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racking&Travel ↝
이 까페는 여행을 즐기는 사람들을 위한 카페입니다.
여행에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 경기도 고양시 ↝
◀ 2023년 0월 0일(1일차) 경기도 고양시 관광 트레킹 ▶
↜ 정발산공원 ↝
↜ 행주산성 트레킹 ↝
↜ 대첩문↝전사청↝충장사↝대첩기념관↝덕양정↝행주대첩비↝충의정↝징강정↝초소 전망대↝행주산성공원 ↝
↜ 일산 호수공원 둘레길 트레킹 ↝
↜ 폭포광장↝고양화장실 전시관↝고양시 선이장공원↝달마지섬↝자연학습장↝전통공원↝장미터널↝한울광장 ↝
~~~~~~~~~~~~~~~~~~~~
↜ 경기도 고양시 ↝
◀ 2023년 0월 0일(2일차) 경기도 고양시 관광 트레킹 ▶
↜ 고양 서오릉 트레킹 ↝
↜ 고양 서삼릉↝성령대군묘↝고양향교↝흥국사↝고양 서오릉 ↝
~~~~~~~~~~~~~~~~~~~~~~~~~~~~~~~~~~~~~
~~~~~~~~~~~~~~~~~~~~~~~~~~~~~~~~~~~~~
◀ 2023년 0월 0일(1일차) 경기도 고양시 관광 트레킹 ▶
2023년 0월 0일(수) 대전↝행주산성 주차장↝일산 호수공원 주차장↝정발산공원 주차장↝호텔첼시
거리; 200.6km, 시간; 약3시간소요
~~~~~~~~~~~~~~~~~~~~~~~~~~~~~~~~~~~~
↜ 1일 경로주소 ↝
행주산성 주차장; 고양시 덕양구 행주로15번길 89, 고양시정연수원 주차장; 고양시 덕양구 행주산성로 93-38
↝일산호수공원 제4공영주차장;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호수로 543-2, 경기 고양시 일산동구 장항동 905,
정발산공원 공영주차장; 경기 고양시 일산동구 마두동 1112, 경기 고양시 일산동구 일산로 345-1
↝호텔첼시; 경기 고양시 덕양구 고양대로 1325
~~~~~~~~~~~~~~~~~~~~~~~~~~~~~~~~~~~~
↜ 경기도 고양시 ↝
◀ 2023년 0월 0일(1일차) 경기도 고양시 관광 트레킹 ▶
↜ 정발산공원 ↝
↜ 행주산성 트레킹 ↝
↜ 대첩문↝전사청↝충장사↝대첩기념관↝덕양정↝행주대첩비↝충의정↝징강정↝초소 전망대↝행주산성공원 ↝
2023년 0월 0일(수) 행주산성 트레킹 코스 ▶ 행주산성 주차장↝대첩문↝삼거리에서 우측 홍살문방면으로 진행↝홍살문↝전사청↝충장사↝대첩기념관↝포장길(방화대교 뷰~)↝삼거리에서 좌측길↝팔각정자(덕양정)↝행주대첩비↝충의정↝삼거리↝ U턴↝좌측길↝징강정↝내림길↝테크계단 내림길↝삼거리에서 우측길로 진행↝팔각초소 전망대↝행주산성공원 주차장↝삼거리에서 우측 인도길↝행주산성로↝삼거리에서 우측 인도길↝계단↝행주산성 주차장
거리; 약 2km, 시간; 약 2시간 30분
~~~~~~~~~~~~~~~~~~~~~~~~~~~~~~~~~~~~~~~
↜ 일산 호수공원 둘레길 트레킹 ↝
↜ 폭포광장↝고양화장실 전시관↝고양시 선이장공원↝달마지섬↝자연학습장↝전통공원↝장미터널↝한울광장 ↝
2023년 0월 0일(수) 일산 호수공원 둘레길 트레킹 코스 ▶ 제4주차장에 주차를 하고 일산 호수공원 둘레길 돌아본다↝화장실방향으로 진행↝시계방향으로 진행↝폭포광장↝민속그네↝고양화장실 전시관↝고양시 선이장공원↝달마지섬↝U↝자연학습장 테크길↝우측길로 진행↝전통공원↝장미터널↝한울광장↝제4주차장
~~~~~~~~~~~~~~~~~~~~~~~~~~~~~~~~~~~~~~~
↜ 행주산성 ↝
덕양산 정상에 축조된 행주산성(사적)은 임진왜란 당시 의병과 승명을 포함한 2천3백명으로 왜군 3만 여명을 크게 물리친 임진왜란 3대첩 중 하나인 행주대첩이 일어났던 곳이다. 행주대첩제 매년 3월 14일 행주산성에서는 임진왜란때 왜군을 격파하여 나라를 위기에서 벗어나게 하는데 큰 공을 세운 충장공 권율 도원수의 행주대첩을 기념하기 위한 제례행사와 그 밖의 여러 가지 문화 행사가 개최되고 있다. 행주대첩제는 이 행사에서 가장 중요한 행주대첩을 기념하는 제례이다.각계 인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권율 도원수의 영정이 모셔져 있는 충장사에서 행해지는 이 제례에는 고양시장이 초헌관이 되어 장군의 영혼을 불러들이기 위해 향을 피우고 제례를 지낸다.
↜ 일산 호수공원 ↝
* 한양에서 의주까지 이어지는 관서대로의 길목이었던 고양시 * 호수공원은 면적이 30만 평에 이르는 동양최대의 인공 호수공원이다. 9만 여평의 담수호에 깨끗한 물 관리를 위해 잠실수중보상류의 상수원을 약품 침전시켜 맑은 물을 담수 (방류)하고 있다. 수변광장, 인공섬 등 공원을 순환하는 4.7㎞의 자전거 전용도로와 어린이 놀이터, 자연학습장, 단장학(두루미), 음악분수 및 100여 종의 야생화와 20여만 그루의 울창한 숲은 가족들의 휴식공간과 각급학교에서 자연을 배우는 학습장으로 수도권 휴식명소로 각광받고 있으며, 고양꽃박람회와 전시회가 개최되는 장소로 유명하다.
◀ 고양 선인장전시관 ▶
고양시 일산 호수 공원 내에 있는 '고양 선인장전시관'은 고양시농업기술센터에서 운영하는 것으로 300여 평의 유리온실과 150여 평의 육묘장으로 구성된 전시관이다. 현재 약 200여 종의 세계 희귀 선인장을 한 곳에 식재, 전시한 흥미로운 체험식 전시관으로 세계지도와 배의 모형을 통해 세계로 진출하는 고양 선인장을 형상화시켰다.
◀ 고양 화장실전시관 ▶
2001년 7월 11일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장항동 호수공원 내에 개관한 화장실 전문전시관이다. 건축면적 148.32㎡ 규모로 동서양 화장실의 변천사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각종 화장실 관련 용품이 전시되어 있다. 우리나라 유물로는 충청남도 부여군 수리 절터에서 발견된 남녀 변기와 조선시대 왕의 변기인 매화틀, 불국사 수세식 변소, 분뇨를 담는 항아리 장군과 지게 등이 있다. 서양 유물로는 책을 쌓아 만든 의자식 변기와 프랑스 루이 13세가 사용했던 의자형 변기, 17세기에 개발된 여성전용 요강인 볼타르와 남성전용 요강인 라시나, 영국의 제임스 2세가 사용한 변기, 분석(糞石) 등이 전시되어 있다. 또 동양 유물로는 일본의 휴대용 변기인 수병과 수거식 분뇨통, 휴지 대신 사용한 대나무 주걱, 중국의 돼지변소와 마통 등 19종 52점의 유물이 전시되어 있다. 이밖에 우리나라의 전형적 농촌 화장실을 실물 크기의 70%로 축소해 전시하고 있다. 동서양의 화장실 문화를 담은 영상물과 터치스크린 2대에서는 각종 화장실 관련 유물 소개는 물론 각국의 이색적 화장실을 소개한다. 또한 화장실 관련 속담과 낙서문화 등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한다. 전시관 밖에는 남성용 화장실과 여성용 화장실, 시정홍보관도 마련되어 있다.
~~~~~~~~~~~~~~~~~~~~~~~~~~~~~~~~~~~~~~~
↜ 고양시청앞 교차로 주변 숙박시설 ↝
호텔첼시; 0503-5051-6849, 경기 고양시 덕양구 고양대로 1325(일반실 4만 5천원, 특실 5만원, vip실 6만 5천원)
스테이월호텔; 031-962-6363, 경기 고양시 덕양구 고양대로 1323
(스탠다드룸 A 4만 8천원, 디럭스룸A 5만 7천원, 프리미엄룸A 6만 2천원)
발리모텔; 031-964-0878, 경기 고양시 덕양구 원당로59번길 12(스탠다드 4만원, 디럭스 4만 5천원)
트라움모텔; 경기 고양시 덕양구 고양시청로 31(스탠다드 4만 5천원, 특실 5만 5천원, 트윈 6만 5천원)
호텔아망; 031-962-2356, 경기 고양시 덕양구 원당로 117(일반실 4만원, 커플PC 5만원, 특실 트윈 6만원)
↜ 경기도 고양시 ↝
◀ 2023년 0월 0일(2일차) 경기도 고양시 관광 트레킹 ▶
2023년 0월 0일(목) 호텔첼시↝고양 서삼릉 주차장↝성령대군묘 주차장↝고양향교 주차장↝흥국사 주차장
↝고양 서오릉 주차장↝대전
거리; 220.0km, 시간; 약4시간 30분소요
~~~~~~~~~~~~~~~~~~~~~~~~~~~~~~~~~~~~
↜ 2일 경로주소 ↝
고양 서삼릉 주차장; 경기 고양시 덕양구 원당동 201-64↝성령대군묘 주차장; 경기 고양시 덕양구 대자동 1024-5
↝고양향교 주차장; 경기 고양시 덕양구 고양동 295↝흥국사 주차장; 경기 고양시 덕양구 지축동 200
↝고양 서오릉 주차장; 경기 고양시 덕양구 서오릉로 334-32
~~~~~~~~~~~~~~~~~~~~~~~~~~~~~~~~~~~~
↜ 고양 서오릉 트레킹 ↝
↜ 고양 서삼릉↝성령대군묘↝고양향교↝흥국사↝고양 서오릉 ↝
2023년 0월 0일(목) 고양 서오릉 트레킹 코스 ▶ 서오릉 주차장에 주차↝매표소↝정자각, 숙종 인형왕후 쌍릉, 숙종왕비 인형왕후릉↝재실↝수경원↝홍살문, 정자각, 숙종왕비 인경왕후 익릉↝등산로 갈림길↝정자각, 순창원↝정자각, 덕종릉 경릉, 덕종소혜왕후 경릉↝대빈묘↝등산로 갈림길↝정자각, 홍릉↝등산로 갈림길↝정자각, 이순왕후릉 장릉, 창릉 예종왕릉↝U↝서오릉 주차장
거리; 약 7km, 시간; 약 3시간
~~~~~~~~~~~~~~~~~~~~~~~~~~~~~~~~~~~~
↜ 고양 서삼릉 ↝
유네스코 세계유산이자 사적인 「고양 서삼릉(西三陵)」은 중종의 계비이며 인종의 생모인 장경왕후의 희릉(禧陵), 인종과 인성왕후의 효릉(孝陵), 철종장황제와 철인장황후의 예릉(睿陵)이 조성되면서 3릉(희릉, 효릉, 예릉)이 한양의 서쪽에 있다하여 ‘서삼릉’이라는 명칭을 얻게 되었다.
이후 의소세손의 의령원(懿寧園)과 문효세자의 효창원(孝昌園)이 서삼릉에 옮겨와 있다.
또한 서삼릉 비공개지역에는 소현세자의 소경원(昭慶園)이 조성되어 있으며, 이후 연산군 사친 폐비윤씨의 회묘(懷墓) 등 왕의 후궁들과 자녀들의 묘, 그리고 태실이 옮겨와 있다.
~~~~~~~~~~~~~~~~~~~~~~~~~~~~~~~~~~~~
↜ 성령대군묘 ↝
이종은 조선 태종의 넷째 아들로서 성녕군에 봉해졌다가 1414년(태종 14)에 대군이 되었으며 대광보국대부의 위계에 올랐다. 어려서부터 태도가 의젓하고 총명하여 부왕의 총애를 받았으나 14살 때 홍역에 걸려 세상을 떠났다. 묘는 대자산 기슭에 자리잡고 있는데, 장대석 3단을 쌓았으며 주위에 호석(護石)을 둘렀다. 묘소의 좌우에는 석호와 석양이 세워져 있고 묘 앞에는 상석, 장명등을 두었으며 좌우로는 문인석을 배치하였다.신도비는 팔작지붕 모양의 옥개석과 거북모양의 귀부를 갖추고 검은 수석으로 된 비신을 화강암 우주석에 넣은 형식으로 되어 있다. 1418년(태종 18)에 세웠으며 비 전체 높이 300cm, 비신 높이 163cm, 폭 130cm, 두께 25cm의 규모이다. 비문은 변계량(卞季良)이 짓고 글씨는 성개가 썼다.
~~~~~~~~~~~~~~~~~~~~~~~~~~~~~~~~~~~~
↜ 고양향교 ↝
조선 숙종 때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의 중등교육과 지방민의 교화를 위해서 창건되었다. 창건 이후의 자세한 역사는 전하지 않지만 여러 차례의 보수가 있었고, 1970년 담장을 보수하였다. 현존하는 건물은 5칸의 대성전을 중심으로 동재(東齋)·서재·내삼문(內三門) 등이 있으며, 명륜당은 없다. 대성전 안에는 5성(五聖)의 위패가, 동무서무에는 송조2현(宋朝二賢) 및 우리나라 18현(十八賢)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전답과 노비·전적 등을 지급받아 교관이 교생을 가르쳤으나 현재는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고, 봄·가을에 석전(釋奠)을 봉행(奉行)하고 초하루·보름에 분향을 올리고 있으며, 전교(典校) 1명과 장의(掌議) 수명이 운영을 담당하고 있다. 이 향교는 경기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어 있다.
~~~~~~~~~~~~~~~~~~~~~~~~~~~~~~~~~~~~
↜ 고양시 흥국사 ↝
흥국사의 창건연대는 신라 661년 (신라 문무왕 원년)에 당대 최고의 고승이었던 원효대사가 북한산 원효암에서 수행하던 중 북서쪽에서 상서로운 기운이 일어나는 것을 보고 산을 내려와 이 곳에 이르게 되었고, 서기를 발하고 있는 석조 약사여래(藥師如來)부처님을 보신 원효대사가 인연도량이라 생각하여 본전(本殿)에 약사부처님을 모시고 '상서로운 빛이 일어난 곳이라 앞으로 많은 성인들이 배출될 것이다' 하며 절 이름을 흥성암(興聖庵)이라 하고 오늘의 흥국사를 창건하였다고 전한다. 그 이후 사찰의 역사를 가늠해 볼 수 있는 자료가 없어 자세한 자취는 알수 없으나 서기 1686년(조선 숙종 12년)에 중창한 사실과 영조시대에 크게 발전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이후에 여러 스님들이 중창을 하여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
~~~~~~~~~~~~~~~~~~~~~~~~~~~~~~~~~~~~
↜ 고양 서오릉 ↝
서오릉이란 조선 왕조의 다섯릉 즉 경릉, 창릉, 익릉, 명릉, 홍릉을 일컫는 말이다. 오릉 이외에도 명종의 첫째 아들 순회세자의 순창원이 경내에 있고, 영조 후궁 영빈 이씨(사도세자의 생모)의 수경원이 있으며, 최근 숙종의 후궁인 장희빈의 대빈묘도 이곳으로 이장 되었다. 위치상 서울 시내와 다름없을 만큼 가까워서 산책이나 조깅 코스로 좋다.
◀ 서오릉 약사(사적) ▶
경릉 ▶ 덕종(추존)과 비 소혜왕후(추존) 한씨의 능이다. 덕종은 세조의 원자로 태어났으나 20세에 돌아가시고(1457) 뒤에 그의 아들 성종이 즉위 하면서 덕종으로 추존되었다. 소혜왕후 한씨는 서원부원군 한확의 딸로서 월산대군과 성종형제를 두었으나 성종이 즉위한 뒤 왕비로 추존되면서 소혜왕후라 일컫게 되었다.
익릉 ▶ 숙종의 원비 인경황후 김씨(1661-1680)의 능이다. 인경왕후는 광성부원군 김만기의 딸로서 현종 12년(1671)에 세자빈으로 책봉되었으며 숙종 즉위와 함께 왕비로 책봉되었다. 숙종 6년(1680) 경희궁에서 20세에 승하하였다.
창릉 ▶ 예종과 그의 계비 안순왕후 한씨(?-1498)의 능이다. 예종은 세조의 둘째아들로 세조3년(1457)에 왕세자로 책봉되고 세조 14년(1468)에 즉위하였다. 안순왕후는 우의정 청주부원군 한백륜의 딸로서 예종 즉위년(1468)에 왕비로 책봉되었다.
명릉 ▶ 숙종(1674-1720)과 그의 계비 인현왕후 민씨 그리고 제 2계비 인원왕후 김씨의 능이다. 숙종과 인현왕후는 쌍분으로 되고 인원왕후의 능은 옆에 따로 있어 같은 언덕에 배치된 형식이다. 숙종은 현종의 아들로 태어나 현종8년(1677) 세자로 책봉되었고 예론이 한창 일어나 장희빈을 중심으로 한때 인현왕후 민씨를 몰아낸 사건을 겪었으나, 상평통보를 주조하고 백두산정계비를 세우는 등 업적을 남겼다. 인현왕후 민씨(1667-1701)는 여양부원군 민유중의 딸로 태어나 숙종 7년에 숙종의 계비가 되었다. 숙종 15년 왕자 균(뒤의 경종) 책봉 문제에 장희빈의 무고로 폐위당하였으나, 후에 장희빈이 몰락하면서 복위된(1694)뒤 35세로 승하하였다.
홍릉 ▶ 영조(1724-1776)의 비 정성왕후 서씨 능이다. 정성왕후는 달성부원군 서종제의 딸로서 경종 원년 (1721)에 세자빈으로 책봉되었고, 1724년 영조가 즉위하자 왕비가 되었다. 왕후는 소생이 없이 영조 33년에 경복궁에서 승하하였다.
6) 수경원 - 영조의 후궁인 영빈 이씨의 산소이다. 영빈 이씨는 영조 11년(1735)에 사도세자를 낳았으며 영조 40년 69세로 승하하였다.
순창원 ▶ 명종(1545-1567)의 원자 순회세자와 공회빈 윤씨의 산소이다. 순회세자는 명종 12년에 세자로 책봉되었으나 13세에 승하했고, 공회빈 윤씨는 윤옥의 딸로서 선조 25년(1592년) 3월 3일 승하했다.
대빈묘 ▶ 숙종의 후궁인 희빈 장씨(1701)의 묘이다. 숙종은 궁녀 장소의에게서 숙종 14년에 왕자 균(경종)을 얻어 이듬해 균을 세자로 책봉하면서 장소희를 희빈으로 대하였다. 그후 왕비 인현왕후를 폐비하고 장희빈을 왕비로 책봉하였으나 이를 후회하고 숙종 27년(1701)에 인현왕후를 복위시키고 장희빈은 사사되었다. 원래 경기도 광주군 오포면 문형리에 있었는데 1969년 6월 이곳으로 옮긴 것이다.
~~~~~~~~~~~~~~~~~~~~~~~~~~~~~~~~~~~~
[주의] 안내도 정보는 도보 이동 경로 구성을 위한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십시오.
현재 도보 탐색 경로가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이 점 양해 바랍니다.
~~~~~~~~~~~~~~~~~~~~~~~~~~~~~~~~~~~~
고양시 행주산성 안내도 ▼
고양시 일산호수공원 안내도 ▼
고양시 정발산공원 안내도 ▼
고양시 서삼릉 안내도 ▼
고양시 성령대군묘 안내도 ▼
고양향교 안내도 ▼
고양시 흥국사 안내도 ▼
고양시 서오릉&앵봉산 안내도 ▼
'❈전국 시,군 여행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 수원 여행 자료▶수원화성 성외각 둘레길↝서호공원 축만제 둘레길 트레킹 (0) | 2023.02.02 |
---|---|
경기 부천시 여행 자료▶부천무릉도원수목원↝도당근린공원 백만송이장미원↝상동호수공원 (0) | 2023.02.02 |
경기도 고양시 여행 자료▶북한산 중흥사지↝국녕사↝북한산성 트레킹 (0) | 2023.02.02 |
경기도 광주 여행 자료▶곤지암 화담숲(모노레일타고 화담숲 단풍 숲길 트레킹) (1) | 2023.02.02 |
경기도 광주, 성남(1박2일) 여행 자료▶남한산성 트레킹↝율동공원 분당저수지 둘레길↝분당중앙공원 (0) | 2023.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