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racking&Travel ↝
이 까페는 여행을 즐기는 사람들을 위한 카페입니다.
여행에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 경북 양산시 ↝
◀ 2023년 0월 0일(1일차) 경북 양산시 관광 트레킹 ▶
↜ 통도사↝백련암↝옥련암↝사명암↝서운암↝원적산봉수대↝홍룡폭포↝양산북정리고분군 ↝
~~~~~~~~~~~~~~~~~~~~
↜ 경북 양산시 ↝
◀ 2023년 0월 0일(2일차) 경북 양산시 관광 트레킹 ▶
↜ 용국사 트레킹↝임경대 트레킹 ↝
↜ 법기수원지↝춘추공원,충렬사↝양산향교↝용국사↝임경대 ↝
◀ 2023년 0월 0일(1일차) 경북 양산시 관광 트레킹 ▶
2023년 0월 0일(수)대전 출발↝통도사주차장↝백련암↝옥련암↝사명암↝서운암주차장↝원적산봉수대 주차장
↝홍룡폭포 주차장↝양산북정리고분군 주차장↝호텔수
거리; 약 283.9km, 시간; 약 4시간 30분소요, 통행료; 약 14,100원, 주유비; 약 44,728원
~~~~~~~~~~~~~~~~~~~~~~~~~~~~~~~~~~~~~
↜ 1일 경로주소 ↝
통도사 주차장; 경남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250↝백련암 주차장; 경남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로 108
↝원적산봉수대 주차장; 양산시 상북면 석계리 산 20-5↝홍룡폭포 주차장; 양산시 상북면 대석리 산 145-3
↝양산북정리고분군 주차장; 경남 양산시 북정동 662↝호텔수; 경남 양산시 북안북3길 10
~~~~~~~~~~~~~~~~~~~~~~~~~~~~~~~~~~~~
↜ 경북 양산시 ↝
◀ 2022년 0월 0일(1일차) 경북 양산시 관광 트레킹 ▶
↜ 통도사↝백련암↝옥련암↝사명암↝서운암↝원적산봉수대↝홍룡폭포↝양산북정리고분군 ↝
2023년 0월 0일(수) 경북 양산시 관광 트레킹 코스 ▶
~~~~~~~~~~~~~~~~~~~~~~~~~~~~~~~~~~~~~~~
↜ 통도사 ↝
대한불교조계종 제15교구 본사. 해인사, 송광사와 함께 삼보사찰의 하나이다. 646년 자장율사가 중국 당나라에서 가져온 부처의 사리·가사·대장경 등을 금강계단에 봉안하고 창건했다. 규모가 작았으나 고려 선종대에 확장되어 금강계단 상부의 석종형 부도와 극락전 앞의 3층석탑·배례석·봉발탑·국장생석표 등이 건립되었다. 여러 차례에 걸쳐 중수되었으나 임진왜란 때 완전히 불타버리고 1603년 송운대사가 재건, 1641년 우운대사가 다시 중건하여 대가람이 되었다. 중요문화재로는 대웅전(국보 제290호)·국장생석표(보물 제74호)·은입사동제향로(보물 제334호)·봉발탑(보물 제471호) 등이 있다.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로에 있다. 2018년 6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 양산 원적산 봉수대 ↝
봉수대는 횃불과 연기를 이용하여 급한 소식을 전하던 옛날의 통신수단을 말하며, 높은 산에 올라가서 불을 피워 낮에는 연기로 밤에는 불빛으로 신호를 보냈다. 경상남도 양산군 상북면 원적산의 해발 200m의 낮은 구릉에 있으며, 봉수대 서쪽으로는 경부고속도로가 남북으로 접해서 관통하고 있다. 남쪽으로 동래 계오산 봉수대, 북쪽으로 언양 분노산 봉수대와 각각 연락을 주고 받았다. 정상부의 동쪽은 둥글게 쌓아 그 속에 기와집과 무기를 넣어두는 창고를, 서쪽은 능선 정상부를 따라 경사지게 직사각형으로 쌓고 속에 불을 피울 수 있도록 화덕을 두었다. 주변 석축은 대부분 무너져 내렸으며, 내부의 건물터나 화덕자리도 많이 훼손되어 정확한 모습을 알아보기 힘든 상태이다. 조선 후기에 편찬된 『양산군읍지』에 원적산 봉수대라는 기록은 찾아볼 수 없고 위천봉수라고 적혀있는 것으로 보아 훗날 그 이름이 바뀐 것으로 보인다.
~~~~~~~~~~~~~~~~~~~~~~~~~~~~~~~~~~~~
↜ 홍룡사(홍룡폭포) ↝
신라 문무왕 때 원효(元曉)가 중국의 승려 1,000명에게 천성산에서 『화엄경』을 설법할 때 창건한 사찰이다.
승려들이 절 옆에 있는 폭포를 맞으면서 몸을 씻고 원효의 설법을 듣던 목욕터였다고 하며, 창건 당시에는 낙수사(落水寺)라 하였다고 전한다. 그 뒤의 역사는 전하지 않으며, 임진왜란 때 소실된 뒤 터만 남아 있다가 1910년대에 통도사의 승려 법화(法華)가 중창하였고, 1970년대 말에 부임한 주지 우광(愚光)이 꾸준히 중건 및 중수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대웅전을 관음전·무설전·산신각·종각·요사채가 있고, 정면 5칸, 측면 3칸에 40평 규모의 선방(禪房)이 있으며, 폭포 옆에는 옥당(玉堂)이 있다. 절 옆에 있는 홍룡폭포는 높이 14m인 제1폭과 10m인 제2폭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옛날 하늘의 사자인 천룡이 살다가 무지개를 타고 하늘로 올라갔다는 전설이 전한다.
~~~~~~~~~~~~~~~~~~~~~~~~~~~~~~~~~~~~
↜ 양산북정리고분군 ↝
오봉산의 중심이 되는 산등성이 일대에 있는 무덤들이다.
대형무덤은 산의 윗부분에 퍼져 있고 소형무덤은 비탈진 곳이나 산의 아래쪽에 자리잡고 있는데, 이와 같은 무덤의 위치는 시기적인 차이에 따라 무덤의 위치가 달라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무덤들 가운데 부부총과 금조총은 1920년에 조사되었고, 1990년에 내부구조 확인을 위한 발굴조사가 있었다. 조사 결과, 이 지역의 무덤들은 모두 관을 보관하는 돌방(석실)의 앞면이 트인 앞트기식굴방무덤(횡구식석실분)임이 밝혀졌다.
부부총과 금조총은 앞트기식굴방무덤인데, 부부총은 산 위쪽에 자리잡은 대형무덤으로 돌방내부의 벽면과 천장을 흰색으로 칠하여 장식하였다. 반면 금조총은 산의 비탈진 곳에 자리잡은 소형무덤인데 무덤들이 자리잡은 위치와 형태가 다른 것은 무덤 주인들의 신분과 깊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두 무덤에서 출토된 금동관, 금제장식품을 비롯한 화려한 유물은 경주지방의 대형무덤에서 나오는 유물과 비슷하다. 부부총의 경우는 추가장으로 남편이 5세기 중반 이후에 먼저 사망하여 무덤을 만들고, 5세기 후반에 부인이 사망하여 함께 묻힌 것으로 보인다. 금조총의 주인은 5세기 후반이나 6세기전반에 사망한 것으로 보인다. 출토유물로 볼 때, 무덤의 주인공은 신라
~~~~~~~~~~~~~~~~~~~~~~~~~~~~~~~~~~~~
↜ 양산 시청 주변 숙박시설 ↝
호텔수; 055-382-2345, 경남 양산시 북안북3길 10(1실 1주차)
이그니스호텔; 055-387-1314, 여기어때에서 예약하기 경남 양산시 북안북3길 16
(스탠다드 4만원, 디럭스 5만원, 프리미엄 5만 5천원, VIP 6만원)
인스타양산호텔; 055-367-7217, 야놀자에서 예약하기 경남 양산시 북안남7길 8
(스탠다드 더블, 프리미엄 더블 B, 스탠다드 트윈, 스위트 더블 4만원, 디럭스 트윈 5만 5천원, 스위트 트윈 6만원)
더밤S호텔; 055-372-0001, 야놀자에서 예약하기 경남 양산시 북안북9길 4
(스탠다드 킹 3만1천 5백원, 프리미엄 3만 6천원, 스위트, 스위트 트윈 4만 5백원)
◀ 2023년 0월 0일(2일차) 경북 양산시 관광 트레킹 ▶
2023년 0월 0일(목) 호텔수↝법기수원지 주차장↝양산종합운동장 주차장↝양산향교 주차장↝용국사 주차장
↝임경대 주차장↝대전
거리; 약 290.9km, 시간; 약 4시간 30분소요, 통행료; 약 13,400원, 주유비; 약 46,086원
~~~~~~~~~~~~~~~~~~~~~~~~~~~~~~~~~~~~
↜ 2일 경로주소 ↝
법기수원지 주차장; 경남 양산시 동면 법기리 358-1↝양산종합운동장 주차장; 경남 양산시 북부동 533
↝양산향교 주차장; 경남 양산시 교동 224↝용국사 주차장; 경남 양산시 물금읍 원동로 32-100
↝임경대 주차장; 경남 양산시 원동면 원동로 285
~~~~~~~~~~~~~~~~~~~~~~~~~~~~~~~~~~~~
↜ 경북 양산시 ↝
◀ 2023년 0월 0일(2일차) 경북 양산시 관광 트레킹 ▶
↜ 용국사 트레킹↝임경대 트레킹 ↝
↜ 법기수원지↝춘추공원, 충렬사↝양산향교↝용국사↝임경대 ↝
2023년 0월 0일 경북 양산시 관광 트레킹 코스 ▶
~~~~~~~~~~~~~~~~~~~~~~~~~~~~~~~~~~~~
↜ 법기수원지 ↝
수영강의 지류인 법기천에 위치하고 있다. 이 주변에는 반송 6그루가 있는데 국내에서도 찾아보기 힘든 소나무다. 저수지를 따라 조성된 둘레길은 2012년 7월에 정식 개방될 예정이었지만 보류되었다. 시행 시기는 미정이지만 방문예약제가 실시되었다. 수원지 안에는 침엽수림인 죽백나무와 편백을 비롯해 높이 30~40m에 달하는 개잎갈나무 등이 이루고 있는 숲과 둑 위에 있는 수십년 된 반송나무가 절경으로 꼽힌다. 특히 2004년에는 천연기념물 제327호인 원앙이 70여 마리 이상 발견되는 등 희귀동식물이 서식하고 있는 탁월한 자연생태계로서 수십년 간 상수원 보호를 위해 일반인들의 출입이 철저하게 통제돼 왔지만 현재 시민들에게 개방되어 수려한 자연과 산림욕까지 즐길 수 있는 명소이다.
~~~~~~~~~~~~~~~~~~~~~~~~~~~~~~~~~~~~
↜ 양산향교 ↝
향교는 훌륭한 유학자를 제사하고 지방민의 유학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나라에서 지은 교육기관이다
조선 태종 6년(1406)에 지어졌으며 1864년에 크게 수리했는데『양산교지』에 의하면 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 건물의 배치는 공부하는 곳인 명륜당과 동·서재가 앞쪽 평지에 있고 제사지내는 곳인 대성전과 동·서무가 뒤쪽 경사지에 있는 전학후묘의 형태이다. 향교는 본래 건물이 지어진 형식과 규모에 따라 대설위, 중설위, 소설위의 3등급으로 나누어진다. 따라서 이 향교의 출입문인 외삼문이 누각형태로 지어지고 명륜당과 대성전의 규모가 비교적 크다는 점으로 보아 중설위에 해당되었을 것으로 본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전적, 노비 등을 받아 학생들을 가르쳤으나 갑오개혁(1894) 이후 제사만 지내고 있다.
~~~~~~~~~~~~~~~~~~~~~~~~~~~~~~~~~~~~
[주의] 안내도 정보는 도보 이동 경로 구성을 위한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십시오.
현재 도보 탐색 경로가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이 점 양해 바랍니다.
~~~~~~~~~~~~~~~~~~~~~~~~~~~~~~~~~~~~
양산 통도사↝백련암↝옥련암↝사명암↝서운암 안내도 ▼
양산 통도사 안내도 ▼
양산 백련암 안내도 ▼
양산 옥련암 안내도 ▼
양산 사명암 안내도 ▼
양산 서운암 안내도 ▼
양산 원적산봉수대안내도 ▼
양산 홍룡사 홍룡폭포 안내도 ▼
양산 양산북정리고분군 안내도 ▼
양산 법기수원지 안내도 ▼
양산 양산향교, 춘추공원, 충렬사 안내도 ▼
양산 용국사 안내도 ▼
양산 임경대 안내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