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국 시,군 여행 자료

전북 진안 여행자료 ▶ 진안 마이산 트레킹 ↝ 천황사 ↝ 와룡암 ↝ 주천면 체육공원

by 여행을즐기는사람 2023. 1. 25.
728x90

 마이산  천황사  와룡암  주천면 체육공원 

↜ Tracking&Travel 

이 까페는 여행을 즐기는 사람들을 위한 카페입니다.

여행에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유의사항

본 콘텐츠는 2024년 8월 기준으로 작성된 정보입니다.

2024년 7월 이후 변경된 사항은 문서에 반영되지 않았으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전북 진안 

 2024년 0월 0일 진안 관광 트레킹 

 마이산 ↝ 천황사  주천서원+와룡암  은진송씨세거비명+주천생태공원+주천면 체육공원 

↜ 진안 마이산 트레킹 

남부주차장 ↝ 금당사 ↝ 탑영제저수지 ↝ 마이산돌탑 ↝ 탑사 ↝ 은수사+청실배나무

↝ 천황문 ↝ 화엄굴 ↝ 마이산(암마이봉)(687.4m)정상 ↝ 남부주차장

 2024년 0월 0일 진안 관광 트레킹 

0월 0일(금) 대전 월평동 출발 ↝ 마이산 주차장 ↝ 천황사 주차장  와룡암 주차장 

 주천면 체육공원 주차장  대전

거리; 222.1km시간; 4시간, 통행료; 약 7,900원, 주유비; 약 34,837

~~~~~~~~~~~~~~~~~~~~~~~~~~

 경로주소 

 마이산 주차장; 전북 진안군 마령면 동촌리 70-21 ↝ 천황사 주차장; 전북 진안군 정천면 갈용리 1424-1  와룡암 주차장; 전북 진안군 주천면 주양리 135-4  주천면 체육공원 주차장; 전북 진안군 주천면 신양리 696-2

~~~~~~~~~~~~~~~~~~~~~~~~~~~~~~~~~~~~

↜ 전북 진안군 

 2024년 0월 0일 진안 마이산 트레킹 

 마이산 ↝ 천황사  주천서원+와룡암  은진송씨세거비명+주천생태공원+주천면 체육공원 

↜ 진안 마이산 트레킹 

남부주차장 ↝ 금당사 ↝ 탑영제저수지 ↝ 마이산돌탑 ↝ 탑사 ↝ 은수사+청실배나무

↝ 천황문 ↝ 화엄굴 ↝ 마이산(암마이봉)(687.4m)정상 ↝ 남부주차장

2024년 0월 0일 진안 마이산 트레킹 코스 남부주차장 ↝ 매표소 ↝ 등갈비식당 골목 ↝ 금당사(금당사는 대한 불교조계종 제17교구 본사인 금산사의 말사이며 나한전에 봉안된 6척의 목불좌상은 동구나무로 만든 것으로 전라북도유형문화재 제18호로 지정되어 있고 너비5m,길이9m의 괘불은 보물 제1266호로 지정되었답니다) ↝ 탑영제저수지 ↝ 마이산돌탑(주요 돌탑으로는 천지탑, 오방탑, 약사탑, 월광탑, 일광탑, 중앙탑 등의 이름이 붙여있음)-(조선후기 이갑룡 처사가 마이산 은수사에서 수도하던중에 꿈에 신의 계시를 받고 이곳으로 이주하여 30여년동안 혼자 돌탑을 쌓았다고 합니다)-역고드름; 겨울철 마이산 은수사와 탑사 주변에 물을 떠 놓으면 얼음기둥이 위로 솟는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는 지형적인 특성과 함께 기후와 풍향 등의 관계라는 설과 함께 마이산 미스터리 중 하나라네요, 돌탑사(마이산은 태종 임금이 말의 귀와 같다 하여 마이산이란 이름이 붙여졌다고 하며 탑사경내에는 말의 형상 조형물들이 많이 있다고 합니다.)-(마이산탑사 내 서쪽으로는 능소화가 있는데 7월말~8월초가 되면 주황, 홍황색의 꽃을 피우는데 이 능소화의 줄기를 보면 낮에는 하트모양을, 밤에는 탐조등을 비추면 도깨비 뿔 형태를 띠는 형상을 볼수 있다고합니다) ↝ 이정표(남부주차장1.6km, 은수사 0.3km, 천황문 0.6km, 북부주차장 1.1km↝ 은수사를 가니 또 입장료를 내야합니다 ↝ 은수사, 청실배나무 ↝ 돌계단 오름길 ↝ 천황문 ↝ 안부, 화엄굴 통제(석간수가 흐르는 자연동굴)(천황문~암마이봉 출입금지, 11월 중순~3월초) ↝ 가파른 나무계단 오름길 ↝ 전망대(수마이산과 화엄굴 뷰~)마이산 정상, 암마이봉(686m) U

~~~~~~~~~~~~~~~

↜ 마이산 입장료 

주차비; 무료, 탑사 입장료; 3,000원, ​(등산로 매표소 - 탑사매표소 - 은수사 매표소 다 따로있음.)

(표는 버리지말고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은수사-탑사 향향에서 확인 합니다.)

암마이봉 동절기 입산 통제;  (21.11.26~22.3월중순) (천왕문~암마이봉정상,봉두봉~암마이봉정상)

~~~~~~~~~~~~~~~~~~~~~~~~~~~~~~~~~~~~~

 마이산(馬耳山) 

마이산(馬耳山)은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에 있는 산이다. 1979년 10월 16일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고, 2003년 10월 31일 대한민국의 명승 제12호로 지정되었다. 이 산은 신라 시대에는 서다산(西多山), 고려 시대에는 용출산(龍出山), 조선 초기에는 속금산(束金山)이라고 불렀으며, 태종 때부터 본격적으로 말의 귀를 닮았다 하여 마이산이라 불리어 왔다. 중생대 후기 약 1억년전까지 호수였으나 대홍수시 모래, 자갈 등이 의 압력에 의하여 이루어진 수성암으로 약 7천만년 전 지각 변동으로 융기되어 지금의 마이산이 이루어졌으며 지금도 민물고기 화석이 간혹 발견된다. 이 산을 남쪽에서 보면 봉우리 중턱 급경사면에 군데군데 마치 폭격을 맞았거나, 파먹은 것처럼 움푹 패인 크고 작은 굴들을 볼 수 있은데 이는 타포니 지형이다. 풍화작용은 보통 바위 표면에서 시작되나 타포니 지형은 바위 내부에서 시작하여 내부가 팽창되면서 밖에 있는 바위 표면을 밀어냄으로써 만들어진 것이다. 세계에서도 보기드문 사례로 꼽힌다.

~~~~~~~~~~~~~~~

 은수사 

마이산에는 은수사가 있고 그곳에 자생하고 있는 줄사철군락지가 진안 마이산 줄사철나무 군락이란 이름으로 천연기념물 380호로 지정되어 있다. 군식성 식생으로 생태학적 중요성을 인정하여 지정했는데 보호 소재지는 전북 진안군 마령면 동촌리 산 18번지이고 지정일은 1993년 8월 19일, 지정면적은 171m2으로 등록되어 있다. 은수사의 줄사철나무 군락지는 대한민국 내륙 지방에 분포하고 있는 줄사철나무의 북방한계지이고 노목과 군락을 이루고 있어 학술적, 생태학적으로 귀중한 자료로 인정되어 있다. 문화재청은 2008년 4월 15일 마이산 줄사철나무 군락지에서 진안 마이산 줄사철나무 군락로 변경하였다

~~~~~~~~~~~~~~~

 청실배나무 

청실배나무는 산돌배나무와 유사한 종으로 집 근처나 산에서 자라는 나무인데 마이산 이곳에 천연기념물 제386호로 서있다. 나무의 높이는 18m이고, 나무의 나이는 640년으로 추정된다. 가슴높이줄기둘레는 2.8m이고, 줄기 길이는 동쪽 7.2m, 서쪽 8.7m, 남쪽 7.3m, 북쪽 6.4m이다. 이 청실배나무(靑實梨)는 진안군청에서 동쪽으로 4 km, 마령면사무소로부터 3 km 떨어진 숫마이산의 정남향에 있는 은수사의 경내에 자리잡고 있다.

~~~~~~~~~~~~~~~

 금당사 

마이산 남부 진입로에서 마이산을 오르다보면 매표소를 조금 지나서 왼쪽에 금당사가 있다. 금당사에서 1.4킬로미터를 올라가면 마이산 탑사가 나온다. 신라 현덕왕 6년 (814년) 혜감대사가 창건하였다고 전해지고 있다. 극락전에는 수천년이 넘은 은행나무를 깎아서 만든 금당사목불좌상(지방유형문화재)과 가로 5m, 세로 9m 크기의 괘불탱화(보물)가 있다. 이 괘불탱화는 단독의 관음보살입상이 그려져 있으며 표현양식으로 보아 17세기 후반의 뛰어난 솜씨를 자랑하는 걸작으로 통도사의 관음보살 괘불탱화나 무량사의 미륵보살 괘불탱화 등과 함께 걸작으로 손꼽힌다. 이괘불을 걸고 기우제를 지내면 반드시 비가 온다는 얘기가 전해온다. 또한 이곳에는 백제시대 축조된 것으로 추정되는 금당사 3층석탑(지방문화재자료)이 있다.

~~~~~~~~~~~~~~~~~~~~~~~~~~~~~~~~~~~~~

 진안 천황사 전나무 ↝

2008년 6월 16일에 천연기념물 제495호로 지정되었다. 수령은 약 400년으로 추정된다. 나무의 높이는 30m, 줄기의 가슴높이 둘레는 5.51m이다.

수관 폭은 동서 방향이 16.6m, 남북 방향이 16.0m이다.

이 나무는 줄기의 위쪽 끝 부분이 다소 비정상으로 구부러지기는 했으나 줄기 밑동은 곧게 생장했으며 나무 모양이 비교적 단정하다. 줄기의 외관도 큰 상흔이 없이 깨끗한 편이나 지면 가까운 부분(뿌리 근처)의 남쪽과 동쪽에 각각 20×10㎝ 정도의 구멍이 나 있고 그 안쪽이 비어있는 것으로 보아 수간 내부에 큰 공동(空洞)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지면에 뿌리들이 자연스럽게 드러나 있으며 이 가운데 동쪽의 큰 뿌리 한 개에도 30×60㎝ 정도 크기의 공동이 있다. 나무는 북사면에 위치한 남암(南庵) 앞마당의 축대 끝에서 약 3.5m 정도 거리에 위치해 있다. 나무의 입지가 본래는 급한 사면이었기 때문에 나무의 아래쪽에 2단으로 돌을 쌓아서 전나무 뿌리 근처의 토양 유실을 방비해 놓았다.

이 나무로부터 서쪽으로 약 500여m 떨어진 천황사 앞에도 전라북도 보호수인 전나무 한 그루가 있다. 나무의 가슴높이 둘레도 남암 앞의 것보다 다소 큰 것으로 측정되었으나 수간의 상부가 태풍 루사의 피해로 부러져서 전나무의 전형을 잃은 상태이다.

~~~~~~~~~~~~~~~~~~~~~~~~~~~~~~

 와룡암(臥龍庵) 

와룡암은 1984년 4월 1일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8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전라북도 문화재자료로 재지정되었다.

와룡암은 긍구당(肯構堂) 김중정(金重鼎)[1602~1700]이 서울에서 이주하여 전라북도 진안군 주천면 주양리에 은거하던 1654년(효종 5)에 유생들을 위하여 건립하였다. 그 후 250여 년 동안 많은 문인 학사들을 배출하였다. 김중정이 집필한 많은 저서는 여러 차례의 큰물에 휩쓸려 대부분은 유실(流失)되었다고 한다. 그가 세운 원래의 와룡암은 원래 주자천 건너편에 있었는데 물 때문에 오고 가기가 불편하였으므로 1827년(순조 27)에 김상원(金相元)이 지금 자리로 옮겨지었다고 한다.

광산 김씨(光山金氏) 문중에서 관리하고 있으며, 관리인의 집인 부속 건물을 두고 있다. 건물은 도리 기둥에 난간을 갖추고 팔작지붕에 기와를 얹은 앞면 3칸, 옆면 3칸의 누각이다. 중앙에 전후퇴 형식의 방이 있고, 나머지는 마루이며, 방에는 4합문이 달려 있다. 주천 서원(朱川書院)의 강당 격으로 관리인의 집인 부속 건물 1채가 딸려 있다.

~~~~~~~~~~~~~~~~~~~~~~~~~~~~~~

 주천서원(朱川書院) 

주천서원(朱川書院)은 전라북도 진안군 주천면에 있는 서원이다. 1998년 11월 27일 전라북도의 문화재자료 제142호로 지정되었다.

이 서원은 주희여대림주잠이황이이김충립김중정 등 중국과 한국의 훌륭한 유학자 일곱 분을 모시고 제사지내는 곳이다. 1924년 김대현이 유림과 광산 김씨 문중의 도움으로 주천사를 세웠는데, 이것이 1975년 성균관장의 인준을 받아 서원으로 승격하였다. 서원에 모신 인물중 주희의 증손으로 고려말에 이곳으로 은거한 주잠과 조선시대 인물 김충립, 김중정은 이 지역 사람들의 교육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던 분들이다

~~~~~~~~~~~~~~~~~~~~~~~~~~~~~~

 주천생태공원 

주천생태공원은 진안군 봉소마을 주변에 조성된 공원으로 용담호로 흘러드는 주자천 하류에 조성되어 있다. 봄에는 금계국꽃이 만개하여 장관을 이루며, 가을에는 아침 물안개와 단풍이 아름다운 풍경으로 유명하기도 하다. 이곳은 수생식물들이 군락을 이루며 자라고 계절마다 다채로운 야생화들이 피어나기 때문에 출사를 목적으로 오는 사람도 많다. 특히 주천생태공원 호수와 나무가 어우러진 경관은 사진으로 찍었을 때 호수에 비친 모습이 그림과 같아 많은 사람의 감탄을 자아낸다. 자연경관 외에도 체력단련공원, 인공호수, 주차장, 산책로 등이 조성되어 있어 휴식을 취하면서 산책하기 좋으며, 군락 조림과 수생식물원, 야생화단지 등이 있어서 많은 볼거리를 제공한다. 주변 관광지로 닥밭골 옥천암 와룡암이 있다.

~~~~~~~~~~~~~~

↜ 은진송씨(恩津宋氏) 

은진송씨의 오래된 족보인『이권보(二卷譜)』나『사권보(四卷譜)』에는 지평공(持平公) 계사(繼祀)의 자제로 목사공(牧使公) 요년(遙年)과 정랑공(正郞公) 순년(順年)의 형제만 올라 있다.
그런데『은진송씨보(恩津宋氏譜)』세칭『정해대보(丁亥大譜)』제19권「은진송씨별보(恩津宋氏別譜)」에 보면“영남 안음지방에 일파가 있으니 그 족보에 전하는 바는 좌와 같다(嶺之安陰有一派其所傳譜如左).”라 하여 지평공(持平公) 계사(繼祀)의 자제로 백년(栢年)이 올라 있고, 1963년에 간행한『은진송씨선세문헌록』에도 지평공의 제3자로 백년(栢年)이라는 이름이 등재되어 있다.
또한 1966년 5월 안의향교에서 발행한 안의읍지(安義邑誌) 성씨 조에“은진송씨 쌍청당 유의 후손인 송백년이 세종조에 회덕으로부터 와서 자손들이 황산리에 살고 있다(恩津宋氏宋栢年雙淸堂愉后世宗朝自懷德來子孫居黃山里)”라는 기록이 존재하고 있다.
1970년에 비로소 은진송씨대종중에서는 경상남도 함양군 서하면 황산리(慶尙南道 咸陽郡 西下面 黃山里)의 옛 지명인 경상도(慶尙道) 산음지방(山陰地方) 즉 산청군지역(山淸郡地域)에 사는 백년(栢年)의 자손들을 그의 호 후암(後庵)을 따서 후암공파(後庵公派)로 인정하였다. 그 지역은 남덕유산 남쪽에 자리한 육십령(六十嶺)의 끝자락에 자리한 산자수명(山紫水明)한 곳이지만, 옛날에는 우리나라에서 손꼽히는 오지(奧地) 중의 하나였다.

~~~~~~~~~~~~~~~~~~~~~~~~~~~~~~~~~~~~~

[주의] 안내도 정보는 이동 경로 구성을 위한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십시오. 

       현재 탐색 경로가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이 점 양해 바랍니다.  

~~~~~~~~~~~~~~~~~~~~~~~~~~~~~~~~~~~~

진안 마이산 안내도 

진안 천황사 안내도 

진안 주천서원 + 와룡암 안내도 

진안 은진송씨세거비명 + 주천생태공원 + 주천면 체육공원 안내도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