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racking&Travel ↝
이 까페는 여행을 즐기는 사람들을 위한 카페입니다.
여행에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 세종시 ↝
◀ 2023년 0월 0일 세종특별자치시 관광 코스 ▶
↜ 베어트리파크↝비암사↝연화사 ↝
2023년 0월 0일(수) 대전↝베어트리파크 주차장↝비암사 주차장↝연화사 주차장↝대전
거리; 약 112.8km, 시간; 약 2시간 30분
~~~~~~~~~~~~~~~~~~~~~~~~~~~~~~~~~~~~~~~
↜ 경로주소 ↝
베어트리파크 주차장3; 세종시 전동면 신송로 217↝비암사 주차장; 세종시 전의면 다방리 196
↝연화사 주차장; 세종시 연서면 연화사길 28-1
~~~~~~~~~~~~~~~~~~~~~~~~~~~~~~~~~~~~
↜ 세종시 ↝
◀ 2023년 0월 0일 세종시 관광 코스 ▶
↜ 베어트리파크↝비암사↝연화사 ↝
~~~~~~~~~~~~~~~~~~~~~~~~~~~~~~~~~~~~~
↜ 베어트리파크 ↝
세종특별자치시에 위치한 베어트리파크는 2009년 5월 개장하였다. 이재연 설립자가 50여년간 가꾸어온 식물과 동물들이 자라 숲과 군락을 이루어 현재의 베어트리파크가 되었다. 베어트리파크 33만여㎡(10만 평)의 대지에 1,000여종 40여만 점에 이르는 꽃과 나무, 비단잉어와 반달곰, 꽃사슴 등이 어우러진 곳이다. 백여마리의 비단잉어가 서식하는 오색연못을 시작으로 수백 마리의 반달곰과 불곰이 재롱을 부리는 모습을 직접 볼 수 있다. 베어트리파크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전망대를 시작으로 사시사철 꽃을 피우는 베어트리정원, 아기반달곰과 사슴, 공작새, 원앙 등을 관람할 수 있는 애완동물원 등이 조성되어 있다. 희귀한 소나무를 수집해 조성한 송백원, 고사목과 향나무가 조화를 이룬 하계정원, 수천 송이의 장미를 감상할 수 있는 장미원, 국내 야생화를 모아둔 산책로인 야생화 동산, 다양한 종류의 분재를 만나 볼 수 있는 분재원, 국내에서 보기 힘든 열대 식물을 한자리에 모아 놓은 열대온실원, 선인장과 과목, 나무화석 등 다양한 볼거리가 가득한 만경비원, 수령 100년 이상 된 향나무 사이로 산책로를 조성한 향나무동산, 800년 된 느티나무가 있는 우리나라 지도 모양으로 만든 유럽식 정원 송파원 등이 있다.
입장요금; 성인 1만원, 소인 8천원, 관람시간; 3월~11월; 09;00~일몰시 /12월~2월 10;00~18;00
- 웰컴하우스 2층 웰컴레스토랑 메뉴 -
스톤그릴 립아이 스테이크 3만 1천원, 바베큐폭립 2만 5천원, 수제 돈까스 & 수프 1만원,
스톤그릴 립아이 스테이크 & 수세소시지 2만 1천원,
토마토 미트 파스타 1만 5천원, 까르보나라 1만 5천원, 고르곤졸라 피자 1만 8천원, 콤비네이션 피자 1만 8천원,
이 외에 프렛즐, 아이스크림, 커피 등 디저트 및 음료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총 172석(홀 72석, 테라스 100석), 연회실(100석) 문의 및 예약; 044-865-6137
- 곰조각공원 뒷편 베어트리 카페 메뉴 -
프렛즐,츄러스,아이스크림,아메리카노,카페모카,쵸코라떼,미닛메이드(오렌지, 포도),망고쥬스,복숭아 아이스티
운영시간; 주말 및 공휴일 11;00~17;00, (우천시 / 11월 ~ 3월 동안에는 운영하지 않습니다.)
- 곰조각공원 뒷편 베어트리 라운지 (카페2층) 메뉴 -
크로와상,마들렌, 팔미에,미니크로와상,아메리카노,카페라떼,바닐라라떼,카페모카,카라멜 마끼아또,고구마 라떼
~~~~~~~~~~~~~~~~~~~~~~~~~~~~~~~~~~~~~
↜ 비암사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운주산(雲住山)에 있는 삼국시대 에 창건된 사찰.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마곡사(麻谷寺)의 말사이다. 확실한 창건연대는 알 수 없으나 삼국시대에 창건된 절이라고 전하고 있다. 신라 말에 도선(道詵)이 중창하였으며, 그 뒤의 뚜렷한 역사는 전하지 않고 있으나, 조선시대 후기에 편찬된 『전역지(全域誌)』에 비암사가 나오는 것으로 볼 때 그 무렵까지 존속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 뒤 근대에 들어와 극락전 앞뜰에 있는 높이 3m의 고려시대 삼층석탑 정상부분에서 사면군상(四面群像)이 발견되어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1991년 대웅전을 지었으며, 1995년 극락보전을 중수하고 산신각과 요사 2동을 지었다. 1996년 범종각을 짓고 1997년 요사 1동을 지었다.
석상 중 계유명전씨아미타불비상(癸酉銘全氏阿彌陀佛碑像)은 국보 제106호로, 기축명아미타불비상(己丑銘阿彌陀佛碑像)과 미륵보살반가사유비상(彌勒菩薩半跏思惟碑像)은 각각 보물 제367호와 제368호로 지정되어 국립청주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극락보전은 보물로 지정된 정면 3칸, 측면 2칸의 다포집이며, 전내에 아미타불을 안치하였고, 불상 위의 닫집과 조각물들은 그 수법이 우수하다. 이 밖에 사면군상이 발견된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19호인 삼층석탑과 부도 3기가 있다.
~~~~~~~~~~~~~~~~~~~~~~~~~~~~~~~~~~~~~
↜ 연화사 칠존불비상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연화사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시기에 조성된 비상 형태의 불상. 보물.
세종시 연화사 칠존불비상(世宗市 蓮花寺 七尊佛碑像)은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연화사에 있는 통일신라의 조각이다. 1978년 12월 7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650호로 지정되었다.
이 칠존불비상은 반타원형의 납석(蠟石)으로 만들어진 불비상(佛碑像)의 하나로 앞뒤 양면에 조각이 되어 있다.
주형(舟形)의 화강암에 본존여래좌상을 중심으로 협시보살 2구, 인왕상 2구 등 7존(尊)이 새겨져 있다. 본존불(本尊佛)은 심하게 파손되어 있어 자세히 알 수 없으나, 손의 모양과 옷 주름의 형태 등으로 보아 아미타불(阿彌陀佛)로 추정된다. 아미타불은 영원한 수명과 무한한 광명을 보장해주는 부처로 어떤 중생이라도 착한 일을 하고 아미타불을 지극 정성으로 부르면 서방극락의 아름다운 정토(淨土)로 맞아간다고 한다.
본존불의 광배 바깥쪽에는 줄기가 달린 연꽃 위에 가부좌한 화불 3구가 보이는데, 배치간격으로 미루어 원래는 모두 7구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화불 사이의 여백은 사실적인 불꽃 문양으로 메워져 있다.
뒷면 하단에도 앞면에서 연속되는 대석부를 조각하고 그 윗면에 주형광배를 배경으로 여래좌상 1구를 새겼으며, 그 좌우에 계유명전씨아미타불비상에서와 같이 줄기와 잎이 달린 연꽃이 솟아 있다. 연기지역 불교의 높은 수준과 끊이지 않고 이어지는 전통을 헤아려 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이 연화사 칠존불비상은 2010년 7월 9일 칠존석불상에서 명칭이 변경되었다.
~~~~~~~~~~~~~~~~~~~~~~~~~~~~~~~~~~~~~
[주의] 안내도 정보는 이동 경로 구성을 위한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십시오.
현재 탐색 경로가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이 점 양해 바랍니다.
~~~~~~~~~~~~~~~~~~~~~~~~~~~~~~~~~~~~
베어트리파크 안내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