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국 시,군 여행 자료

대전 여행자료▶대덕사이언스길 1코스(대덕특구올레길)트레킹 자료

by 여행을즐기는사람 2023. 2. 8.
728x90

↜ Tracking&Travel 

이 까페는 여행을 즐기는 사람들을 위한 카페입니다.

여행에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대전 

 2023년 0월 0일 대전 관광 트레킹 코스 

↜ 대전 대덕사이언스길 1코스 트레킹 

↜ 과학공원(만남의광장)교육과학연구소창주사적공원(긍사재)매봉산(144m)표준곽학연구소대덕대뒷산태전사화암4거리화봉산 정상(수당정 정자쉼터)우성이산(178.7m)도룡정과학공원(만남의광장) 

 2023년 0월 0일 대전 관광 트레킹 코스 

↜ 대덕특구올레길 트레킹 코스 

↜ 대전 대덕사이언스길 1코스 트레킹 

↜ 과학공원(만남의광장)교육과학연구소창주사적공원(긍사재)매봉산(144m)표준곽학연구소대덕대뒷산태전사화암4거리화봉산 정상(수당정 정자쉼터)우성이산(178.7m)도룡정과학공원(만남의광장) 

거리; 약11.1km. 시간; 약 4시간소요

~~~~~~~~~~~~~~

↜ 대덕사이언스길 2코스  

 과학공원(만남의광장)궁동근공원충남대농대신성그린공원(정상)대전시민천문대연구단지운동장대전과학고입구성두산 그린공원(구성동산성)과학공원(만남의광장) ↝

거리; 약10.0km. 시간; 약 3시간 30분소요

 2023년 0월 0일 대전 관광 트레킹 코스 

↜ 대덕특구올레길 트레킹 코스 

↜ 대전 대덕사이언스길 1코스 트레킹 

↜ 과학공원(만남의광장)교육과학연구소창주사적공원(긍사재)매봉산(144m)표준곽학연구소대덕대뒷산태전사화암4거리화봉산 정상(수당정 정자쉼터)우성이산(178.7m)도룡정과학공원(만남의광장) 

2023년 0월 0일(수) 대덕사이언스길 1코스 트레킹  1구간 출발지점; 카이스교에서 갑천자전거길 내려가 대덕대교방면으로 진행만년돌보 건너 우측길로 진행맹봉교건너 행단보도건너 과학공원(만남의광장)에서 진행 한다.탄동천길대전교육정보원 김익희의묘 안내간판에서우측길창주사적공원(긍사재)광산김씨사당사당옆길매봉산(144m)KIT입구에서우측길횡단보도 건너우측길LG화학기술연구원 어린이집에서좌측길(점심식사)삼거리에서좌측길대덕대로좌측계단전자파 야외시험자뒷길150m능성길태전사입구 휀스에서 길건너 휀스진입능성길대전시립제1 노인전문병원 뒷길구례골 정자쉼터좌측길화암네거리에서우회전화암네거리에서 횡단보도 건너직진나무 노란리본에서우측길비룡바위옛 초소 화봉산 정상(화봉산 휴게소), 폐허 초소자리 정자쉼터(수당정)터널위 장군바위 성혈(구멍바위)우성이산(178.7m)정자쉼터(도룡정)꿈도리렌드방면 휀스옆 대덕사이언스간판에서우측길대전북부소방소에서좌측길과학공원(만남의광장)탄동천&갑천 합류점갑천자전거길카이스교

거리; 약 11.1km. 시간; 약 4시간소요

~~~~~~~~~~~~~~~~~~~~~~~~~~~~~~~~~~~~

↜ 김익희의묘 ↝

김익희(金益熙, 1610∼1656)의 본관은 광산(光山)이고, 자는 중문(仲文), 호는 창주(滄洲)이다. 대사헌 김계휘(金繼輝)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김장생(金長生)이고, 아버지는 김반(金槃)이다. 김반의 여섯 아들 중 둘째로 태어나 계곡(谿谷) 장유(張維)와 기옥(畸翁) 정홍명(鄭弘溟)에게 고문(古文)을 배웠다. 1633년(인조 11)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부정자·검열을 지내고 홍문록(弘文錄 : 홍문관의 교리·제학 등을 선발하기 위한 제1차 인사기록)에 올랐다.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척화파의 한 사람으로 남한산성에 들어가 독전어사(督戰御使)가 되었다. 1653년(효종 4) 노산군(魯山君)의 묘소에 제사지낼 것을 청하여 시행케 하기도 하였다. 1656년(효종 7) 대제학에 올라 명실공히 대학자로서 조선 중기 학문을 대표하였다. 봉분의 직경은 8m이고, 높이는 3m, 197㎝·119㎝·33㎝ 크기의 장석 좌우에 장대석을 4개씩 쌓아 묘역을 조성하였다. 봉분의 왼쪽에는 묘비가 있는데, 이수에는 두 마리의 용이 매우 특이한 수법으로 조각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며, 높이는 215㎝, 폭 82㎝이다. 봉분의 좌우에는 망주석 1쌍과높이 169㎝, 폭 50㎝, 두께 40㎝의 한 쌍의 문인석(文人石)이 있다. 창주사적공원 어귀에는 비각이 있다. 비각 안에는 신도비와 더불어 1기의 묘비가 있다. 묘소 우측에 있는 묘비는 근래 새로 조성한 것이고, 이곳에 있는 마모가 심한 묘비가 원래의 것이다. 신도비는 1712년(숙종 38) 11월에 건립된 것으로 규모는 높이 410㎝, 비신 높이 250㎝, 폭 93㎝, 두께 43㎝이다. 비문의 내용은 송시열이 짓고, 비문의 글씨는 김수증(金壽增)이 썼으며, 전액(篆額)은 김진규(金鎭圭)가 썼다. 묘 아래에는 재실(齋室) 긍사재(肯思齋)이 있다

~~~~~~~~~~~~~~~~~~~~~~~~~~~~~~~~~~~~~~~~~~~~~~~~~~~~~

박정희 대통령과 우성이산(도룡리)에 얽힌 이야기

~~~~~~~~~~~~~~~~~~~~~~~~~~~~~~~~~~~~~~~~~~~~~~~~~~~~~

[주의] 안내도 정보는 이동 경로 구성을 위한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십시오. 

       현재 탐색 경로가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이 점 양해 바랍니다.  

~~~~~~~~~~~~~~~~~~~~~~~~~~~~~~~~~~~~~~~~~~~~~~~~~~~~~

대덕사이언스길 1~2코스 안내도 

대덕사이언스길 1코스 안내도 

대덕사이언스길 2코스 안내도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