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 김포, 인천 강화 관광 트레킹 코스 ▶
↜ Tracking&Travel ↝
이 까페는 여행을 즐기는 사람들을 위한 카페입니다.
여행에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 경기도 김포시 ↝
◀ 2023년 0월0일(1일차) 김포 관광 트레킹 코스 ▶
↜ 김포 문수산 트레킹 ↝
↜ 문수산 북문 장대↝321봉↝문수산성 동아문(암문)↝문수산 정상↝헬기장(중봉)↝홍예문(남아문)↝팔각정 ↝
↜ 승마산 트레킹 ↝
↜ 승마농원입구↝하우즈OP↝헬기장↝승마산 정상↝U턴 ↝
↜ 김포 관광 트레킹 코스 ▶ 김포 장릉↝김포 문수산성↝애기봉평화생태공원 조강전망대↝김포 승마산 ↝
~~~~~~~~~~~~~~~~~~~~~
↜ 인천 강화도 ↝
◀ 2023년 0월 0일(2일차) 강화도 관광 트레킹 코스 ▶
↜ 강화 연미정↝강화 고인돌공영↝강화도 고려궁지↝강화산성 북문 ↝
◀ 2023년 0월0일(1일차) 김포 관광 트레킹 코스 ▶
2023년 0월 0일(1일차) 김포 장릉 주차장↝김포 문수산 주차장↝애기봉평화생태공원 조강전망대 주차장
↝김포 승마산 주차장↝호텔코자자
거리; 약 0km, 시간; 약 0시간 0분
~~~~~~~~~~~~~~~~~~~~~~~~~~~~~~~~~~~~~~~
↜ 경로주소 ↝
김포 장릉 주차장; 경기 김포시 풍무동 666-3↝김포 문수산성 주차장; 경기 김포시 월곶면 성동리 190-1
↝애기봉평화생태공원 조강전망대 주차장; 경기 김포시 월곶면 평화공원로 289
↝김포 승마산 주차장; 경기 김포시 대곶면 약암리 산 114-9
~~~~~~~~~~~~~~~~~~~~~~~~~~~~~~~~~~~~
↜ 경기도 김포시 ↝
◀ 2023년 0월0일(1일차) 김포 관광 트레킹 코스 ▶
↜ 김포 문수산&승마산 트레킹 ↝
◀ 김포 관광 트레킹 코스 ▶
↜ 김포 장릉↝김포 문수산성↝애기봉평화생태공원 조강전망대↝김포 승마산 ↝
~~~~~~~~~~~~~~~~~~~~~~~~~~~~~~~~~~~~~
↜ 김포 문수산 트레킹 ↝
↜ 문수산 북문 장대↝321봉↝문수산성 동아문(암문)↝문수산 정상↝헬기장(중봉)↝홍예문(남아문)↝팔각정 ↝
2023년 0월 0일(1일차) 문수산 트레킹 ▶ 문수산 북문에 주차 후 산행 시작↝문수산 북문 장대↝성벽을 따라 오른다↝돌탑↝정상으로 이동중(김포와 강화 바다 뷰~)↝(강화도와 강화대교 뷰~)↝북문 삼거리↝능선 등로↝321봉↝문수산성 동아문(암문)(김포 바다 뷰~)↝옛 진지↝초소위 전망대(김포와 강화 바다 뷰~)↝전망대↝문수산 정상(376m)(문수산성 장대지)(건너 북한땅, 북쪽의 임진강과 남쪽의 한강이 합수되어 서해로 흘러가는 곳 뷰~)문수산성 성벽 뷰~↝성벽을 따라 능선이 이어지는 길↝헬기장(중봉쉼터)에서 문수산 산림욕장으로 하산↝홍예문(남아문)문수사 갈림길↝성벽을 따라 능선이 이어지는 길 갈림길에서 문수산 산림욕장으로 내려가는길로 하산↝능선 따랄 하산↝팔각정(김포와 강화 바다 뷰~)갈림길↝주차장 갈림길↝계단 내림길↝임도↝문수산 산림욕장↝문수산 북문 주차장
거리; 약 4.5km, 시간; 약 2시간 30분
~~~~~~~~~~~~~~~~~~~~~~~~~~~~~~~~~~~~~
↜ 김포 승마산 트레킹 ↝
↜ 승마농원입구↝하우즈OP↝헬기장↝승마산 정상↝U턴 ↝
2023년 0월 0일 승마산 트레킹 ▶ 승마농원 입구에 주차 후 산행 시작↝이정표(승마산 전망대 450m,하우즈OP)↝완만한 등로↝나무계단↝하우즈OP(길상산, 마니산, 초지대교 뷰~)↝헬기장↝승마산 정상,팔각정자,이정표(하우즈OP,약암온천호텔,수안산 5.5km)↝U턴↝승마농원 입구 주차장
거리; 약 2km, 시간; 약 1시간 30분
~~~~~~~~~~~~~~~~~~~~~~~~~~~~~~~~~~~~~
↜ 애기봉평화생태공원 조강전망대 ↝
김포시 월곶면 평화공원로 289
1978년에 설치되어 노후화된 기존의 전망대를 철거하고, 그리운 북녘 땅을 최단 거리에서 바라볼 수 있는 새로운 '조강전망대'와 평화·생태·미래의 이야기를 담은 '평화생태전시관'을 품고 새롭게 태어난 김포 최대의 평화관광지 '애기봉 평화생태공원' 한반도 유일 남·북 공동이용수역(Free-zone)에 위치하여 평화와 화합을 대표하는 상징적인 장소이자 단절된 역사와 문화를 잇기 위해 흐르는 조강과 같이 한강하구의 평화 의지를 잇는 공간이며, 더불어 한국전쟁 당시 남북이 치열하게 전투를 벌였던 154고지라는 사실이 세계 유일 분단국가로서의 의미를 되새기게 한다. 아픈 역사와 풍요로움을 동시에 지니고 한반도의 평화를 상징하는 중심지로서 평화, 생태, 관광이 융합되어 세계 평화를 상징하는 국제적 랜드마크로 성장해 나갈 '김포 애기봉평화생태공원'에서 다양하고 흥미로운 컨텐츠와 평화로운 자연, 그리고 약 1.4km 전방에 훤히 들여다 보이는 북녘 땅의 전경을 감상해 보자.
~~~~~~~~~~~~~~~~~~~~~~~~~~~~~~~~~~~~~
↜ 김포 장릉 ↝
장릉(章陵)은 조선 시대 인조의 아버지인 원종과 그의 비 인헌왕후 구씨의 무덤이 있는 곳이다. 소재지는 경기도 김포시 풍무동 산 141-1이다. 문화재청 장릉지구관리소에서 관리·보호 및 관람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1970년 5월 26일 대한민국 사적 제202호로 지정되었다. 선조의 5번째 아들이자 인조의 아버지인 원종(1580∼1619)과 부인 인헌왕후(1578∼1626)의 무덤이다. 인조반정(1623)으로 아들 능양군인 인조가 왕위에 오르자 대원군에 봉해졌고, 인조 10년(1633) 원종의 칭호와 함께 그의 무덤을 장릉으로 불렀다. 왕릉과 왕비릉이 나란히 있는 쌍릉으로, 병풍석이나 난간석은 설치하지 않고 보호석만 둘렀다. 무덤 아래에는 영조 29년(1753)에 세운 ‘조선국원종대왕장릉 인헌왕후부좌(朝鮮國元宗大王章陵 仁獻王后부左)’라고 새긴 비각이 있다. 이 자리는 본래 인조의 어머니 계운궁 연주부부인(啓運宮 連珠府夫人) 구씨(인헌왕후)가 사망하자 그의 묘소인 육경원(毓慶園)으로 조성된 곳이었다. 다른 곳에 있던 정원대원군의 묘소에는 흥경원(興慶園)이란 이름을 올렸는데, 육경원을 조성하고 이듬해 흥경원을 이장하여 지금의 자리로 옮겨 쌍분을 조성하였다. 1632년 정원대원군과 계운궁이 원종과 인헌왕후로 추존되자, 능으로 격상되었다.
~~~~~~~~~~~~~~~~~~~~~~~~~~~~~~~~~~~~~
↜ 김포 문수산성 ↝
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포내리
문수산(376m)에 소재한 문수산성은 사적 제139호로서 조선 19대 숙종 20년(1694)에 바다로 들어오는 외적을 막고, 강화도 방어를 위해 쌓은 성이다. 당시에는 북문, 서문, 남문이 있었으나 병인양요(1866) 때 북문, 서문, 남문이 병화로 소(燒) 되었다. 북문은 1995년도, 남문은 2002년도에 복원이 완료되었다. 성의 총 길이는 6km이며 현재 미복원구간은 4km가 남아있다. 문수산성은 수려한 주변 경관으로 정상에서는 북한 땅이 보이고 한강 포구를 거쳐 서울의 삼각산이 보이며 멀리 인천 앞바다가 보이는 절경이기도 하다. 또한 사계절을 통하여 자연의 경치를 자랑할 수 있는 김포의 금강이라 할 수 있다. 구한말 외세의 침략에 저항한 산교육장으로 의의가 깊은 곳이며 가까이엔 신라 진성여왕때 창건하였다는 문수사가 있다. 등산은 군하리, 성동리 어디서든 가능하다. * 주요 문화재 - 문수사지 풍담대사부도 및 비(유형문화재)
~~~~~~~~~~~~~~~~~~~~~~~~~~~~~~~~~~~~
↜ 김포 대명포구 주변숙소&식당 ↝
호텔코자자; 031-998-5353, 주소; 김포시 대곶면 대명항1로 89-12(일반실 5만원, 준특실 6만원)
도킹호텔; 0507-1321-8991, 주소; 김포시 대곶면 대명항1로 50(스탠다드 4만5천원, 디럭스 5만5천원)
무인텔하비비; 0503-5050-1603, 주소; 김포시 대곶면 대명항1로 40-7(일반실 5만원)
무인텔 라붐; 031-988-1465, 주소; 김포시 대곶면 대명항1로 40-9(일반실 4만원, 특실 5만원)
수철이네왕새우튀김 본점; 031-983-9292, 주소; 김포시 대곶면 대명항1로92번길 39-14
(개살볶음밥, 낚지볶음밥 5천원, 통새우 완탕 6천 5백원, 매콤김떡면 7천 5백원, 파.품.새 1만 4천원)
◀ 2023년 0월 0일(2일차) 강화도 관광 코스 ▶
2023년 0월 0일(일)호텔코자자↝강화 연미정 주차장↝강화 고인돌공영 주차장↝강화도 고려궁지 주차장
↝강화산성 북문 주차장↝대전
거리; 약 0km, 시간; 약 0시간
~~~~~~~~~~~~~~~~~~~~~~~~~~~~~~~~~~~~~~~
↜ 경로주소 ↝
강화 연미정 주차장; 강화군 강화읍 월곳리 242↝강화 고인돌공영 주차장; 강화군 하점면 강화대로 994-12
↝강화도 고려궁지 주차장; 인천 강화군 강화읍 북문길 42↝강화산성 북문 주차장; 강화군 강화읍 관청리 787-3
~~~~~~~~~~~~~~~~~~~~~~~~~~~~~~~~~~~~~
↜ 인천 강화도 ↝
◀ 2023년 0월 0일(2일차) 인천 강화도 관광 코스 ▶
◀ 강화도 관광 트레킹 코스 ▶
↜ 강화 연미정↝강화 고인돌공영↝강화도 고려궁지↝강화산성 북문 ↝
~~~~~~~~~~~~~~~~~~~~~~~~~~~~~~~~~~~~~~~
↜ 강화 연미정 ↝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월곳리 242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4호(1995.03.02 지정)
강화군 강화읍 월곶리에 위치한 연미정은 1995년 3월 1일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정자이다. 최초 건립연대는 정확히 나와 있지 않으며 임진왜란, 병자호란, 6.25 전쟁을 거치며 여러 차례 시련을 겪고 파손된 것을 현재와 같이 복원하였다. 팔각지붕의 겹처마로 돌기둥 위에 10개의 기둥을 얹어 건축한 민도리집이다. 임진강과 염하강의 모양이 제비 꼬리 같다하여 연미정이라 이름이 붙여졌으며 월곶돈대 꼭대기에 세워져 있어 파주, 김포시, (북한)황해도 개풍군 일대를 한눈에 조망할 수 있다.마니산, 전등사, 보문사와 함께 강화팔경의 하나로 손꼽히며 연미정에서 맞는 달맞이가 일품이다. 그동안 연미정은 군사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어 일반인의 출입이 엄격히 제한되어 있으며, 군부대의 허락을 받아야만 출입이 가능하였지만, 최근에는 신분증만 제시하면 일반인들도 출입이 가능해졌다.최근 연미정을 둘러싼 월곶돈대, 월곶진의 복원공사 기간이라 다소 어수선하지만 역사적 고난의 장소인 연미정에서 바라보는 탁 트인 바다의 풍광과 수백년 된 정자 나무가 운치를 더한다.
~~~~~~~~~~~~~~~~~~~~~~~~~~~~~~~~~~~~~
↜ 강화 고인돌 공원(강화 부근리 고인돌군) ↝
강화 부근리 고인돌군(江華 富近里 고인돌群)은 인천광역시 강화군 하점면 부근리에 있는 고인돌 군이다. 1999년 4월 26일 인천광역시의 기념물 제44호로 지정되었다. 부근리 고인돌군은 사적 제137호로 지정된 강화부근리 지석묘 주변, 해발 50m 내외의 낮은 구릉과 평지에 모두 16기의 고인돌이 분포하고 있다. 평지에는 사적 제137호인 강화부근리 지석묘와 탁자식 고인돌의 고임돌로 추정되는 석재 하나가 세워져 있다. 여기서 북동쪽으로 약 300m 떨어진 솔밭에 덮개돌 밑에 고임돌이 없는 고인돌인 개석식 고인돌 3기가 축조되어 있으며, 사적 제137호의 동쪽 낮은 구릉에는 탁자식 4기와 개석식 고인돌 4기가 분포하고 있다.
~~~~~~~~~~~~~~~~~~~~~~~~~~~~~~~~~~~~~
↜ 강화도 고려궁지 ↝
인천 강화군 강화읍 북문길 42
고려가 몽골의 침입에 대항하여 개경에서 강화도로 천도한 시기인 강도(江都) 시기(1232~1270년)에 사용하던 궁궐터다. 1232년(고종 19) 6월 강화에 궁궐을 창건하였다고 전하는데, 현재 강화 고려궁지라고 부르는 곳이 정궁(正宮)이 있었던 자리로 추정된다. 그러나 1270년(원종 11) 고려가 개경으로 환도한 이후 강화 고려궁은 정궁의 지위를 잃었다. 조선시대에 들어와 이 자리에 건물과 외규장각(外奎章閣) 등이 건립되었다.
고려가 몽골의 침입을 피하여 개경에서 강화도로 천도한 해인 1232년(고종 19) 6월에 창건되었다. 『고려사절요』에 의하면, 최우(崔瑀)는 이령군(二領軍)을 동원하여 이 궁궐을 지었다고 하였다. 강화도에 국왕과 왕족, 관료와 백성들이 옮겨왔기 때문에 궁궐과 관부가 필연적으로 조성될 수밖에 없었다. 다만 이 때 왕궁과 도성 시설을 모두 갖추지는 않고, 1234년 1월부터 송도(松都)의 것과 비슷하게 도성과 궁궐, 각 관청을 건립하였다. 강화도에는 정궁 이외에도 행궁(行宮)·이궁(離宮)·가궐(假闕) 등 많은 궁궐이 있었는데, 이곳 강화읍 관청리 부근은 정궁이 있었던 터로 추정된다. 비록 규모는 작았으나 궁궐을 송도의 궁궐과 비슷하게 만들고 궁궐의 뒷산 이름도 송악(松岳)이라 하였다. 궁의 정문 이름은 승평문(昇平門)이었고, 양측에 삼층루의 문이 두개가 있었으며 동쪽에 광화문(廣化門)이 있었다. 강화 고려궁은 1270년(원종 11)에 고려가 개경으로 환도할 때 모두 허물어졌다. 조선시대에 들어 1631년(인조 9)에 고려궁지에 행궁을 건립하여 국난시 이용하고자 하였다. 또한 강화유수부, 외규장각, 장녕전(萬寧殿), 만녕전(萬寧殿) 등을 세웠으나 병인양요 때 프랑스군에 의하여 거의 소실되었다. 현재 조선시대 관아 건물인 명위헌(明威軒), 이방청(吏房廳) 등과 복원된 외규장각이 남아 있다.
~~~~~~~~~~~~~~~~~~~~~~~~~~~~~~~~~~~~
[주의] 안내도 정보는 이동 경로 구성을 위한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십시오.
현재 탐색 경로가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이 점 양해 바랍니다.
~~~~~~~~~~~~~~~~~~~~~~~~~~~~~~~~~~~~
문수산(문수산성) 안내도 ▼
김포 장릉 안내도 ▼
함상공원&덕포진 안내도 ▼
'❈전국 시,군 여행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 안성(1박2일) ▶죽주산성↝매산리석불입상↝칠장사↝국사암↝덕봉서원↝운수암↝석남사 (0) | 2023.01.13 |
---|---|
경기 안산 ▶대부해솔길 1코스, 탄도 누에섬 등대 전망대 (0) | 2023.01.13 |
강원도 철원,연천&경기 포천(1박2일) ▶직당폭포↝한탄강주상절리길(잔도)-철원 한탄강 물윗길↝고석정↝임꺽정↝2땅굴,노동당사,소이산 전망대,비둘기낭 폭포 (1) | 2023.01.13 |
경기 용인(1박2일) ▶기흥 호수공원 순환 산책로↝한국민속촌↝동백호수공원↝용담저수지 생태습지원&용담저수지 둘레길↝용인대장금테마파크 (0) | 2023.01.13 |
경기 포천, 남양(1박2일) ▶고모저수지↝수원산정상전망대↝포천한탄강하늘다리↝산정호수↝화도하수처리장 피아노폭포↝수종사↝다산유적지&다산생태공원 (0) | 2023.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