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국 시,군 여행 자료

세종시 ▶세종시계 둘레길 9구간 충신의길&비암사&동림산 트레킹

by 여행을즐기는사람 2023. 1. 20.
728x90

↜ Tracking&Travel 

이 까페는 여행을 즐기는 사람들을 위한 카페입니다.

여행에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 세종시 

 2023년 0월 0일 세종시 관광 트레킹 코스 

↜ 동림산 트레킹 

↜ 동림산(458.2 m)산림욕장자비정사 ↝

↜ 비암사(다비숲공원) ↝ 

2023년 0월 0일(일) 대전심중리 고개 공터 주차장비암사 주차장대전

거리; 약 95.6km, 시간; 약 2시간 30분

~~~~~~~~~~~~~~~~~~~~~~~~~~~~~~~~~~~~~~~

 경로주소 

심중리 고개 공터 주차장; 세종시 전동면 심중리 30-4비암사(다비숲공원) 주차장; 세종시 전의면 다방리 3

~~~~~~~~~~~~~~~~~~~~~~~~~~~~~~~~~~~~

↜ 세종시 

 2023년 0월 0일 세종시 관광 트레킹 코스 

↜ 비암사(다비숲공원) ↝ 

↜ 세종 동림산 트레킹 

↜ 동림산(457.3m)동림산림욕장자비정사 

세종시 신중리와 청주시 홍덕구  동림리, 장동리의 경계에 위치한 동림산(457.3m)은 세종시계 둘레깅 9구간,

충신의길로 명명된 코스

2023년 0월 0일 동림산 트레킹 ▶ 세종시 전동면과 천안시 수신면의 경계/심중리 고개 우측 농장 주차장에 주차세종시계 둘레길 9구간 충신의길 안내간판 이정표(동림산 등산로 1.6km)이정표(고삿재 5.2km, 망경산 4.7km, 동림산 1.6km)임도길표지판(정산 1.100m)가파른 오름길송전탑(동쪽 서청주 부모산 뷰~)이정표(고삿재 4.5km, 망경산 4.0km, 동림산 0.9k m,/심중리(민태절)0.7km)오름길이정표(정상 600m)구절터 갈림길 이정표(동림산 정상0.25km, 상동림 2.0km, 구절터)동림산성 간판,등산로 안내간판무인 산불감시탑&심중리 편입 기념비표지목(동림산 정상, 금성 1.9km)이정표(망경산 정상 3.3km, 심중리 1.6km)동림산(457.3m)묘1기, 무덤을 싸고 있는 돌들은 석축의 흔적들,(동쪽으로 청주 시가지와 멀리 상단산성 뷰~)(동쪽으로 청주시 상단산성 뷰~ )동림산 정상을 축조된 석축산성으로청주시 옥산면과, 세종특별자치시 그리고 천안시에 걸쳐 있으며 남북으로 뻗은 능선과 북서쪽으로 분기한 지맥 및 그 사이의 2개의 계곡을 포위하여 쌓은 산정식 석성으로 둘레 819.5m의 비교적 큰 성이다.)이정표(망경산 정상 2.6km, 동림산 정상 0.7km)목판 계단 오름길(이정표와 말뚝 119안내판)벤치쉼터삼림욕장 갈림길 이정표(망경산 정상 2.2km, 산림욕장 1.0km, 동림산 정상 1.1km)가파른 나무계단 내림길송전탑 봉대리 갈림길 이정표(망경산 정상 1.3km, 봉대리동림산 정상 2.0km봉대리로 하산시멘트포장길Y삼거리에서좌회전시멘트포장길비포장길이정표?표지석동림산림욕장임도 옆으로 쉼터 정자메타세콰이어 길인공암장이 있는 산림욕장삼거리에서우회전이정표 삼거리(산림욕장0.2km,원적사, 자비정사)자비정사방면 진행관음산 자비정사 관람후 입구에서우측 비포장길길끝에서 길없는길로 오르면 임도로 진행민태절골 임도민태절골심동로심중리 고개

거리; 약 9km,  시간; 약 3시간

~~~~~~~~~~~~~~~~~~~~~~~~~~~~~~~~~~~~

↜ 심중리 주변식당에서 점심식사 ↝

맛있는밥상; 044-868-8254, 세종시 전동면 전동로 6 (오징어볶음 강추!)

전동손짜장; 044-868-3399, 세종시 전동면 운주산로 392

(짜장면 6천원, 간짜장, 짬뽕, 짬뽕밥, 볶음밥 7천원, 잡체밥 8천원)

(고추잡체, 팔보체,양장피, 유산슬 3만 5천원, 깐풍육 3만원, 탕수육 1만5천원, 2만원, 2만 8천원 ) 

부부한식당; 867-3170, 주소; (가정식 백반, 부대찌개) 

~~~~~~~~~~~~~~~~~~~~~~~~~~~~~~~~~~~~

 청주 동림산 

충북 청주시 흥덕구 옥산면 동림리에 있는 산으로 높이는 457m이다. 산의 이름은 동쪽에 있는 숲이라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정상부에는 동림산성의 흔적이 남아 있는데 이 산성은 석축산성으로 백제에 의해 처음 축성된 후에 고려시대까지 이용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당시 둘레는 약 819.5m라고도 한다. 한편 동림산은 바로 옆 세종시 망경대과 함께 세종시계 둘레길 제9구간 충신의 길에 속하기도 하며 남서쪽 산 중턱에는 인공암장이 있고 산책 및 여가를 즐길 수 있는 동림산 산림욕장이 조성되어 있기도 하다.

~~~~~~~~~~~~~~~~~

 동림산성 

동림산성(東林山城)은 충청북도 청주시 옥산면 장동리, 동림리에 있는 산성이다. 2001년 12월 11일 성곽 다-10호로 지정되었다가, 2015년 4월 17일 청주시의 향토유적 제22호로 지정되었다.

동림산성은 해발 457m의 동림산 정상에 축조된 석축산성으로 청주시 옥산면과, 세종특별자치시 그리고 천안시에 걸쳐 있으며 남북으로 뻗은 능선과 북서쪽으로 분기한 지맥 및 그 사이의 2개의 계곡을 포위하여 쌓은 산정식 석성으로 둘레 819.5m의 비교적 큰 성이다. 남단의 망대 바로 북쪽 능선에서 지름 5m, 깊이 14m의 역원추형으로 파인 저수시설이 확인된 바 있고, 유물로는 백제계의 토기편과 통일신라~고려중기의 토기 및 기와편이 발견된다. 망대가 성의 남동단에 배치되어 있고, 동벽이 가장 험한 지형을 이룬데다 성벽 안쪽으로 1~2.4m를 삭평하여 도로로 이용한 흔적 등으로 보아 백제에 의해 처음 축성된 후, 고려시대까지 이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

 비암사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운주산(雲住山)에 있는 삼국시대 에 창건된 사찰.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마곡사(麻谷寺)의 말사이다. 확실한 창건연대는 알 수 없으나 삼국시대에 창건된 절이라고 전하고 있다. 신라 말에 도선(道詵)이 중창하였으며, 그 뒤의 뚜렷한 역사는 전하지 않고 있으나, 조선시대 후기에 편찬된 『전역지(全域誌)』에 비암사가 나오는 것으로 볼 때 그 무렵까지 존속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 뒤 근대에 들어와 극락전 앞뜰에 있는 높이 3m의 고려시대 삼층석탑 정상부분에서 사면군상(四面群像)이 발견되어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1991년 대웅전을 지었으며, 1995년 극락보전을 중수하고 산신각과 요사 2동을 지었다. 1996년 범종각을 짓고 1997년 요사 1동을 지었다. 석상 중 계유명전씨아미타불비상(癸酉銘全氏阿彌陀佛碑像)은 국보 제106호로, 기축명아미타불비상(己丑銘阿彌陀佛碑像)과 미륵보살반가사유비상(彌勒菩薩半跏思惟碑像)은 각각 보물 제367호와 제368호로 지정되어 국립청주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극락보전은 보물로 지정된 정면 3칸, 측면 2칸의 다포집이며, 전내에 아미타불을 안치하였고, 불상 위의 닫집과 조각물들은 그 수법이 우수하다. 이 밖에 사면군상이 발견된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19호인 삼층석탑과 부도 3기가 있다.

~~~~~~~~~~~~~~~~~~~~~~~~~~~~~~~~~~~~

↜ 세종시계 둘레길 

1구간; 화합의 길 14.0km - 8.1시간2구간; 큰벼랑 길 17.3km - 10.0시간3구간; 절제의 길 8.7km - 5.1시간

4구간; 개척의 길 13.5km - 7.8시간5구간; 별고개 길 11.8km - 6.8시간6구간; 국사의 길 16.7km - 9.7시간

7구간; 사색의 길 12.3km - 7.1시간8구간; 회복의 길 13.9km - 8.0시간9구간; 충신의 길 13.1km - 7.6시간

10구간; 구자게 길 9.5km -5.5시간11구간; 급제의 길 16.5km -9.5시간12구간; 비단강 길 11.7km -6.8시간

총 계; 159km시간;  92시간

~~~~~~~~~~~~~~~~~~~~~~~~~~~~~~~~~~~~

[주의] 안내도 정보는 이동 경로 구성을 위한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십시오. 

       현재 탐색 경로가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이 점 양해 바랍니다.  

~~~~~~~~~~~~~~~~~~~~~~~~~~~~~~~~~~~~

세종 동림산 안내도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