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국 시,군 여행 자료

경기도 고양시 여행 자료▶북한산 중흥사지↝국녕사↝북한산성 트레킹

by 여행을즐기는사람 2023. 2. 2.
728x90

↜ Tracking&Travel 

이 까페는 여행을 즐기는 사람들을 위한 카페입니다.

여행에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 경기도 고양시 

 2023년 0월 0일 경기도 고양시 관광 트레킹 

 북한산 중흥사지궁년사북한산성 트레킹 

선봉사법용사국녕사북한산성기사당암문용출봉용혈봉중취산영루중흥사지중성문

 2023년 0월 0일 북한산 중흥사지, 국녕사 트레킹 트레킹 

2023년 0월 0일(수) 대전북한동역사관 길옆 주차장

거리; 185.0km, 시간; 약3시간소요

~~~~~~~~~~~~~~~~~~~~~~~~~~~~~~~~~~~~

 경로주소 

북한동역사관 길옆 주차장; 경기 고양시 덕양구 북한동 395-1

~~~~~~~~~~~~~~~~~~~~~~~~~~~~~~~~~~~~

↜ 경기도 고양시 

 2023년 0월 0일 경기도 고양시 관광 트레킹 

 북한산 중흥사지궁년사북한산성 트레킹 

선봉사법용사국녕사북한산성기사당암문용출봉용혈봉중취산영루중흥사지중성문

2023년 0월 0일(수) 북한산 중흥사지궁년사 트레킹 코스 북한동역사관지나 대남문 방면 길옆 주차장에 주차후 국녕사로 오른다. 마애석불테크 계단 오름길-선봉사청운교법용사 입구법용사한월당 대선사부도국녕사(대웅전, 산신각, 종각, 요사채, 24m 크기의 국녕대불, 만불전)북한산성기사당암문의상능선용출봉용혈봉중취등산로 갈림길에서 좌측 능선길로 진행북한산 용학사 갈림길에서 우측 북한산 중흥사지로 진행산영루북한산 중흥사지(만세루, 산신당, 삼존불상, 대웅전, 요사채)북한산 용학사 갈림길로U백운동계곡길중성문법용사 입구주차장

거리; 약5km, 시간; 약 4시간소요

~~~~~~~~~~~~~~~~~~~~~~~~~~~~~~~~~~~~~~~

 북한산 ↝

한반도 서부, 서울과 경기도 북부에 솟아있는 명산. 높이는 835.6m로 서울시 주변에서 가장 높으며, 주봉인 백운대를 중심으로 북쪽 인수봉과 남쪽 만경대의 3봉이 삼각형으로 놓여 있어 삼각산이라고도 한다. 북서쪽 능선에는 조선 숙종대에 쌓은 북한산성이 있으며, 대동문·대서문·대남문·대성문·보국문 등이 남아있다. 화계사를 비롯해 유서 깊은 사찰들과 많은 유물·유적이 있다. 1983년 북한산과 도봉산 일대 78.5㎢가 북한산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

↜ 북한산 중흥사지 ↝

북한산중흥사지(北漢山重興寺址)는 경기 고양시 덕양구, 북한산성내 장군봉과 구암봉 사이에 있는 옛 절터이다. 1992년 12월 31일 경기도의 기념물 제136호로 지정되었다. 중흥사는 북한산성 내의 승영 사찰(사찰 11곳, 암자 2곳)과 승병 350여 명을 관리하고 지휘하던 승군 사령부가 있던 사찰이다. 정확한 창건 연대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고려시대인 1103년(숙종 8)에 주조된 금고(金鼓)와 1344년(충혜왕 복원 5)에 만들어진 향로(보물 제321호)에 ‘삼각산 중흥사’라는 명문이 있어, 12세기 초 이전에 사찰이 이미 세워져 있었음을 말해준다.

북한산성의 축성 경위와 시설물을 기록한 『북한지北漢誌』(1745)에 따르면 중흥사는 30여 칸 규모의 사찰에 불과했지만 1711년(숙종 37) 북한산성 축성 시기에 대규모로 증축해 136칸의 큰 사찰이 되었다고 한다. 이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은 후 숙종이 도성을 방어하기 위하여 벌인 대대적인 축성 사업 중 하나였다. 북한산성 내에는 11개 사찰에 승군이 주둔했는데, 승군의 총 지휘자인 도총섭이 중흥사에 머물렀다고 한다. 당시 중흥사에는 삼존불상을 봉안한 대웅전을 중심으로 만세루와 산신당, ‘중흥동문’(重興洞門)이라는 글자를 새긴 비석 등이 세워졌다. 그러나 1915년 홍수로 인해 무너진 후 다시 짓지 못했다. 이후 폐허 상태였다가 2012년 대웅전과 요사채를 복원하였다.

~~~~~~~~~~~~~~~~~~~~~~~~~~~~~~~~~~~~~~~

↜ 북한산 국녕사 ↝

국녕사는 조선시대 숙종 때 북한산성 내에 건립한13개의 승영사찰(僧營寺刹) 중 하나로국령사(國靈寺), 국녕사(國寧寺)라고도 한다. 1711년(숙종 37) 북한산성(北漢山城)을 축성한 후산성의 방어를 위해 성 안에 건립한 승영사찰(僧營寺刹)인 국녕사는1713년(숙종 39) 청철(淸徹)과 철선(徹禪)이 창건한86칸 규모의 절로 당시 국령사는 절과 인접한청수동암문(靑水洞暗門, 현 가사당암문)을 중심으로 하여북한산의 의상봉(義湘峰)과 용출봉(龍出峰) 사이에 있는산성의 성곽을 방비하는 것이 주 목적이였다. 조선후기의 승영사찰은 19세기 말 갑오개혁 때승군의 해산과 함께 대부분 폐사되었는데, 국녕사도 이 시기를 전후하여 폐사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신경준(申景濬)이 쓴 『가람고(伽藍攷)』에국녕사가 소개되고 있는 것으로 보아, 18세기까지는 절이 존립하였음이 분명하다. 갑오개혁 이후의 혼란기를 거치면서 폐사된 국녕사는 1950년 한국전쟁 이후 중창되었다고 하나, 1991년에 화재로 완전히 소실되고 말았다. 이것을 능인선원(能仁禪院)이 1998년 10월부터 중창하기 시작하여2004년에 중창 불사를 마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재 국녕사에는 24m 크기의 국녕대불(國寧大佛)이 있고그 주위에는 만불(萬佛)을 모신 만불전(萬佛殿)이 에워싸고 있다. 이와 함께 대웅전, 산신각, 종각, 요사채 등이 있다.

~~~~~~~~~~~~~~~~~~~~~~~~~~~~~~~~~~~~

[주의] 안내도 정보는 도보 이동 경로 구성을 위한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십시오. 

       현재 도보 탐색 경로가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이 점 양해 바랍니다.  

~~~~~~~~~~~~~~~~~~~~~~~~~~~~~~~~~~~~

고양시 북한산 중흥사지&궁년사 안내도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