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향교,박물관,사찰 여행 사진

충북 보은군 ▶속리산 법주사 사찰 여행

by 여행을즐기는사람 2022. 12. 13.

속리산 법주사 사찰 여행 

↜ Tracking&Travel 

이 까페는 여행을 즐기는 사람들을 위한 카페입니다.

여행에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충북 보은군 

속리산 법주사 사찰 여행 

유네스코 세계유산대한불교 조계종 리산 법주사 

~~~~~~~~~~~~~~~~~~~~~~~~~~~~~~~~~~~~~

속리산 법주사 종각에서 셀카 한컷!!! 

속리산 법주사에서 금동미륵대불 한컷!!!

대전 출발→속리산 법주사 주차장; 충북 보은군 속리산면 사내8길 26

법주사 주차장요금; 4천원, 경차; 2천원, 법주사 입장료; 4천원,

~~~~~~~~~~~~~~~~~~~~~~~~~~~~~~~~~~~~

  충북 보은군 

 속리산 법주사 사찰 여행 

 유네스코 세계유산대한불교 조계종 리산 법주사 

2009년 명승으로 지정되었다. 지정면적 19,224,542㎡. 속리산 일원은 우리나라 8경 중의 하나로, 제2금강 또는 소금강으로 불리는데, 4계절의 변화에 따른 경치와 기암·괴석은 절경을 이루고 있고, 대소사찰이 곳곳에 있어 많은 문화유산을 간직하고 있다. 특히, 법주사는 553년에 천축(天竺 : 지금의 인도)으로부터 불경을 가져오던 의신(義信)이 이곳에 이르러 산세가 웅장하고 사방이 험준함을 보고 속세를 떠나 불법의 진리를 펼 곳이라 생각하고 큰 절을 세워 법주사라 하였다고 전한다. 법주사 경내에는 1962년 국보로 지정된 쌍사자 석등을 비롯하여 팔상전(국보, 1962년 지정)·석련지(국보, 1962년 지정)·사천왕석등(보물, 1963년 지정)·마애여래의좌상(보물, 1963년 지정) 등의 많은 문화재들이 보존되어 있다. 일원에는 1973년 사적으로 지정된 보은 삼년산성과 보은 속리 정이품송(천연기념물, 1962년 지정)·보은의 백송(천연기념물, 1962년 지정)·보은 속리산 망개나무(천연기념물, 1968년 지정) 등 천연기념물이 분포하고 있다. → 법주사.

~~~~~~~~~~~~~~~~~~~~~~~~~~~~~~~~~~~~

아래의 제목을클릭! 하시면 1박 2일 관광 트레킹 사진을 보실수 있읍니다.

충북 보은군-속리산 법주사 사찰 여행

 

충북 보은군-속리산 법주사 사찰 여행

◀ 속리산 법주사 사찰 여행 ▶ ↜ Tracking&Travel ↝ 이 까페는 여행을 즐기는 사람들을 위한 카페입니다. 여행에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 충북 보은군 ↝ ◀

pysn5728.tistory.com

충북 보은군-삼년산성 성곽 둘레길 트레킹&말티고개 관광

 

충북 보은군-삼년산성 성곽 둘레길 트레킹&말티고개

◀ 충북 보은군 삼년산성 성곽 둘레길 트레킹&말티고개 전망대 ▶ ↜ Tracking&Travel ↝ 이 까페는 여행을 즐기는 사람들을 위한 카페입니다. 여행에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pysn5728.tistory.com

~~~~~~~~~~~~~~~~~~~~~~~~~~~~~~~~~~~~

아래의 제목을 클릭! 하시면 자세한 안내도와 영상을 보실수 있읍니다.

보은 삼년산성 성곽 둘레길 &말티재&속리산 법주사 트레킹 영상 

보은 삼년산성 성곽 둘레길 &속리산 법주사 트레킹 안내도  

 

보은 삼년산성 성곽 둘레길 &속리산 법주사 트레킹 안내도

유성구MTB잔차여행이 까페는 잔차 여행을 즐기는 사람들을 위한 카페블로그 입니다.여행에많은 도움이 되었으면합니다.~~~~~~~~~~~~~~~~~~~~~~~~~~~~~~~~~~~~- 평화를 지켜낸 삼국의 요새, 삼년산성 -충북

cafe.daum.net

~~~~~~~~~~~~~~~~~~~~~~~~~~~~~~~~~~~~

속리산 법주사로 이동중 한컷!!! 

속리산 법주사로 이동중 기념촬영 한컷!!! 

일주문은 하나로 돌을 깎은 커다란 초석 위에 둥근 심방석(心枋石, 대문의 기둥 밑에 놓은 석재)을 얹고 그 위에 기둥을 세운 다음 겹처마 맞배지붕을 올린 구조이다. 처마 아래에는 호서제일가람(湖西第一伽藍)이라 쓴 현판이 걸려 있다. 이는 충청도를 통틀어 으뜸가는 사찰이라는 뜻이다. 

속리산 법주사로 이동중 셀카 한컷!!! 

속리실기비각(俗離實記碑閣)이라는 편액이 붙은 비각이 있다. 이 비각 안에는 속리산사실기비(俗離山事實記碑)

라는 비석이 모셔져 있다.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67호인 이 비석은 속리산의 내력을 기록한 것이다.

속리산 법주사로 이동중  속리실기비각(俗離實記碑閣) 한컷!!!

속리산 법주사로 이동중 벽암대사비 한컷!!! 

속리산 법주사로 이동중 속리산 법주사 안내도 한컷!!! 

속리산 법주사로 이동중 속리산 법주사 안내도에서 기념촬영 한컷!!! 

속리산 법주사로 이동중 금강문에서 셀카 한컷!!! 

속리산 법주사 금강문에서 한컷!!! 

금강문에서 사천왕문 가는 길 연등 터널 한컷!!! 

금강문(金剛門)은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겹치마 맞배지붕 건물로, 건물 좌우로 나지막한 돌담이 둘러쳐져 있다. 가운데 부분은 통로이고, 내부에는 밀적금강과 나라연금강 등 2기의 금강역사상 및 보현보살 상과 문수보살 상을 안치하고 있다.

속리산 법주사로 이동중 금강문 한컷!!! 

속리산 법주사 사천왕문에서 한컷!!! 

속리산 법주사 금동미륵대불에서 기념촬영 한컷!!! 

속리산 법주사에서 종각 한컷!!! 

속리산 법주사에서 원주실 한컷!!! 

속리산 법주사에서 약수터 한컷!!! 

속리산 법주사에서 팔상전 한컷!!! 

금동미륵대불(金銅彌勒大佛)은 용화정토(龍華淨土)에 이르러 깨달음의 법을 전하는 미래의 미륵부처님의 현신을 상징하는 것이라고 한다. 화강석으로 만든 높이 약 8m의 기단 위에 세운, 높이 25m의 이 청동대불은 국내 불상 가운데 최대규모이며 제작에 소요된 청동이 160톤에 이른다.

속리산 법주사에서 금동미륵대불 한컷!!! 

속리산 법주사에서 석등 한컷!!! 

속리산 법주사에서 한컷!!! 

속리산 법주사에서 원통보전 한컷!!! 

희견보살상은 신사 성덕왕 19년(720년)에 조성된, 향로를 머리에 이고 있는 화강암 입상으로, 부처님에게 향불을

공양하는 희견보살의 모습이다. 높이가 약 2m인 이 상은 보물 제1417호로 지정되어 있다.

속리산 법주사에서 사천왕석등 한컷!!! 

속리산 법주사에서 당간지주 한컷!!! 

진영각(眞影閣)은 법주사를 거쳐간 고승대덕의 초상화를 모시는 전각으로 조사각(祖師閣)이라고도 한다. 

이 건물은 1991년에 신축하였고, 정면 7칸, 측면 3칸의 맞배지붕 건물이다

속리산 법주사에서 진영각 한컷!!! 

대웅보전(大雄寶殿)은 커다란 두 그루의 느티나무 사이로 모습을 드러낸 대웅보전은 면적이 402.8㎡에, 높이가 19m나 되는 큰 규모로서 부여 무량사의 극락전, 구례 화엄사의 각황전과 함께 우리나라 3대 불전의 하나로 손꼽 인다. 보물 제916호

속리산 법주사에서 대웅보전과 사천왕석등 한컷!!! 

사천왕석등(四天王石燈)은 단면이 8각형인 받침돌과 화사석(火舍石), 지붕돌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통일신라 시대의 전형적인 석등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국보인 쌍사자석등에 비해 단순하나, 남성적인 느낌을 주는 높이 3.9m의 석등으로 보물 제15호로 지정되어 있다.

속리산 법주사에서 사천왕석등 한컷!!! 

명부전은 기록에 의하면 이 자리에는 조선 중기까지 지장보살을 모신 지장전이 있었는데, 20세기 초반에 건물이 멸실되었고, 이 건물은 청동대불을 조성하는 과정에서 2003년에 건립되었다고 합니다. 

정면 3칸, 측면 3칸의 맞배지붕 건물이다. 

속리산 법주사에서 명부전 한컷!!! 

속리산 법주사에서 삼성각 한컷!!! 

속리산 법주사에서 금동미륵대불 한컷!!! 

팔상전(5층 목탑)은 국보 제 55호인 법주사 팔상전(捌相殿)이다. 높이가 21.6m나 되는 팔상전은 법주사 창건 당시에 의신대사가 처음 세웠다고 전해지는 데, 신라 혜공왕 12년에 진표율사가 중창했으나 정유재란 당시 불에 탔으며, 인조 2년인 1602년 사명대사(泗溟大師)와 벽암대사(碧巖大師)에 의해 복원된 것이다.

속리산 법주사에서 팔상전(5층 목탑) 한컷!!! 

'쌍사자석등'은 신라 성덕왕 19년(720년)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데, 높이가 약 3m에 이르는 8각의 석등으로 두 마리의 사자가 뒷발로 하대석(下臺石)을 디디고 서서, 앞발과 입으로 상대석(上臺石)을 받치고 있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두 마리의 사자가 디디고 선 하대석은 8각의 지대석 위에 놓여 있으며, 상대석 둘레에는 연꽃잎이 이중으로 새겨져 있다. 이 쌍사자석등은 신라 시대 석등의 전형적인 형태를 보여주는 것으로 신라 시대의 석조예술품 가운데 최고의 걸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국보 제5호로 지정되어 있다.

속리산 법주사에서 쌍사자석등 한컷!!! 

속리산 법주사에서 약사전와 한컷!!! 

속리산 법주사에서 종각 한컷!!! 

속리산 법주사에서 팔상전에서 셀카 한컷!!! 

법주사 당간지주(幢竿支柱)은 22m 높이의 이 당간지주(철당간)는 고려 초인 목종 9년(1006년)에 16m의 높이로 조성된 것인데, 1866년 흥선대원군이 당백전(當百錢)을 주조한다는 명분으로 모든 사찰의 금속물을 징발하는 과정에서 사라졌 다가, 1910년에 다시 조성된 것이다.

속리산 법주사에서 법주사 당간지주(幢竿支柱) 한컷!!! 

석련지(石蓮池)는 통일신라 시대인 8세기 경에 제작된 작품으로 전체적으로 비례가 우수하며 대단히 세련되었습니다. 국보 제64호로 지정되어 있다. 석련지 비각 안에 높이 1.95m, 둘레 6.65m의 석련지(石蓮池)가 들어 있다. 석련지는 돌로 만든 작은 연못으로 예전에는 물을 담고 연꽃을 띄워 두었다고 한다.

속리산 법주사에서 석련지(石蓮池) 한컷!!! 

속리산 법주사에서 비각 한컷!!! 

능인전은 임진왜란 당시에 불타 없어진 것을 1624년(인조 2년)에 벽암대사가 중건했다. 법당 안에는 석가여래불을 중심으로 좌우에 미륵보살과 갈라보살을 협시했으며 16 나한상을 안치되어 있다. 뒷쪽 벽면은 유리창으로 만들어서 뒤에 있는 세존사리탑(世尊舍利塔)이 보이도록 한 구조이다.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 232호 이다.

속리산 법주사에서 능인전(能仁殿) 세존사리탑(世尊舍利塔) 한컷!!! 

석조는 거대한 화감석을 깎고 속을 파내서 만든 화강암 물통이다. 길이가 4.46m 이고, 폭이 2.42m로 쌀 80 가마를 담을 수 있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석조라고 한다. 신라 성덕왕 1년(720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이 석조는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 70호로 지정되어 있다.

속리산 법주사에서 석조 한컷!!! 

속리산 법주사 마애여래의상에서 기념촬영 한컷!!! 

속리산 법주사에서 마애여래의상 한컷!!! 

마애여래의상 그 한 면에 전체 높이 5m, 폭 2.27m에 달하는 거대한 마애불상이 새겨져 있다.

'마애여래의상(磨崖如來倚像)' 이라는 이름의 이 마애석불은 법주사의 성격을 규정해주는 미륵불상으로 고려 시대에 조각된 대표적인 마애불상이며, 고려 초기의 마애불상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보물 제 216호 이다.

속리산 법주사에서 마애여래의상(磨崖如來倚像) 한컷!!! 

속리산 법주사에서 마애여래의상 바위 한컷!!! 

속리산 법주사 마애여래의상 바위에서 셀카 한컷!!! 

속리산 법주사 마애여래의상에서 기념촬영 한컷!!! 

속리산 법주사에서 법주사 부도전 한컷!!! 

속리산 법주사관람후 계곡에서 셀카 한컷!!! 

속리산 법주사관람후 사실기비에서 셀카 한컷!!! 

속리산 법주사관람후 사실기비에서 한컷!!! 

속리산 법주사관람후 계곡에서 한컷!!! 

속리산 법주사관람후 수정교(水晶橋) 한컷!!! 

속리산 법주사관람후 계곡에서 셀카 한컷!!! 

속리산 법주사관람후 계곡에서 수정교(水晶橋)배경으로 기념촬영 한컷!!! 

속리산 법주사관람후 입구에서 기념촬영 한컷!!! 

속리산 세조길 조형물에서 기념촬영 한컷!!! 

속리산 작은문장대에서 기념촬영 한컷!!! 

속리산에서 주차장으로 이동중 사리탑 한컷!!! 

속리산에서 주차장으로 이동중 계곡에서 기념촬영 한컷!!! 

속리산에서 주차장으로 이동중 기념탑에서 기념촬영 한컷!!! 

대전으로 이동중 속리 정이품송 한컷!!! 

대전으로 이동중 속리 정이품송에서 셀카 한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