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국 시,군 여행 자료

경남 고성&통영 사량도(1박2일) ▶옥천사 자방루↝사량행 풍양카페리터미널↝사량도 산행↝상족암군립공원↝고성 운흥사 여행자료

by 여행을즐기는사람 2023. 1. 23.
728x90

↜ Tracking&Travel 

이 까페는 여행을 즐기는 사람들을 위한 카페입니다.

여행에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 경남 고성군&경남 통영시 사량도 

2023년 0월 0일(1일차) 경남 고성군&경남 통영시 사량도 관광 코스 

↜ 옥천사 자방루사량행 풍양카페리터미널사량도(단디해펜션) 

~~~~~~~~~~~~~~~~~~

2023년 0월 0일(2일차)  경남 고성군&경남 통영시 사량도 관광 코스 

↜ 사량도 지리망산 산행 

↜ 옥녀봉(261m)향봉가마봉(295m)코스 트레킹 ↝

대항고개계단옥녀봉(281m)구름다리향봉구름다리스텐철계단가마봉(304m)구름다리대항골

 상족암군립공원고성 운흥사 ↝

 2023년 0월 0일(1일차) 경남 고성군&경남 통영시 사량도 관광 코스 

2023년 0월 0일(수) 대전옥천사 자방루 주차장사량행 풍양카페리터미널샤량도(단디해펜션)

거리; 약 252.3km,  시간; 약 3시간 30분

~~~~~~~~~~~~~~~~~~~~~~~~~~~~~~~~~~~~~~~

 경로주소 

옥천사 자방루 주차장; 1. 청련암; 경남 고성군 개천면 북평리 404-1, 2. 자방루; 경남 고성군 개천면 북평리 411, 

사량행 풍양카페리터미널; 경남 고성군 하일면 춘암2길 94

사량도 내지항(단디해펜션); 경남 통영시 사량면 대항길 64-50

~~~~~~~~~~~~~~~~~~~~~~~~~~~~~~~~~~~~

 2023년 0월 0일(2일차)  경남 고성군&경남 통영시 사량도 관광 코스 

↜ 사량도 지리망산 산행 

↜ 옥녀봉(261m)향봉가마봉(295m)코스 트레킹 ↝

대항고개계단옥녀봉(281m)구름다리향봉구름다리스텐철계단가마봉(304m)구름다리대항골

 상족암군립공원고성 운흥사 ↝

2023년 0월 0일(수) 경남 고성군&경남 통영시 사량도 관광 트레킹 코스 

~~~~~~~~~~~~~~~~~~~~~~~~~~~~~~~~~~~~

↜ 옥천사 자방루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읍 송학리 470

문화재 지정 [고성 송학동 고분군] 사적 제119호(1963.01.21 지정)

옥천사는 고성군 연화산 기슭에 있는 사찰로서 676년에 의상대사가 지었다. 그 후 신라시대와 고려시대를 거쳐서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여러 차례의 중창이 있었다. 국가의 숭유억불정책이 가중되면서 한동안 도둑의 소굴로 변했던 시기도 있었지만 1639년에 학명대사가 중창했다. 1657년에 용성화상이 다시 지었으며, 그 후 여러 차례의 수리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사찰 경내에 달고 맛있는 물이 끊이지 않고 솟는 샘이 있어 절의 이름을 ‘옥천사(玉泉寺)’라고 부르게 되었다. 옥천사는 임진왜란 · 정유재란 때는 구국승병의 군영 역할을 했던 호국사찰이다. 그 때문에 이곳을 점령한 일본군이 사찰을 불태우고 폐허로 만들었다. 옥천사는 1700년대에 이전에 비해 훨씬 큰 규모로 중창되었다. 대규모로 중창이 이루어진 것은 단순한 종교적 기능뿐 아니라 호국사찰의 기능까지 수행하면서 국가로부터 지원을 받았기 때문이다. 실제로 1733년(영조 9)부터 1842년(헌종 8)까지 옥천사에는 340여 명의 군정(軍丁)이 기거하면서 왜구 · 일본군의 침공에 대비했다.

자방루

자방루(滋芳樓)란 ‘꽃다운 향기가 점점 불어난다’는 말이며, 불도(佛道)를 닦는 누각이라는 뜻이다.
자방루는 1764년(영조 40) 뇌원대사가 처음으로 지었으며 1888년(고종 25)에 중수한 누각으로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53호로 지정되어 있다. 대들보 6개 중 왼쪽에서 네 번째에는 하늘을 나는 아름다운 비천상이 쌍방으로 그려져 있고 세 번째에는 비룡(飛龍)이 그려져 있다. 4개의 기둥 중 2번, 3번의 기둥머리에는 용두(龍頭)가 쌍방으로 조각되어 있다. 자방루는 정면 7칸, 측면 3칸의 규모이며 단층 팔작지붕이다. 기둥 사이를 모두 두터운 문으로 막고 오직 앞마당과 면하는 전면만을 개방하여 큰 성채를 방불케 한다. 건물 내부는 화려하게 장식했다. 이러한 건물 형식은 단순히 불교신도를 위한 설법용이나 불구(佛具)를 두기 위한 공간이 아님을 보여준다.

~~~~~~~~~~~~~~~~~~~~~~~~~~~~~~~~~~~~

↜ 사량행 풍양카페리터미널 

사량행 풍양카페리터미널; 055-673-0529, 경남 고성군 하일면 춘암2길 94

비치되어있는 승선 신고서를 작성한 뒤에 매표 * 12인이상 집합금지로 인해 4인까지만 매표가능 *

신분증 필수(신분증이 꼭 있어야 매표, 탑승 가능해요)

신분증이 없는 소인의 경우에도 등본이나 건강보험증 등이 필요하다고 하네요

~~~~~~~~~~~~~~~~~~~~~

선착장 입구에서 들어갈 때 차를 배에 실을건지를 먼저 물어 봅니다. 실는다고하면 선착장 입구에 한줄로 주차하도록 안내하고 안실는다고하면 입구에 주차하도록 안내해줍니다.

풍양호 운항시간표; 하절기 (2월 1일 ~ 11월 24일까지)  07;00~17;00 운항, 

승선요금; 일반인 5천원, 승용차 운임; 2000c이하 9천원, 운항소요시간 20분

1층에는 차를 싣고, 2층에는 편하게 앉아서 갈 수 있는 실내 공간, 3층에는 야외에서 경치를 구경할 수 있었어요

~~~~~~~~~~~~~~~~~~~~~~~~~~~~~~~~~~~~

↜ 옥녀봉 주변 숙박업소 

단디해펜션; 010-2523-6009, 경남 통영시 사량면 대항길 64-50(dandi6000.com)

단디바다1호, 5호 주말 업체문의

단디바다1호; 주중17만원,  기준4인, 최대6인, 단디바다2호; 주중9만원, 주말10만원, 기준 2인, 최대4인,

단디바다3호; 주중7만원,  기준2인,최대2인, 단디바다4호; 주중7만원, 주말8만원 기준 2인, 최대3인,

단디바다5호; 주중7만원, 주말8만원 기준2인, 최대3인, 단디바다6호; 주중9만원, 주말10만원 기준 2인, 최대4인,

단디바다7호; 주중9만원, 주말10만원 기준2인, 최대4인, 단디바다8호; 9만원, 주말10만원 기준 2인, 최대4인

사량도대박펜션; 010-4299-0530, 경남 통영시 사량면 대항길 64-76, 

사량패밀리펜션; 010-3045-2816, 경남 통영시 사량면 상도일주로 106

 2023년 0월 0일(2일차)  경남 고성군&경남 통영시 사량도 관광 코스 

2023 0월 0일(목) 단디해펜션사량도 내지항 주차장사량행 풍양카페리터미널 주차장

상족암군립공원 주차장고성 운흥사 주차장대전

거리; 약 147.7km, 시간; 약 2시간 30분

~~~~~~~~~~~~~~~~~~~~~~~~~~~~~~~~~~~~~~~

 경로주소 

단디해펜션사량도 내지항; 경남 통영시 사량면 상도일주로 494사량행 풍양카페리터미널

상족암군립공원 주차장; 경남 고성군 하이면 덕명리 23-10

고성 운흥사 주차장; 경남 고성군 하이면 와룡리 580대전

~~~~~~~~~~~~~~~~~~~~~~~~~~~~~~~~~~~~~

 2023년 0월 0일(2일차)  경남 고성군&경남 통영시 사량도 관광 코스 

↜ 사량도 지리망산 산행 

↜ 옥녀봉(261m)향봉가마봉(295m)코스 트레킹 ↝

대항고개계단옥녀봉(281m)구름다리향봉구름다리스텐철계단가마봉(304m)구름다리대항골

 상족암군립공원고성 운흥사 ↝

2023년 0월 0일  옥녀봉, 향봉, 가마봉 산행  단디해펜션대항고개능선안부=0.5km계단옥녀봉(281m)250m봉능선구름다리능선향봉구름다리능선스텐철계단가마봉(304m)=0.5km300m봉구름다리능선구름다리능선261.48m봉능선안부=0.5km대항골=0.6km숙박지(단디해펜션)

산행시간; 약 3km, 시간; 약 2시간

샤랑콜밴; 010-4558-1229, 샤랑콜밴; 010-8517-5334

~~~~~~~~~~~~~~~~~~~~~~~~~~~~~~~~~~~~

↜ 사량도 지리산(윗섬과 아랫섬) ↝

행정구역상으로 통영시에 속하는 사량도는 한려해상국립공원의 중간 지점에 위치하며, 약 1.5㎞ 의 거리를 두고 윗섬과 아랫섬, 수우도의 세 개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사량도는 연 20만명의 관광객들, 특히 주말이면 약 5,000명의 관광객들이 등산과 낚시를 즐기기 위해 찾아온다. 등산과 해수욕은 주로 윗섬에서, 낚시꾼들은 아랫섬을 주로 찾는다. 윗섬에는 육지의 산에 비해 높이나 규모는 작지만 산행코스나 암릉미에 있어서는 전혀 뒤떨어지지 않는 지리망산, 일명 '사량도 지리산' 이 솟아있다. 일반적으로 돈지리를 기점으로 하여 지리산(398m),불모산(400m)을 거쳐 옥녀봉(303m)로 이어지는 종주코스는 약 6.5km로 산행에는 총 4시간30분 정도 소요되며, 빼어난 암릉과 바위 봉우리들로 인해 많은 등산객들을 불러 모으는 곳이기도 하다. 사량도 산행만큼이나 유명한 것이 바다낚시이다. 특히 아랫섬에만 약 7개의 갯바위 낚시포인트가 있는데, 1년 내내 뽈락, 도미, 도래미, 광어, 감성돔을 찾는 낚시광들이 많다.
사량도 윗섬에는 '사량호' 도선장을 중심으로, 위쪽 내지마을, 아랫쪽 돈지 마을까지 포장도로가 나 있어 자가 운전자들에게는 해안선을 따라 약 1시간여의 시원한 드라이브를 즐길수 있다. 윗섬에는 약 7개의 크고 작은 마을이 섬자락 구비구비마다 자리하고 있다. 각 마을마다는 민박집과 음식점이 들어서 있으며 해안선을 따라 펼쳐진 소나무 숲과 여기저기 눈에 띄는 고구마, 양파밭 등이 도보여행객들에게 즐거운 여정을 제공한다. 그리고 사량호 도선장에서 내지마을까지 이르는 도중에는 여름철 더위를 식히기에 충분한 사량도 유일의 대항해수욕장이 펼쳐져 있다.사량면사무소 뒷길 해안선을 따라 한 15분쯤 걸어 내려가면, 고운 모래사장이 드리워져 있으며, 화장실과 샤워장, 야영장, 파고라 등의 부대시설 또한 잘 갖추어져 있다.

~~~~~~~~~~~~~~~~~~~~~~~~~~~~~~~~~~~~

상족암군립공원/고성 공룡박물관 관람(박물관 관람시간 제외); 13. 12. 10. 9. 8. 7. 2. 3. 4. 5. 10. 12. 13

관람코스; 제전마을 엑스포매점공령과 새발자국 화석산지촛대바위상족암고성공룡 박물관

고성 공룡박물관 관람 입장료; 어른 3.000원, 

 상족암군립공원 

경상남도 고성군 하이면 자란만로 618

상족암군립공원은 남해안 한려수도를 한눈에 바라볼 수 있고 해면의 넓은 암반과 기암절벽이 계곡을 형성한 자연 경관의 수려함이 극치를 이룬 곳에 있다. 고성군은 천혜의 석보 상족암과 중생대 백악기에 살았던 공룡발자국이 선명하게 나타나 보존적 가치가 있는 지역을 1983년 11월 10일에 고성군 고시 제20호로 군립공원으로 지정하였다.
청소년수련원 앞 해수욕장에는 상시 조수에 씻겨 닳을대로 닳은 조약돌이 깔려있고 공룡발자국이 있는 넓은 암반을 지나면 산 전면이 층암단애 (층층이 깎아지른 듯한 절벽)로 되어있다. 또한 암벽 깊숙히 동서로 되돌아 돌며 암굴이 뚫어져 있는 것이 밥상다리 모양 같다하여 "상족", 여러 개의 다리모양 같다 하여 "쌍족" 또는 "쌍발이"라고도 불리고 있다. 암굴로 형성된 상족암은 높고 낮으며, 넓고 좁은 굴 안에는 기묘한 형태의 돌들이 많은 전설을 담고 있다. 태고에 선녀들이 내려와 석직기를 차려놓고 옥황상제에게 바칠 금의를 짜던 곳이 상족굴이며 선녀들이 목욕하던 곳이 선녀탕이라 전해오고 있으며, 지금도 돌 베틀모양의 물형과 욕탕모양의 웅덩이가 굴 안에 존재하고 있다. 그 주위에는 촛대바위와 병풍바위가 있어 절경을 더하고 있으며 관광유람선이 통영시 사량도 사이로 물보라를 가르며 지나다니고 눈앞에 펼쳐지는 한려수도의 전망이 아름다와 사계절 관광객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상족암 일대는 공룡발자국의 화석이 남아 있어 신비로움을 불러 일으킨다. 1982년 1월~2월 경북대 양승영 교수와 부산대 김항묵 교수 등이 우리나라 화석 분포를 연구하기 위해 전남 광양에서부터 해안선을 따라 조사하다 처음 발견하였다. 이곳은 브라질, 캐나다 지역과 더불어 세계3대 공룡유적지로 손꼽히는 곳이다. 이 발자국들은 영화 쥬라기공원으로 더욱 익숙해진 브론토사우루스, 브라키오사우루스, 알로사우루스, 티라노사우루스 등이 만든 것이다. 상족암 일대의 공룡 발자국은 인류가 지구상에 나타나기 훨씬 이전의 신비를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므로 천연기념물 제 411호로 지정보호하고 있다.

 고성공룡박물관 

경상남도 고성군 하이면 자란만로 618

세계 최대공룡발자국 화석지인 상족암군립공원 내에 국내 최초로 고성 공룡박물관이 2004년 11월 9일 개장하였다. 상족암의 수려한 자연경관과 세계 3대 공룡발자국 화석지인 경남 고성의 이미지를 제고하고 차별화된 관광지 조성으로 자연생태 관광수요에 부응하기 위하여 개장한 고성공룡박물관은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로서 어린이들에게 꿈과 희망을 심어줄 수 있는 체험 학습의 장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또한, 가족단위 관광객들에게 좋은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

 고성 운흥사 

경상남도 고성군 하이면 와룡2길 248-28

승병 활동의 근거지이자 조선 수군의 주요 전적지인 운흥사(雲興寺)는 고성군 하이면 와룡리 와룡산 향로봉 서쪽 기슭에 자리 잡고 있다. 운흥사는 676년 의상대사가 창건했다. 1974년 2월 16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82호로 지정된 대웅전 건물은 1731년(영조 7)에 재건한 것으로 앞면 5칸, 옆면 3칸 규모의 맞배지붕 건물이다. 그밖에 범종루, 산신각, 요사채 등의 건물이 있다. 다만 대웅전 앞에 탑이 없는 점이 특이하다. 대웅전 설명문에 의하면 임진왜란 때 불탄 부속 건물들을 미처 복원하지 못한 때문이라고 한다.  
운흥사 소재 문화재 중 괘불탱 및 궤는 보물 제1317호, 관음보살도는 보물 제1694호로 각각 지정되어 있다. 그밖에 1690년에 만든 운흥사 범종이 있었으나 일제강점기 일본으로 밀반출되었다.

 운흥사 영산전 

지금의 영산전(靈山殿)은 1731년에 중건된 건물이다. 정면 3칸, 옆면 2칸 크기의 맞배지붕 건물이다. 임진왜란 때 산화한 승병과 의병의 명복을 비는 영산제를 매년 이곳에서 거행한다.

 운흥사 영산제 

운흥사에서는 숙종 임금(재위: 1675~1720) 때부터 매년 음력 2월 8일 호국영령의 넋을 기리는 영산제를 여는데, 이 날은 임진왜란 때 승병과 일본군과의 전투에서 가장 많은 수의 승병이 전사한 날이다. 영산제에 사용하는 괘불탱 및 괘는 1730년에 의겸 스님과 그 문하생들이 그렸으며, 2001년 8월 3일 보물 제1317호로 지정되었다.

~~~~~~~~~~~~~~~~~~~~~~~~~~~~~~~~~~~~

[주의] 안내도 정보는 이동 경로 구성을 위한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십시오. 

       현재 탐색 경로가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이 점 양해 바랍니다.  

~~~~~~~~~~~~~~~~~~~~~~~~~~~~~~~~~~~~

옥천사 자루방 안내도 

상족암군립공원 안내도 

통영시 사량도 지리망산&하도 칠현봉 안내도 

통영시 사량도 지리망산(옥녀봉~향봉~가마봉) 안내도 

통영시 사량도 지리망산(옥녀봉~향봉)상세 안내도 

통영시 사량도 지리망산(향봉~가마봉)상세 안내도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