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계곡, 호수공원 트레킹 사진

충남 부여군 ▶부여 궁남지시↝부여 정림사지5층석탑↝구드래조각공원 안내

by 여행을즐기는사람 2022. 10. 11.

 충남 부여군 

부여 궁남지부여 정림사지5층석탑구드래조각공원 여행 

~~~~~~~~~~~~~~~~~~~~~~~~~~~~~~~~~~~~

부여 궁남지 연꽃 한컷!!!

↜ Tracking&Travel 

이 블로그는 여행을 즐기는 사람들을 위한 블로그 입니다.

여행에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대전부여 궁남지 주차장; 충남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152-1정림사지5층석탑 주차장; 부여군 부여읍 정림로 83

구드래조각공원 주차장; 충남 부여군 부여읍 구교리 18-5대전

거리; 140.0km,  시간; 약 2시간 30분소요,  통행료; 약 4,400,  주유비; 21,596

~~~~~~~~~~~~~~~~~~~~~~~~~~~~~~~~~~~~

충남 부여군 

부여 궁남지시부여 정림사지5층석탑구드래조각공원 여행 

~~~~~~~~~~~~~~~~~~~~~~~~~~~~~~~~~~~~

부여 궁남지 

궁남지(宮南池)는 충남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117번지 일대에 위치한 백제 사비시대의 궁원지(宮苑池)이다. 별궁 인공 연못으로, 《삼국사기》의 기록을 근거로 궁남지라 부른다. 연못의 동쪽 일대에는 대리석을 팔각형으로 짜 올린 어정, 기와편, 초석(礎石)이 남아 있다. 1964년 대한민국 사적 제135호로 지정되었다.

궁남지에 대해서 《삼국사기》〈백제본기〉 무왕 35년(634년)에 '3월에 궁성(宮城) 남쪽에 연못을 파고 물을 20여리나 되는 긴 수로로 끌어들였으며, 물가 주변의 사방에는 버드나무를 심고, 연못 가운데에는 섬을 만들어 방장선산(方丈仙山)을 본떴다'고 되어 있다. 백제 웅진(熊津)시대의 왕궁이었던 공산성(公山城) 안에서는 당시의 것으로 판단되는 연못이 왕궁터로 추정되는 건물터와 함께 발굴된바 있다.

《삼국사기》무왕 37년조에는 "8월에 망해루(望海樓)에서 군신(群臣)들에게 잔치를 베풀었다"는 기록이 있다. 39년조(年條)에는 "3월에 왕이 왕궁(王宮)의 처첩(妻妾)과 함께 대지에서 배를 띄우고 놀았다"는 기록이 있다. 이로써 궁남지는 처음 만들어질 때 붙은 이름이 아니고 백제시대에는 단지 대지라고 불렸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뱃놀이를 할 수 있을 만큼 규모가 컸을 것으로 보인다. 규모에 대한 정확한 기록은 없으며 현재는 1만평 정도만 남아 있다.

《삼국사기》 의자왕(義慈王) 15년조에 "2월에 태자궁(太子宮)을 지극히 화려하게 수리하고 왕궁 남쪽에 망해정(望海亭)을 세웠다"는 기록이 있다.

일본서기에는 궁남지의 조경(造景) 기술이 일본에 건너가 일본 조경의 시초가 되었다고 전하고 있다.

~~~~~~~~~~~~~~~~~~~~~~~~~~~~~~~~~~~~

 부여 정림사지5층석탑 

정림사지에 있는 백제의 5층석탑. 전체적으로 보존상태가 좋은 편이며, 석탑의 구조는 기단 위에 탑신부가 있고 상륜부는 복발을 제외하고는 모두 없어졌다. 백제를 멸망시킨 당나라의 장수 소정방이 1층 탑신에 "대당평백제국비명"이라고 새겨놓아 당시의 수난을 엿볼 수 있다. 일본에 현존하는 호류 사 5층탑과도 비교된다.

정림사지에 있는 백제의 5층석탑. 국보(1962.12.20 지정). 높이 833㎝. 전체적으로 보존상태가 좋은 편이며, 석탑의 구조는 기단 위에 탑신부가 있고 상륜부는 복발을 제외하고는 모두 없어졌다. 기단은 단층으로 얕으며 각 면에는 우주와 탱주가 모각되어 있다. 1층 탑신은 4개의 우주를 별석으로 세우고 그 사이에 2매의 면석을 끼웠는데, 우주는 목조건축의 기둥에서처럼 위는 좁고 아래는 넓게 표현되어 있다.

백제를 멸망시킨 당나라의 장수 소정방이 1층 탑신에 "大唐平百濟國碑銘"이라고 새겨놓아 당시의 수난을 엿볼 수 있다. 2층의 옥신 높이가 현격히 줄어들었지만 3층부터는 체감률이 완만하다. 옥개석은 얇고 넓으면서 끝이 약간 반전되어 있고, 층급받침은 2단으로 얕게 표현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정림사지 탑은 큰 규모의 석조물이면서도 경쾌한 느낌을 주며, 마치 다층누각 형태의 목조건물을 보는 듯하다.

일본에 현존하는 호류 사[法隆寺] 5층탑과도 비교된다. 이 석탑은 목조를 석조로 변형해 만든 것으로 익산 미륵사지석탑과 함께 백제뿐 아니라 삼국시대의 석탑 연구의 매우 귀중한 예이다.

~~~~~~~~~~~~~~~~~~~~~~~~~~~~~~~~~~~~

구드래조각공원 

부소산 서쪽 끝자락에 있는 구드래는 백마강과 어울려 빼어난 경승을 이루고 조각공원이 잘 꾸며져 있어 많은 사람들이 즐겨찾는 휴식공간이다. 구드래 나루는 백제시대에 도성인 사비성을 출입하는 항구와도 같은 큰 나루였으며, 현재는 백마강을 오르내리는 유람선의 선착장으로 주변에는 토속음식이나 별미를 즐길 수 있는 식당들이 많이 있다.1985년도에 국민관광단지로 조성된 구드래에는 옛 백제인의 조각 기술을 이어받은 지역 출신 유명 조각가 작품 30점과 1999년도 국제현대조각 심포지움에 참가한 국내·외 유명 조각가의 작품 29점 등 총 59점의 조각 작품으로 옛 정취와 함께 현대적인 아름다움을 함께 갖춘 공원을 조성하여 관광객에게 상시 개방,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이 곳은 부여 사람들의 휴식처이기도 하며, "백마강과 물새가 울고, 일엽편주 돛단배를 홀로 저어가는 사공"으로 시작하여 널리 알려진 '백마강 달밤 노래비'가 세워져 있다. 백제시대 왕을 부를 때 지배족은 어라하(於羅瑕), 백성은 건길지라 하였다. 구드래는 '구ㄷ으래' 로 '구(大)'가 왕칭어인 어라하에 접두하고 두말사이에 지격촉음인 'ㄷ'이 끼어들어 '구ㄷ어라하' 가 되고 다시 줄어들어 '구ㄷ으래(구드래)'로 변천한 것으 로 볼 수 있다. 또한 '구드래'는 '大王'의 의미로 일본서기(서기 720년 편찬)에 백제를 '구다라'로 부른 대목이 많이 나타나는데 이 '구다라' 도 大王國이란 뜻으로 높여 부른 것이라 할 수 있다.

~~~~~~~~~~~~~~~~~~~~~~~~~~~~~~~~~~~~

아래의 제목을 클릭! 하시면 안내도 보실수 있읍니다. 

 

부여 성동공원 궁남지 연꽃 한컷!!!

부여 궁남지에서 기념촬영 한컷!!!

부여 궁남지에서 연꽃 한컷!!!

부여 궁남지에서 기념촬영 한컷!!!

부여 궁남지 한컷!!!

부여 궁남지에서 연못 한컷!!!

부여 궁남지 산책중에서 한컷!!!

부여 궁남지에서 연못 한컷!!!

부여 궁남지에서 돗단배 한컷!!!

부여 궁남지 산책중 한컷!!!

부여 궁남지에서 그네 한컷!!!

부여 궁남지에서 연꽃 한컷!!!

부여 구드래조각공원에서 한컷!!!

부여 구드래조각공원에서 왕흥사지 한컷!!!

부여 구드래조각공원에서 구드래나루터 한컷!!!

부여 구드래조각공원에서 한컷!!!

부여 정림사지5층석탑 한컷!!!

부여 정림사지5층석탑옆 연못 한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