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국 시,군 여행 자료

경남 김해(1박2일) 여행자료▶노무현 대통령 생가↝연지공원↝구지봉,수로왕비릉↝대성동 고분군,수로왕릉,수릉원↝흥부암↝봉황대공원↝사충단↝분산성↝은하사 여행자료

by 여행을즐기는사람 2023. 2. 6.
728x90

↜ Tracking&Travel 

이 까페는 여행을 즐기는 사람들을 위한 카페입니다.

여행에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경남 김해시 

 2023년 0월 0일(1일차) 경남 김해시 관광 트레킹 

 연지공원구지봉, 수로왕비릉대성동 고분군, 수로왕릉, 수릉원김해읍 

 봉하마을노무현 대통령 생가봉화산(140.7m) 트레킹 

 노무현 대통령 생가노무현대통령 묘역부엉이바위호미든 관음성상봉화산 정토원지상용출 부처님사자바위 전망대봉화산(140.7m)정상봉하마을 

~~~~~~~~~~~~~~~~~~~

 경남 김해시 

 2023년 0월 0일(2일차) 경남 김해시 관광 트레킹 

 흥부암봉황대공원김해 사충단+미륵암분산성+해은사은하사동림사 ↝

 2023년 0월 0일(1일차) 경남 김해시 관광 트레킹 

2023년 0월 0일(수) 대전 출발봉하마을 주차장연지공원 주차장구지봉 주차장

수로왕릉, 대성동 고분지, 수릉원 주차장김해읍성 주차장포레스트701

거리; 약 263.7km, 시간; 약 3시간 30분소요,  통행료; 약 11,500원,  주유비; 약 40,678

~~~~~~~~~~~~~~~~~~~~~~~~~~~~~~~~~~~~~~~~~~~~~~

 경로주소 

(봉화산 트레킹)봉하마을 주차장; 경남 김해시 진영읍 봉하로 115연지공원 주차장; 경남 김해시 내동 111

구지봉, 수로왕비릉 주차장; 경남 김해시 구산동 92-1

수로왕릉, 대성동 고분지, 수릉원 주차장; 경남 김해시 대성동 87-9, 분성로261번길 35

김해읍성 주차장; 경남 김해시 동상동 833-1포레스트701 주차장; 경남 김해시 가락로24번길 8-1

~~~~~~~~~~~~~~~~~~~~~~~~~~~~~~~~~~~~~~~~~~~~~~

 경남 김해시 

 2023년 0월 0일(1일차) 관광 트레킹 

연지공원구지봉, 수로왕비릉대성동 고분군, 수로왕릉, 수릉원김해읍 

 봉하마을노무현 대통령 생가봉화산(140.7m) 트레킹 

노무현 대통령 생가노무현대통령 묘역부엉이바위호미든 관음성상봉화산 정토원지상용출 부처님사자바위 전망대봉화산(140.7m)정상봉하마을 

노무현 대통령이 어린 시절을 보내며 부모님과 함께 다녔던 봉화산 정토원...

2023년 0월 0일 봉화산 트레킹 코스 ▶ 봉하마을 주차창에 주차후 노무현 대통령 생가관람후 봉화산으로 이동중 노무현 대통령 묘역에 들러보고 봉화산으로 이동한다.부엉이바위호미든 관음성상임도 삼거리에서 우측길이정표 삼거리에서 봉화산 점토원으로 진행봉화산 점토원U턴임도 삼거리에서 좌측길지상용출 부처님(봉화산 지상 출현 부처님 자연 환경의 하나하나가 전부의 부처님의 몸체임으로 산천초목 전부를 부처님과 같이 공경하고 사랑하자는 뜻으로 상징화 시콌다고 합니다.)사자바위 전망대(멀리 낙동강, 봉화 들판, 무척산, 화보천 뷰~)능선길봉화산(140.7m)정상(호미든 관음상)(1959년 동국대 총학생회장 이었던 선진규 원장 등 불교학과 학생30명과 함께 부처님의 가름침에 농민 운동을 상징하기 위해 조성한 것이다.)능선길임도 삼거리에서 좌측 임도길봉화산 정토원 표지석에서 좌측 임도길제2,제1주차창 지나 쉼터정자에서 우측 계단오름길임도 삼거리에서 우측로 하산봉하마을 주차창

거리; 약 2.2Km, 시간 약1시간 소요

~~~~~~~~~~~~~~~~~~~~

봉하 마을 노무현 대통령의 생가와 묘역에 대하여 살펴본다

봉화산 마애불과 부엉이 바위

“원장님 계신가 가봐라.” “계시면 모시고 올까요?” “아니다.” “……” “참 좋은 분인데…” 지난 5월 23일 새벽. 노무현 전 대통령은 부엉이바위서 투신 직전 동행한 경호원과 이 같은 대화를 나눴다. 불과 20분 전 사저 책상머리에서 마지막 유서를 쓰고 난 뒤다. 경호원을 따돌리고 부모 위패가 모셔진 정토원 법당을 먼발치서 바라보며 하직 인사를 올렸을 그의 표정과 마음은 어떠했을까라고 봉화산 정토원 선진규 원장은 회고한다.

~~~~~~~~~~~~~~~~~~~~~~~~~~~~~~~~~~~~~~~~~~~~~

 경남 김해시 

↜ 대성동 고분군수릉원수로왕릉 트레킹&봉황대공원(봉황동 유적) 트레킹 

 대성동 고분군, 수릉원, 수로왕릉 트레킹김해읍봉황대공원(봉황동 유적)트레킹 

2023년 0월 0일 대성동 고분군봉황동 유적 트레킹 코스 

~~~~~~~~~~~~~~~~~~~~~~~~~~~~~~~~~~~~~~~~~~~~~~

 노무현 대통령 생가 

고 노무현 대통령의 생가는 작은 방 2개와 부엌이 일렬로 늘어선 슬레이트 지붕의 벽돌집이다. 초라한 집이지만 방문객들에게 이곳의 모든 것은 진귀하다. 흙 · 돌 · 물 등은 방문객들의 최고 인기품이다. 방문객 중 일부는 마당의 돌멩이와 흙을 비닐봉지에 담아가기도 한다. 또 대통령을 배출한 곳의 물은 특별하다는 생각에 물을 떠가는 사람들도 있다.

~~~~~~~~~~~~~~~~~~~~~~~~~~~~~~~~~~~~~~~~~~~~~~

 연지공원 

공원 곳곳에 호수가 있는 연지공원은 김해시의 대표적 도심 공원이다. 공원 호수 가까이 맞닿은 산책로는 사계절 변화하는 꽃을 볼 수 있어 공원을 방문하는 사람들에게 즐거운 볼거리를 제공해 준다. 공원을 걷기 전, 해충이 걱정된다면 입구에서 주차장으로 가는 길에 해충 퇴치 기피제 분사기가 구비되어 있으니 이용해 보는 것도 좋다. 연지공원 호수에는 연꽃, 어리연 등이 심겨 있어 계절에 따라 방문객들에게 색다른 재미를 제공한다. 연지공원의 하이라이트는 야간에 볼 수 있는 분수쇼이다. 공원 호수에 레이저와 조명, 음악을 이용하여 분수쇼를 연출하는 데 이곳을 방문하는 이들에게 특별한 추억을 만들어 줄 수 있는 곳이다. *취사 금지, 잔디밭 출입금지

~~~~~~~~~~~~~~~~~~~~~~~~~~~~~~~~~~~~~~~~~~~~~~

 구지봉석/고인돌 

집단무(集團舞)인 구지가(龜旨歌)에 의해, 황금보자기에 쌓여 내려온 여섯 알에서 제일 먼저 머리를 내민 수로왕이 태어난 구지봉에 올랐다. 성소(聖所)에는 “대가락국태조왕탄강지지(大駕洛國 太祖王誕降之地“ 비가 세워져 있다. 그 옆 조금 떨어진 곳에, 조선 시대 한석봉이 쓴 글씨라는 ”구지봉석(龜旨峯石)“이라고 새겨진 청동기 시대 무덤인 고인돌이 있다. 기원전 4~5세기경 이 지역을 다스렸던 추장의 것으로 추정하고 있었다. 구지봉은 성스러운 곳답게 아름드리 소나무가 에워싸고 있었다.

~~~~~~~~~~~~~~~~~~~~~~~~~~

 수로왕과 허왕후가 거닐던 숲, 수릉원 
수로왕릉과 대성동고분군 사이에 있는 숲으로 수로왕과 허왕후가 함께 거닐었던 정원과 같은 이미지로 수로왕릉과 가야왕들의 묘역인 대성동고분군을 이어주는 단아한 숲이라는 의미가 담겨져 있다. 수릉원은 구 공설운동장부지로 인해 가야시대의 중요 문화재인 수로왕릉과 가야왕들의 능역인 대성동 고분군, 봉황동유적의 환경을 단절시키고 있어 그 자리에 야트막한 능선으로 조성하여 재래수종과 소나무 등을 심고 유적 간을 자연스럽게 이어주면서 수로왕과 허왕후의 만남을 테마로 한 생태공원으로 39,600㎡의 규모로 조성하였다.

~~~~~~~~~~~~~~~~~~~~~~~~~~

 수로왕릉 

수로왕은 서기 42년 가락국의 시조로 왕위에 올라 서기 48년 인도의 야유타국 공주 허황옥을 왕비로 맞았으며 김해 김씨의 시조고 왕릉은 선조 13년(1580)에 영남관찰사 허엽이 능을 지금의 모습으로 단장하였다. 능의 경내에는 수로왕, 수로왕비의 신위를 모신 숭선전을 비롯하여 안향각전사청제기고 여러 건물과 신도비공적비 석조물이 있다. 능 앞의 묘비는 조선 인조25년(1647)에 세운 것이며 숭선전은 고종 21년(1884)에 임금이 내린 이름이다.

숭선전; 가락국 시조 수로왕과 왕후 허씨의 신위를 모시고 있다.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11호, 안향각; 1824년 창건. 춘추제례에 사용할 향과 축을 국가가 하사하면 이곳에서 보관하고 있다., 납릉 정문; 수로왕릉의 정문, 구지봉; 풍수학설로 거북이 열마리가 뭉쳐져 있는 형상을 하고 있다. 삼국유사의 기록에 따르면 서기 42년 이곳 구지봉에서 금알 6개가 금합에 담겨 하강하여 금관성 아도간 집에 모셔졌는데, 금알들은 다음날 모두 동자로 화신하였다 한다. 동자 1명은 수로왕이 되었고 나머지 5동자는 5가야의 추장으로 추봉 되었다 한다.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 58호, 숭선전 제례; 나라에서 춘추제례(음력3월 15일과 9월 15일)를 행하고, 정월 초하루, 추석, 동지에는 다례를 숭선전 참봉이 올리며 매월 초하루와 보름에는 분향을 올린다.

~~~~~~~~~~~~~~~~~~

 수로왕릉&수릉원앞에 위치한 김해 한옥체험관 

김해 한옥체험관; 055)322-4735, 경남 김해시 가락로93번길 40 김해한옥체험관

(안채, 사랑채, 별채 등에 13개의 객실 보유) 주차 가능

김해 한옥체험관 체크인 5시 체크아웃 11시(12시 ~ 4시 시민개방) 공식적인 체크인 시간은 5시, 

김해 한옥체험관 탐미당 (정원 2인), 숙박요금; 평일 (일~목) 8만원, 주말 (금~토) 10만원

Tip. 방음이 잘 안 됨, 취사 및 담배 등 금지, 취사금지, 배달음식은 가능

~~~~~~~~~~~~~~~~~~~~~~~~~~

 대성동고분군 

사적 제341호. 대성동고분군은 가야의 건국설화와 관련된 구지봉이 바라다보이는 나지막한 구릉에 위치한다.
무덤의 규모와 부장품으로 보아 금관가야의 지배층의 무덤으로 생각된다. 큰 무덤들은 길이가 6~7m, 깊이가 3m에 달하는 것도 있다. 덧널 구조는 무덤 귀퉁이에 통나무를 세우고 여러 개의 통나무를 횡으로 엮어 만든 것으로 여겨진다. 다량의 도질토기, 철제 농공구와 마구, 갑주류 등은 물론이고 2~3명의 순장자도 발견되었다. 일본에서만 출토되었던 파형동기와 굴대투겁, 벽옥제 등 많이 출토되어 일본의 유력한 세력이 김해지역의 금관가야와 교역했다는 분명한 증거가 되고 있다.

~~~~~~~~~~~~~~~~~~~~~~~~~~

 김해읍성 

김해읍성의 서쪽 체성(體城) 성벽과 해자(垓子)의 석축이 처음으로 확인됐다. 문화재청의 허가를 받아 한국문화재단에서 발굴 조사 중인 김해읍성(서상동 222-2번지) 유적에서 확인된 성벽은 높이 2m 정도, 길이 23m 정도지만 남쪽과 북쪽은 경계 밖의 인근 주택 하부로 연결되어 이어지고 있다. 성벽은 길이 1m 정도 크기의 다듬어진 큰 면석을 사용해 쌓았고, 틈을 쐐기돌로 메워 견고히 축조했다. 뒷채움석은 잔존하는 현 성벽 높이까지 확인되는데 조사부지 내에서는 넓이 5m 정도까지만 확인되었고, 이 역시 성 안쪽인 동쪽 경계 밖으로 이어진다. 성곽을 방어하기 위해 그 바깥으로 둘러 판 도랑인 해자의 석축은 성벽에서 서쪽으로 9m 정도의 거리를 두고 성벽과 나란한 방향으로 확인된 동쪽 석축이며, 서쪽 석축은 경계 밖인 현 도로 아래에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해자의 깊이는 1m 40cm 정도 확인된 상태다. 이와 같이 김해읍성은 일제강점기에 철거되고, 이후 개발로 대부분 사라진 것으로 알고 있었지만, 이번 발굴조사를 통해 성의 하부는 현재 주택과 도로면의 지하에 비교적 잘 남아 있음이 확인됐다. 이에 따라 앞으로 김해읍성에 대한 발굴조사와 정비 복원을 위한 종합대책 마련이 요망된다. 한편, 김해읍성은 평지성으로 성벽으로 세종 16년(1434년), 해자와 옹성은 문종 1년(1454년)에 만들어졌으며, 고종 32년(1895년)까지 사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성벽의 둘레 길이는 약 1,950m정도이며, 1910년 일제강점기 철거령으로 거의 철거되고 동상동 818번지 일대로 북벽이 길이 20m, 높이 2.5m 정도만 남아있다.

~~~~~~~~~~~~~~~~~~~~~~~~~~~~~~~~~~~~~~~~~~~~~~

 봉황대공원 주변 숙박업소 

포레스트701; 예약하기 경남 김해시 가락로24번길 8-1

(디럭스트윈, 프리미엄-안마의자, 프리미엄-의류청정기, VIP 6만원, 스탠다드 5만원, 디럭스 5만 5천원)

보스턴호텔; 예약하기 경남 김해시 가락로29번길 6(디럭스 트윈 7만 5천원, 스탠다드 6만원, 비즈니스 5만 5천원)

호텔스미스; 0508-5025-3063, 김해시 가락로15번길 7

(스탠다드 5만원, 프리미엄 6만원, 프리미엄-의류청정기 7만 8천원)

그레이70호텔; 055-345-2353, 김해시 진영읍 서부로 108(스텐다드 4만원, 디럭스 5만원, 스위트 6만원)

와우호텔 진영점; 055-344-0016, 경남 김해시 진영읍 김해대로 780(준특실 4만원, 특실 4만5천원)

~~~~~~~~~~~~~~~~~~

 봉황대공원(봉황동 유적)&수로왕릉&수릉원 주변 숙박시설 ↝

테라스모텔; 055)332-1688, 경남 김해시 가락로63번길 26-6(일반실 3만 5천원)

(봉황대공원 걸어서 5분거리, 수로왕릉&수릉원 걸어서 5분거리)

미성모텔; 055-333-8842, 경남 김해시 분성로288번길 7-24

금보모텔; 055)50335-8400, 경남 김해시 분성로 327-14 (서상동)/경남 김해시 서상동 94-58

~~~~~~~~~~~~~~~~~~~~~~~~~~

 봉황대공원 주변 맛집 

(봉황대공원 길건너)시오리막국수 봉황점; 055-311-1052, 김해시 왕릉길 60(메밀전병 1만원, 메밀만두 7천원)

(비빔막국수,물막국수 9천원, 짜박이 1만원, 설렁탕 1만2천원, 소고기비빔밥 1만1천원, 한우육회비빔밥 1만5천원)

오토리스시; 010-9323-9336, 경남 김해시 분성로271번길 3-3

(연어덮밥 1만원, 치킨가라아게, 큐브스테이크, 장어덮밥 1만 5천원, 광어 스시(10ps)활어 사시미(소) 2만원)

~~~~~~~~~~~~~~

 동상시장 맛집 

(베트남 음식점)하노이퍼; 070-8802-9059, 경남 김해시 구지로180번길 37

(인도&네팔 음식점)두르가 김해점; 055-335-4786, 경남 김해시 분성로335번길 16-1

(씨푸드 차우면, 탄두리 치킨 샐러드 1만원, 시푸드 샐러드, 치킨 칠리 1만 2천원, 사모사 5천원)

 2023년 0월 0일(2일차) 경남 김해시 관광 트레킹 

2023년 0월 0일(목) 포레스트701호텔흥부암 주차장봉황대공원 주차장김해 사충단+미륵암 주차장

분산성+해은사 주차장은하사 주차장동림사 주차장대전

거리; 약 279.1km, 시간; 약 4시간,  통행료; 약 12.400원,  주유비; 약 43,054 

~~~~~~~~~~~~~~~~~~~~~~~~~~~~~~~~~~~~~~~~~~~~~~

 경로주소 

흥부암 주차장; 경남 김해시 전하로 269-74봉황대공원 주차장; 경남 김해시 분성로 264-12

김해 사충단+미륵암 주차장; 경남 김해시 동상동 153분산성+해은사 주차장; 경남 김해시 어방동 962

은하사 주차장; 경남 김해시 삼방동 894동림사 주차장; 경남 김해시 삼방동 산 120-6

~~~~~~~~~~~~~~~~~~~~~~~~~~~~~~~~~~~~~~~~~~~~~~

 경남 김해시 

 2023년 0월 0일(2일차) 김해시 관광 트레킹 

 흥부암봉황대공원김해 사충단+미륵암분산성+해은사은하사동림사 

2023년 0월 0일 경남 김해시 관광 트레킹 코스 

~~~~~~~~~~~~~~~~~~~~~~~~~~~~~~~~~~~~~~~~~~~~~~

 김해 흥부암 석조보살좌상 

김해 임호산(林虎山) 정상의 가파른 자리에 위치한 흥부암(興府庵)은 가락국의 수로왕 때 장유화상(長遊和尙)이 도성의 흥성을 빌기 위해 세운 사찰이라고 전한다. 사찰의 명맥은 현대에 까지 이어졌는데 최근인 1985년에 화재로 소실된 것을 1989년에 중건해 오늘에 이르고 있다.

흥부암의 석조보살좌상은 조선 후기에 제작된 불상이다. 수인의 형태로 보아 삼존불상의 우협시인 보살상으로 추정되며 전체적으로 균형감은 떨어진다. 법의는 도식적이면서도 둔탁한 느낌을 주고 있다. 18세기 불상 조각의 양식적 특징과 변화상을 살필 수 있는 불상으로서 의미를 갖는다. 2009년에 경상남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

 봉황대공원 

봉황대공원은 김해시 가락로에 자리 잡고 있다. 가야문화 환경 정비사업의 목적으로 유적지에서 발굴된 가야 시대 고상 가옥 3채와 망루 1채를 복원하고 가야 시대의 배를 제작 및 설치했다. 금관가야 시대의 생활 모습과 가옥을 관찰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넓은 잔디밭과 나무들이 가득해 피크닉을 즐기거나 데이트 장소로도 인기 있는 곳이다. 근처에 부산·김해경전철과 김해시외버스터미널이 있어 접근성도 좋다. 가야시대의 유적 등 이색적인 풍경과 함께 도심 속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이다. 공원 내에는 봉황동유적패총전시관도 있다.

~~~~~~~~~~~~~~~~~~~~~~~~~~~~~~~~~~~~~~~~~~~~~~

 김해 사충단 

김해 사충단(金海 四忠壇) 은경상남도 김해시 동상동에 있는 묘단이다. 1990년 12월 20일 경상남도의 기념물 제99호 사충단으로 지정되었다가, 2018년 12월 20일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조선시대 선조 25년(1592) 4월에 일어난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지키다 전사한 김득기, 송빈, 유식, 이대형 선생의 공을 기리기 위하여 고종의 명으로 8년 (1871)에 건립한 묘단이다. 처음에는 동상동 873번지에 있었던 것을 김해의 도시계획으로 동상동 227-6, 228번지로 옮겨 세운 것을 또다시 동상동 161번지 일원에 확장 이건하였으며 매년 음력 4월 20일 추모제를 지내고 있다.

~~~~~~~~~~~~~~~~~~~~~~~~~~

 김해 분산성 

김해 분산성(金海 盆山城)은 경상남도 김해시에 있는 삼국시대의 성곽이다. 1963년 1월 21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66호로 지정되었다. 낙동강 하류의 넓은 평야를 한눈에 볼 수 있는 분산의 정상에 둘레 약 900m에 걸쳐 돌로 쌓은 산성이다. 처음 쌓은 연대는 확실하지 않으나, 삼국시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 전기에 왜구의 침입을 막기 위하여 박위(朴蔿)가 수리하여 쌓은 뒤, 임진왜란(1592) 때 무너진 것을 고종 8년(1871)에 다시 쌓아 오늘에 이르고 있다. 산 위의 평탄한 지형을 둘러서 그 주위에 남북으로 긴 타원형을 이루도록 쌓았다. 서남부는 험준한 천연 암벽을 그대로 이용하였으며 현재 성벽이 부분적으로 남아있다. 성 안에 이르는 통로는 산성 서쪽에 있는 계곡을 거쳐 북쪽 뒤편에서 들어가는 길을 이용한 듯 하다. 현재 성 안에 우물과 암자, 그리고 민가가 있으며 산꼭대기에는 3기의 비석이 있다.

성 주변에는 가야 무덤들과 수로왕비릉, 가야의 건국설화와 관련있는 구지봉이 있어 이 성과의 연관성을 보여준다.

~~~~~~~~~~~~~~~~~~~~~~~~~~

 은하사 

대한불교조계종 제14교구 본사인 범어사(梵魚寺)의 말사이다. 서림사(西林寺)라고도 한다.

이 절의 가락국의 김수로왕 때 장유화상(長遊和尙)이 창건하였다고 하며, 임진왜란 때 불타버린 것을 1600년대에 중창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절 이름은 처음에 산 이름과 관련시켜서 은하사라고 하였는데, 최근 장유화상이 인도로부터 와서 가야에 불교를 전파한 것을 기념하기 위해서 서림사로 바꾸었다고 하며, 현재도 은하사라고 부르는 사람이 많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서림사라는 편액이 붙어 있는 누각인 화운루(華雲樓)를 들어서면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38호로 지정된 대웅전이 있다. 이 대웅전을 중심으로 왼쪽에는 설선당(說禪堂)이 있고 오른쪽에는 명부전(冥府殿)과 종각(鐘閣)이 있다. 또, 대웅전 뒤의 왼쪽에는 응진전(應眞殿)과 2동의 요사채가 있고 오른쪽에는 산신각(山神閣)이 있으며, 절 오른쪽 아래에는 현대식으로 지은 객사가 있다. 대웅전은 조선 중기 이후의 건물로서 다포집 계통의 맞배지붕 건물이다. 대웅전 내부의 벽화는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02호로 지정되었으며, 대웅전 앞에는 높이 5m 정도의 5층 석탑이 있고, 응진전 앞에는 3층 석탑이 있으나 모두 오래된 것은 아니다. 또, 절 밑에는 신어산이라는 산명과 연관된 연못이 있다.

~~~~~~~~~~~~~~~~~~~~~~~~~~

 동림사 ↝

* 허왕후의 오빠 장유화상이 창건한 사찰, 동림사 *
신령스러운 물고기란 뜻을 가진 수려한 경관과 토속적인 느낌이 짙은 신어산(神魚山)에는 가락국(43-532) 초기에 김수로왕의 왕비인 허왕후의 오빠 장유화상이 창건한 동림사가 있다. 동림사는 가락국의 안전과 번영을 염원하는 뜻에서 창건되어졌다 전하는데, 임진왜란 때 모두 소실된 것을 화엄선사와 월주스님이 복원하였다.

~~~~~~~~~~~~~~~~~~~~~~~~~~~~~~~~~~~~

[주의] 안내도 정보는 이동 경로 구성을 위한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십시오. 

       현재  탐색 경로가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이 점 양해 바랍니다.  

~~~~~~~~~~~~~~~~~~~~~~~~~~~~~~~~~~~~

봉하마을노무현 대통령 생가봉화산(140.7m) 안내도 

연지공원 안내도 

구지봉, 수로왕비릉 안내도 

대성동 고분군, 수로왕릉, 수릉원 안내도 

봉황대공원 안내도 

사충단 안내도 

분성산 분산성 안내도 

은하사, 동림사 안내도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