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국 시,군 여행 자료

충남 부여군 여행자료 ▶청등산↝홍산객사+홍산현관아+형방청+동헌+아문↝홍산태봉산성↝홍산향교+청일사↝무진암+무량사↝은산별신제+은산당산성

by 여행을즐기는사람 2024. 2. 23.
728x90

청등산  홍산객사 + 홍산현관아 + 홍산 형방청 + 홍산동헌  홍산태봉산성  홍산향교 + 청일사 

 무진암 + 무량사  은산별신제 + 은산당 산성

↜ Tracking&Travel 

이 까페는 여행을 즐기는 사람들을 위한 카페입니다.

여행에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 충남 부여군 

  2024년 0월 0일 부여군 관광 트레킹 코스 

청등산 ↝ 홍산객사 홍산현관아 홍산 형방청 홍산동헌 ↝ 홍산태봉산성 ↝ 홍산향교 + 청일사 

↝ 무진암+무량사 ↝ 은산별신제 + 은산당 산성

아래의 제목을 클릭! 하시면 안내도  보실수 있읍니다.

 

~~~~~~~~~~~~~~~~~~~~~~~~~~~~~~~~~~~~~~~~~~~~~~

  2024년 0월 0일 부여군 관광 트레킹 코스 

0월 0일(금) 대전 출발  청등산 주차장 홍산동헌 주차장  홍산태봉산성 주차장 

 교원2리복지회관 주차장  무량사 주차장  은산별신제 주차장   대전

거리; 218.1km, 시간; 3시간 30분, 통행료; 약 7,400원, 주유비; 약 32,957원

~~~~~~~~~~~~~~~~~~~~~~~~~~~~~~~~~~~~~~~~~~~~~~

 경로주소 

청등산 주차장; 충남 부여군 충화면 천당리 산 144-2  홍산동헌 주차장; 충남 부여군 홍산면 남촌리 211 ↝ 홍산태봉산성 주차장; 충남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252-5  교원2리복지회관 주차장; 충남 부여군 홍산면 홍내로29번길 26  무량사 주차장; 충남 부여군 외산면 무량로 187 ↝ 은산별신제 주차장; 충남 부여군 은산면 은산리 156-35

~~~~~~~~~~~~~~~~~~~~~~~~~~~~~~~~~~~~~~~~~~~~~~

↜ 충남 부여군 

 2024년 0월 0일 부여군 관광 트레킹 코스 

청등산  홍산객사 + 홍산현관아 + 홍산 형방청 + 홍산동헌  홍산태봉산성  홍산향교 + 청일사 

 무진암+무량사  은산별신제 + 은산당 산성

2024년 0월 0일 부여군 관광 트레킹 코스 

~~~~~~~~~~~~~~~~~~~~~~~~~~~~~~~~~~~~

 청등산 

부여 천등산( 260.9m)은 임천 군 지 등의 문헌에 의하면 한밤중 사비궁성까지 비치는 불빛을 백제왕이 보고 신하로 하여금 가보게 하니 계백이 이곳에서 석등에 불을 밝히고 수련하고 있음을 알고 계백을 불러 장군으로 삼았다고 전해오고 있으며 하늘을 향한 석등이 있는 산이라 하여 천등산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

 홍산객사(鴻山客舍) 

홍산객사(鴻山客舍)는 충청남도 부여군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다. 1982년 8월 3일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97호로 지정되었다. 조선 헌종 2년(1836) 홍산군에 세운 객사 건물이다. 객사는 국왕의 전패를 모시고 초하루와 보름에 망궐례를 올리는 한편 왕명을 받들고 내려오는 중앙관리를 접대하고 유숙시키던 곳이다. 중앙에 정당이 있고 양쪽에 익실이 있다. 정당은 앞면 3칸·옆면 3칸의 규모이며, 지붕 옆면이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집이다. 앞면은 문짝없이 트였고 옆면과 뒷면은 벽을 둘러 막았다. 내부는 통칸으로 트인 넓은 대청마루이다. 앞면 5칸·옆면 2칸의 동익실은 앞면은 개방하여 툇마루를 놓았고 오른쪽 3칸은 대청·왼쪽 2칸은 온돌방을 들였다. 서익실은 앞면 3칸·옆면 2칸의 규모이며 동익실과 같은 구조이다. 그러나 온돌방 대신 마루방을 들였고, 대청은 앞면 뿐 아니라 옆·뒷면까지 모두 개방하였다. 익실은 지붕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화려한 팔작지붕집이며, 정당보다 한층 낮게 되어있다. ‘비홍관(飛鴻館)’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으며, 「객사기(客舍記)」가 남아있다.

홍산 객사는 동·서익실의 규모가 달라 좌우의 균형을 이루지 않았으며 객사 건물로는 규모가 비교적 큰 건물이다.

 부여 홍산현 관아(扶餘 鴻山縣 官衙) 

홍산현 관아가 언제 처음 세워졌는 지는 확실히 알 수 없으나, 최소 두 번 이상의 중건이 있었다. 현재의 홍산현 동헌은 1871년(조선 고종 8년) 군수 정몽화가 세웠고, 객사는 1836년 현감 김용근이 세웠다. 동헌과 객사 모두 용도가 변경되어 사용되었으나 다행이 조선 후기 동헌과 객사의 모습이 원형 그대로 잘 보전되어 있다. 홍산현 관아는 2010년 본격적인 복원 사업을 시작했으며, 각종 집기를 보관하던 관청(官廳)과 같은 건물이 추가로 복원 건축되었다. 남아 있는 건물은 다음과 같다.

 동헌 

홍산현 동현은 제금당(製錦堂), 정사당(政事堂), 현악당(賢樂堂), 한산 정사당(翰山政事堂), 청성헌(淸省軒) 등의 당호가 있으며 그 가운데 한산 정사당과 제금당의 편액은 국립부여박물관에 보관되었다. 가로 7 칸, 세로 2칸의 목조 건물로 대청마루를 가운데 두고 양쪽에 서로 크기가 다른 온돌방이 있다. 1914년 홍산현이 부여군에 통합된 이후 홍산현 관아는 일본군 헌병대의 사무소로 쓰였다.1945년 해방 이후 1970년대까지 홍산지서로 활용되었다가 1984년 보수하였다.

 아문 

동헌의 출입문이었던 아문인 집홍루는 1964년 부소산성 안의 영일루 자리로 옮겨졌다. 현재의 아문은 1995년 복원한 것이다.

 형방청 

형방청은 잠시 수감시설로 사용하다가 1914년에 잠업 전습소로 사용되었다. 해방 후 개인의 살림집으로 사용되면서 충청남도 민속자료 제9호(이정우가옥)로 지정되기도 했다. 조선시대의 지방 관아 가운데 치안을 맡았던 형방청이 남아 있는 곳은 매우 드물다.

~~~~~~~~~~~~~~~~~~~~~~~~~~~~~~~~~~~~

 홍산 태봉산성(鴻山 胎封山城) 

홍산 태봉산성(鴻山 胎封山城)은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에 있는 백제의 산성이다. 2000년 1월 11일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368호로 지정되었다. 홍산초등학교 북쪽에 있는 표고 90m의 산 꼭대기에 만들어진 산성으로, 성 안에 있는 체육공원의 진입로에 의해 성벽의 서쪽부분이 일부분 잘려나갔다. 잘려진 면으로 보아 성벽의 기단에만 돌을 가지런히 깔고, 그 내부와 윗부분은 모두 흙을 쌓아올린 듯 한데, 현재 성벽의 윤곽은 뚜렷하지 않다. 성안에서는 민무늬토기조각, 삿무늬 토기조각, 백제 토기조각, 기와조각 등 여러 시대에 걸치는 유물들이 발견되고 있는데, 백제 토기들을 통해 볼 때 본격적으로 성의 기능을 한 때는 백제 사비천도 이후일 가능성이 높다. 고려 후기 최영 장군이 왜구를 크게 무찌른 홍산대첩이 있던 곳이기도 하다.

~~~~~~~~~~~~~~~~~~~~~~~~~~~~~~~~~~~~

 홍산향교(鴻山鄕校) 

홍산향교(鴻山鄕校)는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에 있는 향교이다. 1997년 12월 23일 충청남도 기념물 제128호로 지정되었다.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

홍산향교는 조선 중종 12년(1517)에 처음 세운 것으로 선조 24년(1591)과 광해군 2년(1610)에 고쳐 지었다. 인조 21년(1643)에 향교의 위치가 너무 높아 평지인 지금 있는 자리로 옮겼다. 건물 배치는 앞쪽에 배우는 공간으로 강당인 명륜당이 있고, 뒤쪽에 제사 공간인 대성전이 있어 전학후묘의 구조로 되어 있다. 명륜당은 앞면 5칸·옆면 2칸 규모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새 날개 모양으로 장식한 익공 양식으로 꾸몄다. 대성전은 앞면 3칸·옆면 2칸 규모이며 지붕은 맞배지붕이다. 안쪽에는 공자를 비롯한 중국의 성현들과 우리나라 선현들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이외에 출입구인 홍살문, 내삼문·외삼문이 있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전적·노비 등을 지급받아 학생을 많이 가르쳤으나 갑오개혁 이후 교육 기능은 사라지고 봄·가을에 제사를 지내고 초하루와 보름에 분향을 하고 있다.

 청일사(淸逸祠) 

청일사(淸逸祠)는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교원리에 있는 조선시대 김시습(1435∼1493)과 김효종(1414∼1493)의 뜻을 기리기 위해 조선 광해군 13년(1621)에 세운 사당이다. 1984년 5월 17일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93호로 지정되었다. 김시습(1435∼1493)과 김효종(1414∼1493)의 뜻을 기리기 위해 조선 광해군 13년(1621)에 세운 사당이다. 김시습은 조선 전기 학자이며 우리나라 최초의 한문소설인 『금오신화』를 지은 인물이다. 지금 있는 청일사는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잠시 폐쇄되었다가 1970년에 다시 세운 것이다.

~~~~~~~~~~~~~~~~~~~~~~~~~~~~~~~~~~~~

 무진암 (無盡菴) 

햇빛이 보석처럼 빛나는 절, 무진암

무진암의 소재지는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리 만수리 125번지이다. 무진암은 비구니 스님의 정갈함이 묻어나는 작은 비구니 암자로, 햇빛이 풍부하고 보석처럼 반짝이는 아름다운 사찰이다. 무진암으로 오는 도중 하늘을 향해 쭉 뻗은 잘 생긴 소나무가 마치 산개와도 같은 모습으로 서 있어 눈길을 끈다. 소나무의 모습은 마치 높은 이를 경외하고자 그늘을 만들어주는 느낌이므로 놓치지 말고 감상하고 오길 바란다. 비구니 스님들의 수행도량인 무진암은 남쪽을 향해 햇볕이 잘 드는 양지에 있으며, 야트막한 만수산의 줄기를 따라 비교적 평평하고 너른 곳에 위치하고 있다. 깨끗한 만수산의 자연을 닮아 사역 전체가 맑으며 깔끔하게 정돈되어 있으며, 최근에 불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제법 규모가 큰 대웅전이나 삼성각과 함께 여러 채의 요사를 갖추고 있다. 무진암 인근의 사찰 무량사는 부여에서 가장 큰 절로 외산 만수산 기슭, 소나무가 울창하고 물이 넉넉하게 흐르는 숲속에 자리하고 있다. 이 절은 통일신라 때 범일국사가 창건하였다 하며, 고려 때 크게 융성했고 임진왜란 때 불탄 후 조선 인조(1636~1646) 때에 재건되었다.

~~~~~~~~~~~~~~~~~~~~~~~~~~~~~~~~~~~~

 부여 무량사(扶餘 無量寺) 

충남 부여군 외산면에 자리한 천년고찰 무량사는 만수산 자락에 둥지를 틀었다. 신라 문무왕 때 범일국사가 창건한 사찰로 몇 차례 중수를 거쳐 오늘에 이르렀다. 국내 제일의 아미타 기도 도량으로 사천왕문을 지나면 정면에 보물로 지정된 무량사 극락전이 보인다. 사천왕문은 무량사의 멋을 가장 잘 느낄 수 있는 위치로, 층 구분이 없는 2층 극락전과 오층 석탑(보물), 석등(보물)이 일렬로 늘어서서 장관을 이룬다. 극락전 소조 아미타여래삼존좌상(보물)도 위용을 자랑한다. 무량사는 생육신 매월당 김시습이 입적한 곳이다. 경내에 그의 부도와 초상화가 있다. 행정구역 상 부여군에 속하지만 보령 시내에서 더 가깝다.

~~~~~~~~~~~~~~~~~~~~~~~~~~~~~~~~~~~~

 은산별신제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 은산리의 당산에 은산당산성이 있다. 은산당산성은 삼국시대에 백제가 쌓은 산성으로 도성인 사비성의 서북쪽을 방어하기 위한 목적으로 축조되었다. 산성 안에는 은산별신제를 지내는 별신당이 있고, 이에 관한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현재 은산면에서는 매년 패망한 백제 장군과 군사들의 넋을 위하고,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는 ‘은산별신제’가 열린다.

은산당산성이 있는 은산리의 당산 부여의 은산당산성은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 은산리에 있다. 은산리는 은산면의 중심 소재지로 과거에는 부여의 중심지였던 곳이다. 산속에 숨어 있는 마을이라고 하여 ‘은산(隱山)’이라 불리고, 이 마을에는 별신당이 있어 ‘당산’이라 불리는 언덕이 있다. 당산은 해발 60m 높이의 작은 언덕이며, 정상부에는 은산당산성이 있다.

↜ 별신당을 품고 있는 은산당산성 

은산당산성은 당산 정상부를 흙으로 둘러 쌓아 만든 테뫼식 산성이다. 산성의 총 둘레는 430m 정도로 비교적 작은 규모의 산성이지만, 내성과 외성으로 구분되는 점이 특징이다. 내성의 둘레는 180m 정도이며, 외성의 둘레는 250m이다. 성벽은 대부분 무너져서 흙으로 쌓았던 흔적만 남아 있고, 산성의 내부도 대부분 개관되어 평탄화되었다. 현재 당산 정상에서 서남쪽으로 은산별신제를 지내는 별신당(別神堂)이 있다.

 부여의 성곽과 은산당산성 

부여는 삼국시대에 백제의 두 번째 도읍이었던 곳으로 지금도 많은 성곽이 산재하고 있다. 현재까지 조사된 바에 따르면 한 개의 도성과 스물여섯 개의 산성이 있었음이 확인되었다. 부여의 성곽들이 언제 만들어졌는지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대부분 백제시대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한다. 특히 산성들은 백제가 사비로 도읍을 옮긴 후 도성인 사비성의 구획을 정비하고, 방어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이 가운데 은산당산성은 사비성의 서북쪽을 방어하기 위한 목적으로 축조되었다. 이후 나당연합군의 공격을 차단하는 중요한 거점이었으며, 백제 부흥군과 관련한 은산별신제의 전설이 전해지는 산성이다. 

~~~~~~~~~~~~~~~~~~~~~~~~~~~~~~~~~~~~~~~

[주의] 안내도 정보는 이동 경로 구성을 위한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십시오. 

       현재 탐색 경로가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이 점 양해 바랍니다.  

~~~~~~~~~~~~~~~~~~~~~~~~~~~~~~~~~~~~

청등산 안내도 

홍산객사+홍산현관아+형방청+동헌+아문 안내 

홍산태봉산성 안내 

홍산향교+청일사 안내 

무진암+무량사 안내도 

은산별신제 + 은산당 산성 안내도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