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racking&Travel ↝
이 까페는 여행을 즐기는 사람들을 위한 카페입니다.
여행에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 대전시 ↝
◀ 2023년 0월 0일 대전시 관광 트레킹 코스 ▶
↜ 계족산성↝성재산(399.1m)↝계족산(423m) 트레킹 ↝
↜ 장동마을회관↝계족산성↝거북바위↝성재산(399.1m)↝계족산(423m)↝봉황정전망대↝계족산전망대 ↝
2023년 0월 0일(수) 대전 출발↝장동 마을회관 주차장
~~~~~~~~~~~~~~~~~~~~~~~~~~~~~~~~~~~~~~~
↜ 경로주소 ↝
장동 마을회관 주차장; 대덕구 산디로 231번길10-4
~~~~~~~~~~~~~~~~~~~~~~~~~~~~~~~~~~~~~~~
↜ 계족산성↝성재산(399.1m)↝계족산(423m) 트레킹 ↝
↜ 장동마을회관↝계족산성↝거북바위↝성재산(399.1m)↝계족산(423m)↝봉황정전망대↝계족산전망대 ↝
2023년 0월 0일 장태산(형제산) 트레킹 ▶산디마을 장동 마을회관 주차장↝장동2구 버스정류장에서↱우회전↝산디로231번길 이정표까지↑직진↝이정표 계족산성1.0Km↝이정표 (계족산성0.9Km)삼거리에서↗우측길↝장동2배수지↝이정표 (계족산성0.7Km)↝이정표 (계족산성 0.5Km)에서 묘지 사이길↝쉼터,화장실에서 계족산 종합 안내도옆 가파른 계단 오름길↝계족산성 서문↝계족산성(계족산과 대청호 뷰~)↝계족산성 봉수대(대청호 뷰~)↝계족산성 남문↝이정표 (절고개 1.7Km)↝이정표 임도삼거리↝이정표 (육각정자 0.1 km)↝육각정자(대청호 뷰~)↝거북바위↝성재산(399m)(대청호&식장산 뷰~)↝부부나무↝헬기장봉(식장산 뷰~)↝이정표 (임도삼거리 0.5km, 봉황정 1.8Km)↝들마루 능선↝계단↝임도 삼거리(화장실,운동시설,정자쉼터)↝이정표 (봉황정 1.2Km)↝계단 오름길↝대전둘레산 잇기 5구간 안내간판↝이정표 (봉황정 0.6Km)↝가파른 계단 오름길↝이정표 (봉황정 0.2Km)↝가파른 돌계단↝계족산(423m)정상↝봉황정 전망대↝계족산정상 이정표 (죽림정사 1.2Km)↝조망점(벤취)↝가파른 계단 내림길↝너덜지대 오름길↝계족산 전망대(갑천,계룡산 뷰~)↝가파른 계단 내림길↝가파른 너덜지대&계단 내림길↝임도삼거리(화장실,정자쉼터)이정표 (장동고개 2.1Km)↝이정표 (동고개 1.9Km)↝내림길↝임도삼거리 이정표 (장동고개 1.8Km)↝도로에서 우회전↱↝산디마을 캠핑장↝산디마을 장동 마을회관 주차장
거리; 약10km, 시간; 약4시간소요
트레킹코스 ▶ 산디마을 장동 마을회관 주차장↝계족산성 서문↝계족산성↝계족산성 봉수대↝계족산성 남문↝육각정↝오형제나무↝성재산↝헬기장봉↝임도삼거리↝계족산 정상↝봉왕정(전망대)↝계족산 전망대↝산디마을 장동마을회관 주차장
~~~~~~~~~~~~~~~~~~~~~~~~~~~~~~~~~~~~
↜ 대전 계족산성(大田 鷄足山城) ↝
계족산성은 대전광역시 대덕구 장동에 있는, 둘레는 1,200m 정도의 백제시대 석축산성이다. 1991년 10월 25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355호 대덕계족산성으로 지정되었다가, 2011년 11월 28일 대전 계족산성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대전지역에는 30여개의 산성이 있는데 그 중에서 가장 큰 산성으로 높이 423m의 계족산 위에 있는 테뫼형 산성이다. 현존하는 성벽의 안쪽 높이는 3.4m, 외벽 높이는 7m, 상부 너비는 3.7m이다. 금강 하류의 중요한 지점에 위치하고, 백제시대 토기 조각이 많이 출토되고 있어 백제의 옹산성(甕山城)으로 추정되고 있다. 계족산성은 문의와 청주로 가는 길목을 감시할 수 있고, 또한 보은, 옥천, 대전, 공주에 이르는 웅진도로를 감시할 수 있었다.
유적; 성내에 6개의 건물지가 확인되었고 남, 서, 동벽에 문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성내에는 2개소의 우물지가 발견되었고, 남문이 있었던 자리에서 약 7m 가량 북쪽에 있는 봉우리에 봉수대와 그리고 저수지가 있었다.
집수지; 집수지는 산성 내 우물에서 넘쳐흐른 물과 빗물을 모아서 병사들이 마실 물과 화재때 방화수로 사용하고, 홍수 때에 계속에서 흘러내리는 물의 속도를 줄여서 성벽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쌓은 것이다.
집수지는 위가 열려 있기 때문에 처음 세울 때부터 사용하던 유물들이 들어가 있어, 산성의 내력을 알 수 있는 매우 중요한 고고학적 자료를 제공해 준다. 1차 집수지는 성벽과 함께 백제가 쌓은 것으로 규모는 남북 25m, 동서 5.2m이며, 북쪽은 급한 경사면에 접해 있기 때문에 수압 등 압력을 감안하여 반원형으로 쌓았다. 이는 이제까지 국내에서 확인된 집수지 중에서는 최대 규모이다. 2차 집수지는 신라가 쌓은 것으로 규모는 상부 너비가 남북 20m, 동서 8m이다. 바닥에서는 100개 이상의 백제 토기 조각과 기와 조각이 발견되어 고고학적으로 계족산성을 처음 쌓은 시기가 백제 시대라는 것이 명확하게 확인되었다
~~~~~~~~~~~~~~~~~~~~~~~~~~~~~~~~~~~~~~~~~~~~~~~~~~~~~~~~~~
[주의] 안내도 정보는 자전거 이동 경로 구성을 위한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십시오.
현재 탐색 경로가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이 점 양해 바랍니다.
~~~~~~~~~~~~~~~~~~~~~~~~~~~~~~~~~~~~~~~~~~~~~~~~~~~~~~~~~~
장동마을회관↝계족산성↝성재산(399.1m)↝계족산(423m) 계략도 ▼
'❈전국 시,군 여행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전 ▶갑하산~신선봉 트레킹 (0) | 2023.01.20 |
---|---|
대전 ▶구봉산 트레킹 (0) | 2023.01.20 |
대전 ▶장태산 형제산 원점희귀 트레킹 (0) | 2023.01.20 |
대전 ▶대동하늘공원~성동산~우암사적공원 (0) | 2023.01.20 |
대전 ▶계족산(장동고개↝계족산)코스 트레킹 (0) | 2023.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