 얼굴의 윤곽에는 불상이 주는 이미지나 친근미가 나타나 있지 않는다. 석불의 발목 이하는 땅에 매몰되어 있다. 지상에 노출된 본존의 높이는 320cm이고, 3단의 원형보개를 육계부분에 끼워 놓았다. 얼굴은 타원형으로 두 귀가 어깨까지 늘어져 있으며, 수인은 오른손을 가슴에서 손가락을 안으로 모으고, 왼손은 배에 대고 손가락을 쫙 펴고 있다. 법의는 양어깨를 덮은 통견으로, 양팔에 도식적인 주름을 도시적으로 새기고 있다. 하반신에 U자형으로 주름에 있는 것으로 봐서 군의를 가슴 부위에서 묶은 것으로 보는데, 허벅지 위에 커다란 연화문을 새겨놓았다. 우협시와 좌협시 역시 둥근 보개를 쓰고, 본존과 동일한 표현자세를 하고 있는데 크기가 약간작고, 들고 있는 지물 육화장과 합이 다를 뿐이다. 불상의 후면에는 아무런 조각을 가하지 않았다. 이 석조삼존 입상은 조각수법이나 형태를 보아 조선후기나 근대에 미륵신앙의 유행과 더불어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
↜ 안성시청&덕봉서원 주변 숙박업소 ↝
호텔루엠 안성점; 031-673-8101, 주소; 경기 안성시 중앙1길 15
(프리미엄 5만원, 안마의자 6만원, 프리미엄 커플PC 6만원, vip 7만원, 트윈 8만원)
덕봉서원 주변 숙박업소-호텔루엠 공도점; 031-618-0051, 주소; 경기 안성시 공도읍 가족공원길 54-6
(프리미엄 5만원, 슈페리어 6만원, 스위트 7만원)
◀ 2022년 0월 0일(2일차) 경기 안성 관광 트레킹 ▶
0월 0일(2일차)호텔↝덕봉서원 주차장↝운수암 주차장↝석남사 주차장↝대전
거리; 약 133.8km, 시간; 약 3시간
~~~~~~~~~~~~~~~~~~~~~~~~~~~~~~~~~~~~~~~
↜ 경로주소 ↝
호텔루엠↝덕봉서원 주차장; 경기 안성시 양성면 덕봉서원로 529-8안성객사
↝운수암 주차장; 안성시 양성면 방신리 83↝석남사 주차장; 경기 안성시 금광면 상촌새말길 3-120
~~~~~~~~~~~~~~~~~~~~~~~~~~~~~~~~~~~~~~~
↜ 충남 서산 ↝
◀ 2022년 0월 0일(2일차) 경기 안성 관광 트레킹 ▶
↜ 덕봉서원↝운수암↝석남사 ↝
~~~~~~~~~~~~~~~~~~~~~~~~~~~~~~~~~~~~
↜ 덕봉서원 ↝
1695년(숙종 21) 지방유림의 공의로 오두인(吳斗寅)의 충절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97년에 ‘德峰(덕봉)’이라고 사액되어 사액서원으로 승격되었으며 1794년(정조 18) 강당을 중수하였다. 이 서원은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시 훼철되지 않고 존속한 47개 서원 중의 하나이며,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왔다. 그뒤 1979년 사우(祠宇)를 중건하고 1984년에 동재(東齋)와 서재(西齋)를 중건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경내의 건물로는 6칸의 사우(祠宇), 10칸의 정의당(正義堂), 동재·서재·외삼문(外三門)·내삼문(內三門)·홍살문[紅箭門] 등이 있으며, 사우에는 오두인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강당인 정의당은 중앙의 마루와 양쪽 협실로 되어 있는데, 원내의 여러 행사와 유림의 회합 및 학문의 강론장소로 사용된다. 매년 2월 중정(中丁)과 8월 중정에 향사를 지내고 있으며, 제품(祭品)은 6변(籩) 6두(豆)이다.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8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소장 전적 및 유물은 《양곡집 陽谷集》 2권 4책과 1681년 김창협(金昌協)이 그린 오두인의 화상(畫像) 1점 등이 있다. 재산으로는 전답 5,000여평과 대지 3,000여평이 있다.
~~~~~~~~~~~~~~~~~~~~~~~~~~~~~~~~~~~~~~~
↜ 운수암 ↝
대한불교조계종 제2교구 본사인 용주사(龍珠寺)의 말사이다. 1750년(영조 26)에 장반야명(張般若明)이 창건하였다. 구전에 의하면, 과부가 된 반야명 보살이 평생 부처님을 모시고 살아갈 것을 결심하고 무한성 밑에다 터를 닦았는데, 꿈에 성안에 지으라는 부처님의 계시를 받고 터를 찾은 결과 옛 절터를 발견하고 그 자리에 창건하였다고 한다. 뒤 흥선대원군이 중건 시주를 하면서 운수암이라는 친필 현판을 주었는데, 지금까지 보관되어 있다. 1980년에 혜종(慧宗)이 대웅전을 중수하였고, 1986년에 대웅보전을 새로 지으면서 예전의 대웅전을 요사로 사용하였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대웅보전과 비로전, 요사 2동이 있는데, 대웅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에 단청이 된 조선시대 양식의 건물이다. 비로전 내에는 고려시대에 조성된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02호 석조비로자나불좌상이 봉안되어 있다.
~~~~~~~~~~~~~~~~~~~~~~~~~~~~~~~~~~~~~~~
↜ 석남사 ↝
대한불교조계종 제2교구 본사인 용주사(龍珠寺)의 말사이다. 680년(문무왕 20)에 고승 석선(奭善)이 창건하였고, 고려 초기에 혜거국사(慧炬國師)가 중창하였으나 임진왜란 때 완전히 소실되어 화덕(華德)이 중건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으로 된 영산전을 비롯하여 산신각·요사채 등이 있고 문화재로는 석탑재(石塔材)와 마애불(磨崖佛) 등이 있다. 대웅전 안에는 삼존불이 봉안되어 있으며, 마애불은 높이 7m, 너비 6.5m 정도의 자연암벽에 양각된 입상(立像)으로서 불상의 크기는 높이 4.5m, 너비 2.8m이며, 얼굴은 암벽의 균열로 인해 마멸이 심하다.
~~~~~~~~~~~~~~~~~~~~~~~~~~~~~~~~~~~~
[주의] 안내도 정보는 이동 경로 구성을 위한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십시오.
현재 탐색 경로가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이 점 양해 바랍니다.
~~~~~~~~~~~~~~~~~~~~~~~~~~~~~~~~~~~~
죽주산성&성은사 안내도
칠장사 안내도
국사암 안내도
석남사 안내도
'❈전국 시,군 여행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 오산 ▶보적사, 독산성 트레킹&드라마아스달연대기 오산세트장↝궐리사 (0) | 2023.01.13 |
---|---|
경기 안성 ▶서운산 트레킹 (0) | 2023.01.13 |
경기 안산 ▶대부해솔길 1코스, 탄도 누에섬 등대 전망대 (0) | 2023.01.13 |
경기 김포, 인천 강화(1박2일) ▶장릉↝문수산성↝조강전망대↝승마산↝연미정↝고인돌공영↝고려궁지↝강화산성 북문 (0) | 2023.01.13 |
강원도 철원,연천&경기 포천(1박2일) ▶직당폭포↝한탄강주상절리길(잔도)-철원 한탄강 물윗길↝고석정↝임꺽정↝2땅굴,노동당사,소이산 전망대,비둘기낭 폭포 (1) | 2023.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