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racking&Travel ↝
이 까페는 여행을 즐기는 사람들을 위한 카페입니다.
여행에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 경남 함안 ↝
◀ 2023년 0월 0일(1일차) 경남 함안 관광 코스 ▶
↜ 악양 생태공원(악양루)↝무진정,함안성산산성 트레킹↝함안 봉성저수지 둘레길 트레킹 ↝
~~~~~~~~~~~~~~~~~~
◀ 2023년 0월 0일(2일차) 경남 함안 관광 코스 ▶
↜ 입곡군립공원 입곡지(입곡저수지) 둘레길 트레킹↝함안 장춘사 ↝
◀ 2023년 0월 0일(1일차) 경남 함안 관광 코스 ▶
2023년 0월 0일(수) 대전↝악양루 주차장↝무진정(충노담) 주차장↝함안 봉성저수지 주차장↝더문모텔
거리; 약 243.6km, 시간; 약 3시간 30분
~~~~~~~~~~~~~~~~~~~~~~~~~~~~~~~~~~~~~~~
↜ 경로주소 ↝
악양생태공원(악양루) 주차장; 경남 함안군 대산면 하기리 810-2↝무진정 주차장; 경남 함안군 가야읍 광정리 15-5
↝함안 봉성저수지 주차장; 경남 함안군 여항면 주서리 442-12(도로 가변길 주차)↝더문모텔
1. 악양생태공원 주차장↠ 좁고 혼잡함, 2. 악양 둑방 꽃길 근처 주차장↠ 혼잡함, 3. 악양루 근처 임시주차장↠ 여유로움('악양루 임시주차장' 표시)
~~~~~~~~~~~~~~~~~~~~~~~~~~~~~~~~~~~~
↜ 경남 함안 ↝
◀ 2023년 0월 0일(1일차) 경남 함안 관광 코스 ▶
↜ 무진정, 함안성산산성 트레킹↝함안 봉성저수지 둘레길 트레킹 ↝
↜ 악양루 생태공원(코스모수 둑방길) 트레킹 ↝
함안 악양생태공원 근처에 둑방길이 있는데그곳에 코스모스와 댑사리 등 가을 꽃이 장관을 이룬다
악양생태공원은 근방에 있어 걸어서 관람이 가능.
2023년 0월 0일 악양루 생태공원&둑방길 트레킹 ▶ 함안 악양생태공원 주차장↝핑크뮬리 성지↝악양루↝(악양루는 중국 호남성에 있는 악양루를 본따 만든것. 중국시인 두보의 등악양루(악양루에 올라) 라는 시...악양루에서 바라보는 풍경 뷰~↝나무 데크 산길↝절벽위에 악양루↝부교위로 강을 건너 둑방길 코스모스와 댑사리 등 가을 꽃길 관람후 U턴↝함안 악양생태공원 주차장
~~~~~~~~~~~~~~~~~~~~~~~~~~~~~~~~~~~~~
↜ 악양루 ↝
함안 악양루(咸安 岳陽樓)는 경상남도 함안군 대사면 서촌리, 악양 마을 북쪽 절벽에 있는 정자이다.
1992년 10월 21일 경상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90호 악양루으로 지정되었다가, 2018년 12월 20일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악양 마을 북쪽 절벽에 있는 정자로, 조선 철종 8년(1857)에 세운 것이라 한다. 악양루는 전망이 아주 좋은 곳에 자리잡고 있는데, 정자 아래로는 남강이 흐르고, 앞으로는 넓은 들판과 법수면의 제방이 한눈에 들어온다. 한국전쟁 이후에 복원하였으며, 1963년에 고쳐 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앞면 3칸·옆면 2칸 규모의 건물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정자의 이름은 중국의 명승지인 ‘악양루’의 이름을 따서 지었다고 전한다. 옛날에는 '기두헌'이라는 현판이 있었다고 하나, 지금은 청남 오재봉이 쓴 '악양루(岳陽樓)'라는 현판만 남아 있다.
~~~~~~~~~~~~~~~~~~~~~~~~~~~~~~~~~~~~~
↜ 무진정, 함안성산산성 트레킹 ↝
2023년 0월 0일 무진정, 함안성산산성 트레킹 ▶
~~~~~~~~~~~~~~~~~~~~~~~~~~~~~~~~~~~~~
↜ 함안 무진정(충노담) ↝
함안 무진정(咸安 無盡亭)은 경상남도 함안군 함안면에 있는 정자이다.
1976년 12월 20일 경상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58호 무진정으로 지정되었다가, 2018년 12월 20일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풍류를 즐기기 위해 언덕 위에 지어진 정자이다. 이 정자는 조선 명종 22년(1567)에 무진 조삼선생의 덕을 추모하기 위해 그의 후손들이 세우고, 조상의 호를 따서 무진정이라고 하였다. 무진은 조선 성종 14년(1483) 진사시에 합격하고 중종 2년(1507) 문과에 급제하여 함양·창원·대구·성주·상주의 목사를 지냈고, 사헌부집의 겸 춘추관편수관을 지냈다. 앞면 3칸·옆면 2칸의 건물로 지붕은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과 비슷한 팔작지붕이다. 앞면의 가운데 칸에는 온돌방이 아닌 마루방으로 꾸며져 있고, 정자 바닥은 모두 바닥에서 띄워 올린 누마루 형식이다. 기둥 위에 아무런 장식이나 조각물이 없어 전체적으로 단순하고 소박한 건물로 조선 전기의 정자 형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
↜ 함안성산산성 ↝
성산산성은 함안 조남산(139.4m) 정상 부분에 있는 산성이다. 성벽의 윗부분이 많이 허물어져 흙과 돌을 섞어 쌓은 것처럼 보이지만, 1991년부터 최근까지 진행된 조사에서 납작하게 모난 돌들을 수직에 가깝게 쌓아 올린 것이 확인되었다. 성벽은 전체 길이가 1.4km이고, 안쪽의 작은 분지를 감싸면서 높은 곳을 따라 쌓았는데 그 모양은 남북이 길고 동서가 짧은 타원형이다. 동쪽과 남쪽의 성벽에서 성문터가 발견되었고 성의 안쪽에서는 물을 저장하던 시설과 건물터 네 곳 정도가 확인되었다.
성산산성은 『여지도서』[3]와 『함주지』에 가야고성(加耶古城)으로 기록되어 있다. 성산에 얽힌 전설에 따르면 아라가야가 신라에 점령되었을 때 신라군에 맞서 싸우던 장군이 전쟁에 진 것을 원통해 하며 울면서 성산으로 들어갔는데 그 뒤부터는 장군을 본 사람도 없고 장군의 행적이나 사후의 흔적도 없었다고 한다. 이처럼 성산산성에는 신라와의 전쟁에서 진 아라가야 장군의 슬픈 이야기가 전한다. 성산산성을 발굴할 때 목제품, 과일의 씨와 함께 신라 시대 유물인 신라 기와, 깨진 토기 조각이 나왔다. 특히 동문터 안쪽에서는 245점의 목간(木簡)이 출토되었는데, 이 목간들은 산성의 역사뿐만 아니라 우리 고대사를 새롭게 밝혀줄 수 있는 소중한 자료이다.
~~~~~~~~~~~~~~~~~~~~~~~~~~~~~~~~~~~~~
↜ 함안 봉성저수지 둘레길 ↝
2023년 0월 0일 봉성저수지 둘레길 트레킹 ▶함안 봉성저수지 둘레길 시작점 이정표↝팔색조 포토존↝테크길↝소나무길↝가파른계단↝벤취 쉼터↝소나무길↝테크길↝팔각정자 쉼터(전망대)(봉선저수지 뷰~)↝주차장(WC)↝이정표(두 다리로 걷는 함안의 아름다운 11길)↝어항상 호수길)이곳은 호수 강변길(시원하게 탁 트인 풍경 뷰~)↝자갈길↝저수지 관측소↝이정표(걷기코스 1.8km지점)↝테크길↝전망테크(어항산 자락과 저수지가 펼처진 풍경 뷰~)↝흙길↝시맨트포장길(WC)↝이정표(걷기코스 2.8km지점)도착점↝주차장
거리; 약 2.9km, 시간; 약 1시간소요
~~~~~~~~~~~~~~~~~~~~~~~~~~~~~~~~~~~~
↜ 함안군청 주변 숙박업소 ↝
더문모텔; 055-583-3838, 경남 함안군 가야읍 함안대로 540-3, 예약정보 야놀자에서 예약하기
(일반실 5만원, 특실 6만원, 트윈-더블싱글 6만원),
W모텔; 055-583-6368, 경남 함안군 가야읍 중앙남1길 27, 예약정보 야놀자에서 예약하기 (일반룸 4만 5천원)
◀ 2023년 0월 0일(2일차) 경남 함안 관광 코스 ▶
2023년 0월 0일(목) 더문모텔↝입곡군립공원 입곡지 주차장↝함안 장춘사 삼거리공터 주차장↝대전
거리; 약 247.1km, 시간; 약 3시간 30분
~~~~~~~~~~~~~~~~~~~~~~~~~~~~~~~~~~~~~~~
↜ 경로주소 ↝
입곡군립공원 입곡지(입곡저수지) 주차장; 경남 함안군 산인면 입곡리 1182
↝함안 장춘사 삼거리공터 주차장; 경남 함안군 칠원읍 운곡리 산 198-4
~~~~~~~~~~~~~~~~~~~~~~~~~~~~~~~~~~~~~
◀ 2023년 0월 0일(2일차) 경남 함안 관광 코스 ▶
↜ 함안 장춘사 ↝
↜ 입곡저수지 둘레길 트레킹 ↝
2023년 0월 0일 입곡저수지 둘레길 트레킹 ▶ 주차장↝산림욕장 입구(1코스 입구)↝야생화원↝휴게테크↝목교-화장실↝음수대/운동장↝팔각정↝출렁다리↝화장실↝어린이놀이터↝주차장
거리; 약 2.7km 시간; 약 2시간 30분 소요
~~~~~~~~~~~~~~~~~~~~~~~~~~~~~~~~~~~~
↜ 함안 9경, 입곡저수지 둘레길 ↝
일제강점기 1918년 농업용수를 위하여 축조된 입곡저수지는 군립공원으로 지정되어 다양한 볼거리와 편의시설들이 들어서 있다. 둘레가 약4Km나 되며 폭은 가까운 거리이지만 길이는 뱀처럼 생겨 끝과끝을 볼 수 없는 함안에서 제일 큰 저수지이다. 2003년12월부터 2004년7월까지 3억8,000만여원의 사업비로 산림욕장에 팔각정, 체육시설, 음수대, 야생화 산책로 등을 조성하였다. 2005년부터 2009년까지 2억 9,000만여 원의 사업비를 투입하여 야생화 생태 공원을 조성하였다.
입곡단풍길인 둘레길을 따라가면 출렁다리, 팔각정, 전망대, 휴식데크, 인공폭포, 야생화 생태공원 등으로 이어져 함안의 명소로 자리 잡았다.
특히 저수지 중앙을 가로지르는 길이 112m, 폭 1.5m의 입곡 출렁다리가 저수지와 어우러져 또다른 아름다움을 선사한다. 입곡 저수지 왼편에 송림이, 오른편에는 활엽수림과 침엽수림이 조성되어 있다.
크고 작은 산봉우리들이 저수지를 중심으로 협곡을 이루고 수려한 자연풍광과 함께 전설을 간직하고 있는 형형색색의 바위와 기암절벽이 그대로 보존돼 있다. 입곡저수지 둘레길은 자연 속 색다른 휴식과 여유를 제공한다.
~~~~~~~~~~~~~~~~~~~~~~~~~~~~~~~~~~~~
↜ 함안 장춘사 ↝
경상남도 함안군 칠북면 북원로 110-1
경남 함안군 칠북면 영동리의 장춘사는 815년(신라 헌덕왕 7년)에 무염국사가 신라를 침략하던 왜적을 불력으로 물리치자, 왕이 이에 대한 보답으로 세운 절이라고 전한다. 장춘사는 마을에서 계곡을 따라 좁은 길을 1.5㎞정도 오르면 나오는 아늑한 절 집이다. 장춘사 일주문은 다른 사찰에서 볼 수 없는 색다름을 준다. "무릉산 장춘사"란 현판이 걸린 작은 문은 고개를 악간 숙이고 들어가야하는데, 덕분에 자신을 들풀처럼 낮출 수밖에 없다. 일주문을 들어서면 경내가 나오는데, 요사채와 대웅전 앞마당에 경상남도유형문화재 제68호 장춘사 5층석탑이 자리잡고 있다.
장춘사 대웅전은 1979년에 신축한 건물로 팔작와가로 정면 3칸, 측면 2칸에 이른다. 대웅전 뒷편에는 맞배지붕으로 정면1칸, 측면1칸의 조그마한 약사전이 있는데 이곳에 안치된 불상이 지정문화재로 보관되고 있는 약사여래좌상이다. 총 높이 94㎝, 흉위 40㎝로 비교적 작은 불상으로서 광배와 함께 1매석으로 조성하였는데 1978년 왼쪽 어깨부분에 오른편으로 금이 나 있어 개금을 하여 불상과 광배의 조각수법을 전혀 알 길이 없다. 이러한 문화적 가치와 계속적인 연구를 위해 1983년 7월 20일 문화재자료 제16호로 지정되어 계속적인 연구와 보호가 이루어지고 있다. 장춘사에 있는 문화재로는 경상남도유형문화재 제68호(장춘사 오층석탑)로 지정된 5층석탑으로, 대웅전 앞에 있다. 원래 2층 기단 위에 세운 5층석탑이었으나 현재는 4층까지만 남아 있고, 높이는 390cm이다. 전체적으로 날렵한 느낌을 주는 이 석탑은 고려 후기에 세운 것으로 추정된다.
~~~~~~~~~~~~~~~~~~~~~~~~~~~~~~~~~~~~
[주의] 안내도 정보는 이동 경로 구성을 위한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십시오.
현재 탐색 경로가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이 점 양해 바랍니다.
~~~~~~~~~~~~~~~~~~~~~~~~~~~~~~~~~~~~
악양생태공원,악양루,악양 둑방 꽃길 안내도 ▼
함안성산산성, 무진정 안내도 ▼
함안 봉성저수지 둘레길 안내도 ▼
어항산 둘레길 안내도 ▼
입곡군립공원 안내도 ▼
관암군청 수박지 주변 볼거리 안내도 ▼
'❈전국 시,군 여행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남 통영(1박2일) ▶우도-반하도-연화도 트레킹↝욕지도 트레킹&통영욕지섬모노레일 여행자료 (0) | 2023.01.23 |
---|---|
경남 밀양(1박2일) ▶용두산(청룡사~천경사~금시당백곡재)&영남알프스얼음골 케이블카&천황산,밀양읍성,위양지,표충사,만어사 여행자료 (0) | 2023.01.23 |
경남 고성&통영 사량도(1박2일) ▶옥천사 자방루↝사량행 풍양카페리터미널↝사량도 산행↝상족암군립공원↝고성 운흥사 여행자료 (1) | 2023.01.23 |
경남 합천 ▶해인사 주변 사찰 트레킹(백련암↝국희랑대↝지족암) 여행자료 (0) | 2023.01.23 |
경남 진해(1박2일) ▶진해해양공원↝경화역 벚꽃길↝내수면 환경생태공원↝제황산공원(모노레일)↝장복산조각공원(무장애나눔길)창원 북부리팽나무 (0) | 2023.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