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구미 여행 자료▶
↜ Tracking&Travel ↝
이 까페는 여행을 즐기는 사람들을 위한 카페입니다.
여행에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 경상북도 ↝
◀ 2024년 0월 0일(1일차) 경북 구미시 관광 코스 ▶
무을저수지 ↝ 수다사 + 구미수다사목조 아미타여래좌상 ↝ 죽장사 + 구미죽장리오층석탑
↝ 구미보전망대 ↝ 영남유교문화진흥원
~~~~~~~~~~~~~~~~~~~
◀ 2024년 0월 0일(2일차) 경북 구미시 관광 코스 ▶
구미보현선원 ↝ 구미문목사+송당정사 ↝ 옥성자연휴양림 수변데크 ↝ 전모례가정+
신라불교초전지 ↝ 도송지 ↝ 동암정+용와종택및침간정+삼가정+수남위종택+임하댁+
호고와종택+대야정+만령초당+망천동임당댁+근암고택
아래의 제목을 클릭! 하시면 안내도와 구미시 관광 개요 내용을 보실수 있읍니다.
▼
~~~~~~~~~~~~~~~~~~~~~~~~~~~~~~~~~~~~~~~~~~~~~~
◀ 2024년 0월 0일(1일차) 경북 구미시 관광 코스 ▶
0월 0일(금) 대전 출발↝무을저수지 주차장↝수다사 주차장↝죽장사 주차장↝구미보전망대 주차장
↝ 영남유교문화진흥원 주차장 ↝ 세인모텔
시간; 약 3시간, 거리; 약 141,2km, 통행료; 약 4천 5백원, 주유비; 약 20,461원
~~~~~~~~~~~~~~~~~~~~~~~~~~~~~~~~~~~~~~~~~~~~~~
↜ 1일 경로주소 ↝
무을저수지 주차장; 구미시 무을면 상송리 749-5 ↝ 수다사 주차장; 구미시 무을면 수다사길 183 ↝
죽장사 주차장; 구미시 선산읍 죽장2길 90 ↝ 구미보전망대 주차장; 구미시 선산읍 원리 202-1 ↝
영남유교문화진흥원 주차장; 경북 구미시 선산읍 유학10길 17 ↝ 세인모텔; 선산중앙로16길 29-7
~~~~~~~~~~~~~~~~~~~~~~~~~~~~~~~~~~~~~~~~~~~~~~
↜ 경상북도 ↝
◀ 2024년 0월 0일(1일차) 경북 구미시 관광 코스 ▶
무을저수지 ↝ 수다사 + 구미수다사목조 아미타여래좌상 ↝ 죽장사 + 구미죽장리오층석탑
↝ 구미보전망대 ↝ 영남유교문화진흥원
↜ 무을저수지 둘레길 트레킹 ↝
2024년 0월 0일(1일) 무을저수지 둘레길 트레킹 코스 ▶ 무을저수지 주차장에서 둘레길로 가는 길은 주차장에서 바로 내려가는 짧은 수변데크길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무을저수지 방둑을 올라서 흙길과 포장도로 길을 번갈아 걷다 보니 흙길은 흙길 데로 부드러운 흙이 밝히는 느낌이 좋았고 무을저수지 둘레길을 걷다 보면 농촌의 논밭과 과수원, 주택가 들이 어우러진 풍요로운 풍경을 만날 수 있습니다. 울창한 숲 사이로 다양한 종류의 나무가 우거져 있네요. 둘레길은 난이도가 낮아 쉽게 걸을 수가 있는 곳이었습니다. 넓은 들판, 그리고 울창한 숲을 지나 오로지 나를 위한 시간으로 걸어봅니다. 자연에 귀 기울이며 내 숨소리에 집중하면서 무심코 지나쳤던 것을 하나하나 느껴보며 그동안 쌓였던 스트레스를 풀어보세요.
거리; 약 2,5km, 시간; 약 30분소요
~~~~~~~~~~~~~~~~~~~~~~~~~~~~~~~~~~~~
↜ 무을저수지 ↝
구미시 무을면 안곡리에 위치한 무을 테마 생태공원은 무을저수지 약 2.5km의 짧은 코스, 이곳은 때 묻지 않은 자연을 만끽하며 저수지와 함께 걸을 수 있는 곳이 좋은곳입니다. 저수지 둘레길을 한 바퀴 걷는 데는 약 30분 정도 소요되고, 특히 노을이 질 때쯤 방문하면 더욱 아름다운 풍경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
↜ 구미 수다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龜尾 水多寺 木造阿彌陀如來坐像) ↝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수다사 극락전에 봉안되어 있는 조선 후기의 아미타여래좌상.
연악산(淵岳山) 수다사는 신라 흥덕왕 5년(830) 진감선사에 의하여 개창되었다. 그 후 고려 경종 원년(976) 화재로 인하여 건물이 다소 소실되고 극락전과 청천료만 남았다. 다시 명종 15년(1185) 각원대사에 의하여 대대적인 불사가 이룩되었다. 그 후 원종 14년(1273) 대수해로 인하여 대부분의 전각이 유실되었고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사명대사가 중건하여 절의 이름을 수다사라 하였다.
대웅전 내에 봉안된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근래의 개금불사로 인하여 외형상 목조의 느낌이 거의 들지 않을 정도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소나무의 결이 보인다. 나발의 두정(頭頂)에 약간의 육계의 흔적이 보이고, 가늘게 뜬 눈, 코, 입술 등의 조각 수법이 정제되어 있으며, 우너만한 상호와 짧은 양 귀, 목에 둘러진 삼도가 조화를 이루어 위엄이 있어 보인다. 법의는 통견으로 의무늬 조각이 세련되었으며, 무릎 부분이 높고 넓어 안정감을 주고 있다. 사찰측에 의하면 원래 삼존상이었으나 양 협시는 외부로 반출되어 대세지보살상은 구미 원각사에 봉안되고 있고, 관세음보살상은 대구 누봉암에 옮겨 봉안되었다. 이 아미타여래좌상의 복장 유물은 도난 당하였지만, 다행히 구미 원각사 대세지보살상의 복장에서 불상 조성기가 확인되어 아미타여래좌상의 조성연대와 유래를 파악하는데 기본 자료가 되고 있는 기록에 의하면 순치(順治) 6년 9월에 일선부의 서쪽에 위치한 연악산 수다사에서 아미타불과 두 협시보살의 삼존상을 조성했다고 한다.
수다사의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조형면에서 약간 앞으로 구부린 모습이다. 비교적 높은 무릎과 넓은 무릎폭 등에서 조선 후기 목조불상의 뚜렷한 특징을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원각사 대세지보살상의 복장유물 가운데 포함된 조성기에 순치 6년이라는 조성시기가 기록되어 있고, 조성기의 종이질에 대한 검토를 통해서 조성시기가 17세기 무렵이라는 점이 확인된다. 이 불상은 미술사적 측면에서 조선 후기 불상의 시대적 특징을 보여주는 우수한 작품으로 평가된다.
~~~~~~~~~~~~~~~~~~~~~~~~~~~~~~~~~~~~
↜ 구미죽장리오층석탑(龜尾 竹杖里 五層石塔) ↝
구미죽장리오층석탑.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죽장리에 있는 서황사(瑞凰寺) 경내에 세워져 있는 통일신라 시기의 높이 10m 의 석탑. 1968년에 국보 제130호로 지정되었다.
선산 읍내에서 서쪽으로 약 2㎞ 떨어진 죽장사터에 있는 석탑으로, 주변에 석재와 기와조각이 널려 있어 건물터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바닥돌에서 머리장식에 이르기까지 100여 개가 넘는 석재로 짜여져 있으며, 전탑형의 오층탑으로는 국내에서 가장 높은 탑으로, 높이가 10m에 이른다. 탑은 2단의 기단(基壇) 위에 5층 탑신(塔身)을 세우고 그 위로 머리장식을 얹고 있는 거대한 모습이다. 탑신부 1층 몸돌 남쪽 면에는 불상을 모셨던 것으로 보이는 감실(龕室)이 마련되어 있으며, 그 주위로 문을 달았던 흔적이 남아 있다. 지붕돌의 아래·윗면은 전탑(塼塔:벽돌로 쌓아올린 탑)에서와 같이 계단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다. 정상에는 머리장식의 받침돌인 노반(露盤)이 남아 있다. 통일신라시대 전형적인 양식인 2단의 기단을 형성하고 있지만, 기둥조각을 새기지 않은 탑신의 몸돌이나 지붕돌의 모습은 전탑의 양식을 모방하고 있다. 안동과 의성지역에서 유행했던 모전석탑(전탑의 양식을 모방한 석탑) 계열로 보이며, 웅장하고 세련된 통일신라 석탑의 우수한 조형미를 잘 보여주는 작품이다.
~~~~~~~~~~~~~~~~~~~~~~~~~~~~~~~~~~~~
↜ 선산시외버스터미널 주변 숙박 업소 ↝
세인모텔; 054-481-8710, 경북 구미시 선산읍 선산중앙로16길 29-7
비봉모텔; 054-481-7788, 경북 구미시 선산읍 남문로5길 12,
엘비모텔; 054-481-9998, 경북 구미시 선산읍 남문로 29-5
~~~~~~~~~~~~~~~~~~~~~~~~~~~~~~~~~~~~
↜ 세인모텔 주변 맛집 ↝
덕수파스타 선산점; 054-608-0085, 경북 구미시 선산읍 남문로3길 5
(영업중; 월~금 11:00 ~ 22:00, 월~금 휴게시간; 15:00 ~ 17:00) 포장/배달 가능
투다리 선산2점; 054-482-3292, 경북 구미시 선산읍 남문로3길 21
(우동, 태양초치즈닭갈비, 모래집볶음, 알탕, 김치우동전골, 오뎅탕, 해물탕, 사천볶음밥)
◀ 2024년 0월 0일(2일차) 경북 구미시 관광 코스 ▶
0월 0일(토) 세인모텔 출발 ↝ 구미보현선원 주차장 ↝ 송당정사 주차장 ↝ 옥성자연휴양림 주차장 ↝
전모례가정 주차장 ↝ 도송지 주차장 ↝ 동암정 주차장 ↝ 대전
시간; 약 3시간, 거리; 약 156,8km, 통행료; 약 5,800원원, 주유비; 약 22,736원
~~~~~~~~~~~~~~~~~~~~~~~~~~~~~~~~~~~~~~~~~~~~~~
↜ 2일 경로주소 ↝
구미보현선원 주차장; 구미시 선산읍 잿골길 163 ↝
구미문목사+송당정사 주차장; 구미시 선산읍 신기2길 107 ↝
옥성자연휴양림 주차장; 구미시 옥성면 휴양림길 150 ↝
신라불교초전지 주차장; 구미시 도개면 도개다곡길 389-46 & 도송지 주차장; 도개리 181-3
↝ 동암정 주차장; 경북 구미시 해평면 일선리 49
~~~~~~~~~~~~~~~~~~~~~~~~~~~~~~~~~~~~~~~~~~~~~~
↜ 경상북도 ↝
◀ 2024년 0월 0일(2일차) 경북 구미시 관광 코스 ▶
구미보현선원 ↝ 구미문목사+송당정사 ↝ 옥성자연휴양림 수변데크 ↝ 전모례가정+
신라불교초전지 ↝ 도송지 ↝ 동암정+용와종택및침간정+삼가정+수남위종택+임하댁+
호고와종택+대야정+만령초당+망천동임당댁+근암고택
2024년 0월 0일(2일) 구미시 관광 트레킹 코스 ▶
~~~~~~~~~~~~~~~~~~~~~~~~~~~~~~~~~~~~
↜ 구미 송당정사(龜尾 松堂精舍) ↝
송당정사는 조선중기 무신이자 문사인 송당 박영(松堂 朴英:1471~1540)이 1496년(연산군 2년)에 고향인 선산(善山)으로 낙향하여 낙동강가에 세운 강학지소(講學之所)로, 현재 건물은 1860년대에 중건된 것이다. 송당은 문무와 의학이라는 기술까지 학문을 종합해서 습득하고 실천했을 뿐 아니라 도학의 인맥을 종합하여 아우른 그의 학맥은 오늘날까지 영남, 특히 선산지역의 여러 문중을 모여 그를 기리고 시회를 잇도록 영향을 끼치고 있다.
송당정사는 간결하고 소박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고, 건물의 규모와 구성에 대한 내용이 기술된, 흔치 않은 중건기(重建記)가 전해 오고 있어서 건축의 유래와 변화 과정을 비교적 정확히 추정할 수 있는 건물이라는 점과 송당의 학맥이 역사적으로 평가받을 가치가 있으므로 문화재로 지정하여 보존 관리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되어 문화재자료로 지정하기로 한다.
~~~~~~~~~~~~~~~~~~~~~~~~~~~~~~~~~~~~
↜ 옥성자연휴양림 수변데크 ↝
옥성자연휴양림은 큰 저수지인 주아지 주변으로 휴양시설과 등산로가 조성되어 있다. 황토와 통나무로 지어진 숙박을 할 수 있는 숲속의 집, 풍경의 집, 전망의 집, 풀향기집과 저수지 좌우로 캠핑을 할 수 있는 야영데크장, 공연이 가능한 수변데크, 원두막, 자연관찰원, 숲속교실 등 다양하고 편안한 시설이 조성되어 있다. 여름이면 야와물놀이장을 운영하고 숲해설가와 함께하는 숲탐방 체험과 토요일에는 마술공연과 어린이영화상영 등 문화행사를 무료로 진행하여 휴양림을 찾는 방문객에 즐거움을 더한다.
옥성자연휴양림은 산림욕을 즐길 수 있는 가벼운 산책로와 등산로가 조성되어 있습니다.
휴양림 기준으로 마당숲을 출발하여↝숲바람길↝헬기계류장↝형제봉까지 오르는 1시간 20분 코스,
숲속의 길 ↝ 참살이길 ↝ 헬기계류장 ↝ 형제봉까지 1시간 20분 코스,
옛오솔길에서 출발하여 임도 ↝ 헬기계류장 ↝ 형제봉까지 오르는 1시간 10분 소요되는 코스가 있다.
캠핑장 인근에 금오민속박물관, 일선리고택 문화재마을 등의 관광지가 있어 자연속에서의 휴식과 더불어 옛문화를 체험할 수 있다.
숙박요금; 숲속의 집 35,000원~110,000만원, 휴양관; 31, 500원~150,000원, 야영장; 6,000원
문의; 054-480-2080, ※ 휴양림 시설은 매주 화요일 휴무, 주차요금; 2천원
이용시간; 하절기 3월~10월 09:00~19:00, 동절기11월~2월 09:00~18:00
숙박시설 15:00~익일 12:00, 야영장 13:00~익일 13:00
~~~~~~~~~~~~~~~~~~~~~~~~~~~~~~~~~~~~
↜ 전모례가정(傳毛禮家井) ↝
모례가정은 현재까지 전하고 있는 수많은 신라불교 유적의 시작점이다. 불교의 향기가 처음 전해진 장소를 기념하고자, 경상북도 구미시는 모례가정을 중심으로 한 도개리마을 일대를 신라불교초전지마을로 조성하였다. 시간이 흘러 모례의 집은 흔적 없이 사라졌지만 모례의 집 우물은 여전히 자리를 지키고 있기 때문이다. 이곳에 방문한다면 모례가정을 앞에 두고 모례와 승려가 나누었던 이야기를 상상해 보는게 어떨까. 그리고 신라에 처음 방문했던 승려의 마음으로 마을을 둘러보길 바란다. 이것은 모례가 불교를 처음 접했을 때처럼 새로운 경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모례의 집 우물 ↝
앞선 이야기를 통해 신라에 불교가 처음 전해진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다. 하지만 두 이야기에서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신라에 불교가 처음 전래된 곳은 모례의 집이었으며 첫 번째 불교 신자는 모례였다는 점이다. 경상북도 구미시 도개면에는 전모례가정(傳毛禮家井)이 있다. 한자를 풀이해보자면 “전해지고 있다는 의미의 전(傳)+사람 이름 모례(毛禮)+집(家)+우물(井)”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전모례가정은 깊이가 3m정도이며 면적은 246㎡이다. 직사각형 돌을 이용해 우물 정(井) 모양으로 짰기 때문에 외부에서 보았을 때에는 井 형태이지만 우물의 안쪽은 원통형이다. 우물의 밑바닥은 가운데 배가 부르고 두꺼운 나무 판자를 깔아 만든 것이 특징이다. 현재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우물이 대부분 원형이라는 점을 고려했을 때 井 형태로 남아있는 전모례가정은 비교적 이른 시기에 제작된 우물로 추정된다.
↜ 신라에 불교가 처음으로 전해진 곳, 구미 신라불교초전지 ↝
417년 고구려의 승려인 아도화상이 신라에 불교 포교를 위해 구미 선산 지역을 찾았고, 모례라는 사람의 집에 머물면서 주민들에게 불교를 알렸다. 그 후 아도화상은 선산에 도리사라는 절을 세웠고, 그렇게 신라에 불교가 전해지기 시작했죠. 이런 사연을 바탕으로 신라에서 구미 지역에 가장 먼저 불교가 전파된 점을 기념하여 만들어진 곳이 바로 신라불교초전지이다.
무료로 입장이 가능한 신라불교초전기념관에는 아도화상이 신라 땅에 처음 들어와서 낮에는 양을 치고, 밤에는 주민들을 모아 설법을 하면서 신라 땅에 불교를 뿌리내리게 하는 과정들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
↜ 일선리 문화재마을 ↝
동암정 + 용와종택및침간정 + 삼가정 + 수남위종택 + 임하댁 + 호고와종택 + 대야정 + 만령초당
+ 망천동임당댁 + 근암고택
↜ 용와종택 및 침간정(慵窩宗宅─枕澗亭) ↝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에 있는 조선후기 공조참의 출신 용와 유승현 관련 주택. 시도민속문화재.
1979년 경상북도 민속자료로 지정되었다. 숙종때 공조참의를 지낸 용와 유승현(柳升鉉)이 숙종 36년(1710)에 지은 살림집과 산정(山亭)으로 1987년 임하(臨河)댐 건설에 따라 안동시 임동면 박곡리에서 현재 위치로 이건하였다. 안채·침간채·제청(祭廳)의 구성이다. 안채는 향좌측부터 부엌·안방·대청·건넌방 순으로 정면 6칸 측면 간반통이고 부엌 천장 위엔 다락이 있다. 방과 대청 앞으로 툇칸이 계속되었다. 부엌 앞마당으로 고방과 외양간이 나란히 있는데 1칸씩이다. 약간의 사이를 두고 사랑채로 이어지는데 좌측부터 고방, 문간방, 중문간이고 그 우측에 사랑채가 있다. 정면 3칸 측면 간반통이나 방 뒤쪽에 반반칸 반침이 처마밑으로 구성되어 있다. 안채와 사랑채 사이의 간격에 담장을 두르고 중간에 사주문 만들어 출입하게 하였는데 밖에 제청이 있다. 제청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6칸 건물이다. 좌측 2칸이 방인데 감실(龕室)을 만들고 4대의 위패를 봉안하였다. 가묘를 대신하는 셈이다. 3칸은 대청이고 나머지 1칸이 방이다. 침간정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6칸인데 3칸이 방이고 나머지가 마루이다. 기모헌(寄모軒)·침간정·용와음(慵窩吟) 등의 편액이 걸렸다. 주인의 문한적(文翰的) 소양이 잘 드러나 보이는 것들이다. 이 집을 지은 척도는 영조척(營造尺)이나 실측해 보면 간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다. 이건하면서 현대식 감각이 투입된 흔적으로 보여진다.
↜ 삼가정(三檟亭) ↝
삼가정(三檟亭)은 유봉시(1654~1709)가 아들 유승현과 유관현의 공부를 위해 안동시 임동면 위동으로 이사하였는데, 두 아들이 모두 학문에 전념한 보람이 있어 학덕과 벼슬이 세상에 알려지자 이곳에 서재를 짓고 세 그루의 가죽나무를 심고 삼가정이라 하였다. 조선 현종 15년(1674)에 안동군 임동면 위리에 지었다가 1922년에는 박곡리로 옮겨 지었으나, 1987년 임하댐 건설로 현 위치에 옮겼다.
↜ 수남위종택 (水南位 宗宅) ↝
수남위종택은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일선리에 있는 건축물이다. 1985년 8월 5일 경상북도의 문화재자료 제51호로 지정되었다.
이 마을 전주 류(柳)씨 입향시조 류성의 아우 류원이 분가하여 지은 집이다. 원래는 박곡리에 있던 것을 임하댐 건설로 지금 있는 자리에 옮겨 세운 것이다. 처음 세운 시기는 알 수 없으나 1700년경 화재로 소실되자 1850년경 다시 세워 오늘에 이르고 있다.
一자형 안채와 아래채로 구성되어 있는데 안채는 앞·뒤로 칸을 나누어 2열로 만든 겹집이다.
↜ 호고와종택(好古窩宗宅) ↝
호고와종택(好古窩宗宅)은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일선리에 있는 건축물이다. 1985년 8월 5일 경상북도의 문화재자료 제57호로 지정되었다. 조선 후기 학자인유휘문(1773∼1827)이 세운 집이다. 1700년대에 지은 이 집은 유휘문의 호를 따서 ‘호고와종택’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지금 있는 건물은 원래 안동시 임동면 마령리에 있었으나 임하댐 건설로 옮겨 세운 것이다.
↜ 대야정(大埜亭) ↝
대야정(大埜亭)은 조선 후기의 학자인 대야 유건휴(大埜 柳健休, 1768~1834)가 영조 46년(1770)에 지은 정자이다. 원래 안동군 임동면 수곡동에 있었으나, 1987년 임하댐 건설로 현 위치로 옮겼다.
유건휴는 과거에 급제하였으나 관직에 나가지 않고 이 정자를 짓고 오로지 학문에만 전념하여 [이학집해], [사서집평], [국사고사], [대야집] 등 많은 저서를 남겼고 이 저서들은 지금까지 대야정에 보존되어 전해지고 있다. 이 정자는 정면 3칸, 측면 2칸이다. 대청을 중심으로 좌우에 좁은 온돌방이 있다. 좌우 온돌방 중앙 칸과 우측 온돌방을 반 칸 물려 그 전면에 설치한 툇마루를 연결하여 두 방을 한 공간으로 구성하고 있다. 좌측 온돌방과 대청 사이에 들장지를 설치하여 이들 공간이 필요에 따라 일체가 되도록 짜여져 있음이 주목할 만하다 .
↜ 만령초당(萬嶺草堂) ↝
만령초당(萬嶺草堂)은 조선 후기의 학자 만령 유익휘(萬嶺 柳益輝, 1629~1698)가 1680년대에 세운 초당이다. 유익휘가 학문을 연구하고 후학을 길렀던 곳으로, 유익휘는 원래 학문에 관심이 많고 효성이 지극하였다. 죽은 후에 통훈대부 사복시정으로 벼슬에 올랐으며 저서로는 [만령시고]가 있다. 원래 안동시 임동면 마령리의 가르편 마을에 있었으나, 1987년 임하댐 건설로 현재 위치로 옮겼다. 건물이 자리잡은 터가 다소 기울어져 있어 앞쪽은 누마루를 이루며, 왼쪽으로만 정자에 드나들 수 있다. 중앙 대청을 중심으로 양쪽에 온돌방을 두고 앞쪽에는 반 칸 규모의 퇴칸을 두었다.
↜ 망천동임당댁(輞川洞 林塘宅) ↝
조선 영조 51년(1775) 김규진 선생이 지은 집이라고 한다. 1964년 이재천이 샀고 현 소유자가 1986년 사들여 단포고택이라고 부르고 있다. 지금 있는 건물은 1987년 임하댐 건설로 현 위치로 옮긴 것이다. 앞면 4칸·옆면 5칸 크기이며 ㅁ자형 평면을 갖추고 있다. 사랑채 부분은 좌우로 1칸씩 돌출되어 있고, 지붕 옆면이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집이다.
↜ 근암고택 ↝
근암고택은 유학자인 근암 유치덕(柳致德, 1823~1881)이 1870년(고종 7)에 지었다. 원래는 경상북도 안동시 임동면 수곡리에 있었으나, 임하댐 건설로 1987년 지금의 자리로 옮겨졌다. 1985년 8월 5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55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경상북도 문화재자료로 재지정되었다.
~~~~~~~~~~~~~~~~~~~~~~~~~~~~~~~~~~~~~~~
[주의] 안내도 정보는 이동 경로 구성을 위한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십시오.
현재 탐색 경로가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이 점 양해 바랍니다.
~~~~~~~~~~~~~~~~~~~~~~~~~~~~~~~~~~~~
무을저수지 안내도 ▼
구미수다사목조 아미타여래좌상 안내도 ▼
죽장사+구미죽장리오층석탑 안내도 ▼
구미보전망대 안내도 ▼
영남유교문화진흥원 안내도 ▼
구미보현선원 안내도 ▼
구미문목사+송당정사 안내도 ▼
옥성자연휴양림 수변데크 안내도 ▼
전모례가정+신라불교초전지 안내도 ▼
도송지 안내도 ▼
동암정 + 용와종택및 침간정 + 삼가정 + 수남위종택 + 임하댁
+ 호고와종택 + 대야정 + 만령초당 + 망천동임당댁 + 근암고택
일선리 문화재마을 안내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