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국 시,군 여행 자료

전남 화순(2박3일)여행자료▶서유리공룡발자국화석산지↝물염정↝창랑적벽전망대↝적벽관광지↝환산정↝충의사↝모산마을고인돌↝운주사↝쌍봉사↝유마사

by 여행을즐기는사람 2024. 9. 30.
728x90

화순 서유리 공룡발자국화석 산지  물염정  창랑적벽 전망대  적벽관광지  환산정  충의사

 모산마을고인돌  운주사  쌍봉사  유마사  능주 삼충각  정암조광조선생 유배지

 만연저수지+만연사  만연사 산림공원 

↜ Tracking&Travel 

이 까페는 여행을 즐기는 사람들을 위한 카페입니다.

여행에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 전남 화순 

 2024년 0월 0일(1일차) 전남 화순 관광 트레킹 

화순 서유리 공룡발자국화석 산지 ↝ 물염정(물염적벽뷰~) ↝ 창랑적벽 전망대 ↝ 

무등산권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적벽관광지+망향정+보산적벽)(화순적벽+이서적벽+노루목적벽)

 ↝ 환산정 ↝ 화순 충의사+최경회장군사당

~~~~~~~~~~~~~~~~~~~

 2024년 0월 0일(2일차) 전남 화순 관광 트레킹 

화순 세계거석테마파크(효산리 모산마을고인돌나군+화순고인돌선사체험장)  

운주사(칠성바위앞칠층석탑+와불+연화탑+칠층석탑+대웅전앞다층석탑+불사바위+발형다층석탑

+원형다층석탑+석조불감앞칠층석탑+석조불감+층상응회암+쌍교차문칠층석탑+구층석탑) 

 쌍봉사(공양간설법천중창불사+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 유마사(해련탑) ↝ 능주 삼충각(화순성화명도로수축시주목록암각기문) 

↝ 정암조광조선생 유배지+정암조광조선생 적려유허비

~~~~~~~~~~~~~~~~~~~

 2024년 0월 0일(3일차) 전남 화순 관광 트레킹 

↜ 동구리 호수공원+만연저수지+동구리호수공원+만연사 ↝ 만연사 산림공원+수만리 생태숲공원 

↜ 만연저수지 둘레길 트레킹 

화순 세계거석테마파크에서 한컷!!! 

아래의 제목을 클릭! 하시면 안내도와  관광 개요 내용  보실수 있읍니다.

 

~~~~~~~~~~~~~~~~~~~~~~~~~~~~~~~~~~~~~~~~~~~~~~

 2024년 0월 0일(1일차) 전남 화순 관광 트레킹 

0월 0일(금) 대전 출발  화순 서유리 공룡발자국화석 산지 주차장  물염정 주차장  창랑적벽 전망대 주차장  적벽투어 이서 커뮤니티센터 주차장  환산정 주차장  화순 충의사 주차장  더원비즈니스무인호텔

거리; 254.6km시간; 4시간 30분, 통행료; 약 7,900원, 주유비; 약 37,507원

~~~~~~~~~~~~~~~~~~~~~~~~~~~~~~~~~~~~~~~~~~~~~~

 1일 경로주소 

화순 서유리 공룡발자국화석 산지 주차장; 전남 화순군 백아면 백아로 2080 ↝ 물염정 주차장; 전남 화순군 이서면 물염로 161 ↝ 창랑적벽 전망대 주차장; 전남 화순군 이서면 창랑리 산 9-9  적벽투어 이서 커뮤니티센터 주차장; 전남 화순군 이서면 백아로 3114 ↝ 환산정 주차장; 전남 화순군 동면 서성리 139-4 ↝ 화순 충의사 주차장; 전남 화순군 동면 충의로 409 ↝ 더원비즈니스무인호텔; 전남 화순군 도곡면 온천1길 77 &호텔타타미; 전남 화순군 도곡면 온천1길 108

~~~~~~~~~~~~~~~~~~~~~~~~~~~~~~~~~~~~~~~~~~~~~~

↜ 전남 화순군 

 2024년 0월 0일(1일차) 전남 화순 관광 트레킹 

화순 서유리 공룡발자국화석 산지 ↝ 물염정(물염적벽뷰~) ↝ 창랑적벽 전망대 ↝ 

무등산권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적벽관광지+망향정+보산적벽)(화순적벽+이서적벽+노루목적벽)

 ↝ 환산정 ↝ 화순 충의사+최경회장군사당

2024년 0월 0일(1일) 화순  관광 트레킹 코스 

~~~~~~~~~~~~~~~~~~~~~~~~~~~~~~~~~~~~

 화순 서유리 공룡발자국화석 산지 

화순 서유리 공룡발자국화석 산지(和順 西酉里 恐龍발자국化石 産地)는 전라남도 화순군 북 서유리에 위치한 공룡발자국 화석산이다. 2007년 11월 9일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487호로 지정되었다. 남해안 공룡 화석지에 포함되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잠정목록에 등재되었다. 약 57개 육식공룡(수각류) 발자국들의 긴 보행렬(최대52m)이 나타나고 있는 등 육식공룡 발자국 보행렬이 단일지역에서 매우 길게 집중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대형과 중형 두가지 유형의 육식공룡 발자국과 초식공룡(용각류, 조각류) 발자국이 혼재하여 약 1,500여점 이상이 발견되고 있는 매우 특징적인 지역이다. 규화목 및 식물화석, 서로 다른 종류의 생활흔적화석과 땅이 페말라 지표면이 갈라진 화석, 물결화석 등 퇴적구조가 대규모 산출되고 수평적 퇴적층리가 아주 잘 되어 있어 학술적 가치가 높은 화석지이다.

~~~~~~~~~~~~~~~~~~~~~~~~~~~~~~~~~~~~

 물염정 

방랑시인 김삿갓이 생을 마쳤던 전남 화순지역의 대표적인 정자 물염정은 화순적벽에서 3km 상류에 위치한다. 병풍처럼 둘러 친 물염적벽의 기암절벽과 소나무숲의 운치, 그리고 깊은 계곡과 단애의 풍치를 정자 위에서 바라보고 있노라면 마치 신선이 노닐던 선경속으로 빠져들게 할 만큼 멋진 절경을 연출한다. 최근에는 김삿갓(본명 김병연)과 관련하여 그의 석상과 시비가 물염정 입구에 조성되어 관광객의 흥미를 더하고 있다.

~~~~~~~~~~~~~~~~~~~~~~~~~~~~~~~~~~~~

 설렘화순 적벽투어(이서) 코스 

예약은 투어일 2주전 오전 9시부터 화순군청이나 설렘화순 버스투어 누리집(http://tour.hwasun.go.kr)에서 할 수 있다. 한 사람이 8명까지 예약할 수 있다.

커뮤니센터 버스정류장1전망대(거북섬)2전망대(보산, 노루목적벽)화순적벽(망향정,망미정)커뮤니센터 버스정류장

운행시간; 09;20분, 12;40분, 14;50, 접수; 당일 현장 선착순접수,

 [접수 가능인원; 본인포함 한 사람이 8명까지] (소요시간; 2시간)

예약; 투어일 2주전 오전 9시부터 ~ 투어일 2일전 16;00까지 가능 화순군청이나 설렘화순 버스투어 누리집(http://tour.hwasun.go.kr) 에서할 수 있다.

문의; 061)379-3504, 3505(상담원 09;00~18;00), 1:1문의 게시판을 이용해 문의해주세요.

 제1착으로 장항(노루목)적벽과 보산적벽 

이서커뮤니티센터 적벽투어버스장-미개방 구간 4.8km 중 (제1전망대(거북섬 뷰~)제2전망대에서 내려다 보는(보산적벽, 뒤에 옹성산(해발 573미터) 아래 장항(노루목)적벽 뷰~)화순적벽을 통해 하늘로 오르는 통천문과 돌탑대나무숲장항(노루목)적벽을 가까이서 바라볼 수 있는 망미정 정자(철옹산성을 배경으로 높이 100여미터의 절벽이 이어져 있는 장항(노루목)적벽 뷰~)광주시민의 상수원이었던 동복댐 건설로 수몰된 사람들을 위한 망향정동복댐 건설(1971년)로 수몰민이 된 마을을 기리는 망향대, 적벽동천 헌성비, 적벽동천기, 적벽 홍보관

~~~~~~~~~~~~~~~~~~~~~~~~~~~~~~~~~~~~

 화순 적벽 

화순 적벽은 동복댐 상류에서부터 약 7km 구간에 형성된 절벽경관을 말하는데 대표적인 것으로는 동복댐 상류에 있는 물염적벽, 창랑적벽, 보산적벽, 장항적벽(일명 노루목 적벽) 등 4개의 군으로 나뉘어 있다. 이중 노루목 적벽은 높이 90m 직각으로 깎아지른 듯 솟아 있는 화순 적벽이 예부터 수려한 경관을 자랑하던 곳으로 1519년 기묘사화 후 동복으로 유배 왔던 신재 최산두가 이곳의 절경을 보고 중국의 적벽보다 아름답다하여 적벽이라 명명하였다. 1574년 무등산을 돌아보고 유서석록이라는 기행문 속에 적벽을 기록으로 남긴 제봉 고경명 선생, 석천 임억령 선생은 이곳을 신선이 사는 곳 이라하여 적벽동천이라 명하였고, 하서 김인후 선생은 적벽시를 읊었고, 1777년(정조1년)에 화순 현감이었던 아버지를 따라 화순을 왔던 16살의 다산 정약용 선생도 적벽에서 시를 읊음으로써 오래전부터 많은 시인 묵객들이 노래했던 천하 명승지이다. 또한 적벽의 수려한 경관에 반하여 전국을 떠돌던 방랑시인 김병연(일명 김삿갓)이 이곳을 수차례에 찾아와 적벽을 노래하다 인근의 구암리에서 숨을 거두었다.

방랑시인 김삿갓도 머물게한 비경 - 화순적벽

전남 화순군 이서면 창랑리, 보산리, 장학리 일대 7km에 걸쳐 있는 붉은 절벽을 화순적벽에는 노루목적벽, 보산적벽, 창랑적벽, 물염적벽이 있는데 통칭해서 화순적벽이라 부른다.

~~~~~~~~~~~~~~~~~~~~~~~~~~~~~~~~~~~~

 환산정(環山亭) 

환산정(環山亭)은 전라남도 화순군 동면 서성리에 있는 건축물이다. 2007년 1월 5일 화순군의 향토문화유산 제35호로 지정되었다.

환산정(環山亭)은 1637년 백천(百泉) 류함(柳涵) 선생이 창건한 정자(亭子)로, 방 1칸의 소박한 초정(草亭)이었는데, 1896년 중건(重建), 1922년 1차 중수(重修), 1935년 1차 보수(補修), 1958년 2차 보수(補修), 2010년 2차 중수(重修)하였다.

공(公)의 휘는 함(涵)이요 자는 자정(子淨)이며, 호는 백천(百泉)으로 본관은 문화류씨(文化柳氏)이다. 공은 이괄 변란(李适變亂,1624)에 족손(族孫) 백석(白石) 류집(柳楫)과 함께 의병을 모집하여 양호(兩湖)로써 근왕(勤王)의 계획을 세웠고, 정묘호란(丁卯胡亂,1627)에는 조카 류응량(柳應良)과 함께 전라도(全羅道)에서 의병을 일으켰으며, 병자호란(丙子胡亂,1636)에는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평양(平壤)에서 순절한 백형(伯兄) 홍(泓)이 썼던 보검(寶劒)을 차고, 화순(和順)에서 거의(擧義)하여 맹주(盟主)로서 의병을 이끌고 청주(淸州)까지 올라갔다가 화친(和親)의 소식을 듣자 통곡하고, 돌아와서 환산정(環山亭)을 짓고 절속(絶俗)하였다.

산자수명(山紫水明)을 자랑하는 환산정(環山亭)은 백천(百泉) 선생의 우국지한(憂國之恨)을 삭이던 곳으로 소요하며 때때로 시를 읊었다. 공이 정자를 세우고 운(韻)을 부쳤으니 “마당엔 외로운 소나무 섬돌엔 국화 진나라 율리 사는 도연명에게 배웠네. 세상이 시끄러워 처음 계획 어긋나니 산수 그윽한 곳에 만년의 정 의탁했네. 봄가을의 나뭇잎에도 나이를 잊었지만 마음속엔 일월로 황명을 보존했네. 날 추워야 늦게 시듦 그 누가 안다 했나. 산 늙은이 세월 따라 불평도 사그라지는 걸(庭有孤松階有菊 學來栗里晉先生 乾坤磊落違初計 山水幽閒托晩情 葉上春秋忘甲子 心中日月保皇命 歲寒後操其誰識 時與山翁和不平 )”라고 하였다.

공은 벼슬을 멀리하고 오직 후학들의 강학(講學)에 진력하며 성리학에 전심하면서, 당대 문장가였던 지봉(芝峯) 이수광(李睟光) 우복(愚伏) 정경세(鄭經世) 등과 더불어 도의(道義)로 사귀고 이기(理氣)로 문답하여 <사서설(四書說)>을 남겼다. 공(公)의 시문(詩文)은 “낙하절창(洛下絶唱)이요, 남중독보(南中獨步)”라고 평을 받을 정도로 단아하고 진솔하다. 90세가 넘은 부모를 극진히 모셔 백천효자(百泉孝子)로도 이름이 높았다. 언동사(彦洞祠)에 배향(配享)되었다.

현재의 환산정은 정면 5칸 측면 2칸의 전퇴(前退)를 둔 남향(南向)의 평면 형식이다.

환산정(環山亭) 편액은 원교(園嶠) 이광사(李匡師)선생의 갈필(渴筆) 작품이며, 연화부수형(蓮花浮水形)의 광취명당(廣聚明當)이다. 亭內에는 16개의 현판이 있다.

~~~~~~~~~~~~~~~~~~~~~~~~~~~~~~~~~~~~

 화순 충의사(최경회장군) 

충의사는 임진왜란 당시 의병을 일으켜 많은 전공을 세우고 제2차 진주성 싸움에서 삼장사의 일원으로 순국한 최경회 선생의 호국정신을 기리기 위한 곳이다. 선생의 자는 선우, 호는 삼계, 당호는 일휴당이며 본관은 해주로서 화순에서 태어났다. 1567년(명종22)문과에 급제한 뒤 성균관 전적, 사헌부 감찰, 형조좌랑, 옥구.장수.무장현감, 영암군수, 영해.담양부사 등 내외 관직을 지냈다. 1591년 어머니 상으로 관직을 떠나 고향에서 시묘하고 있을 때,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경운, 경장 두 형과 아들 홍기, 조카 홍재, 홍우와 함께 의병청을 설치하고 수천의 의병을 일으켜 전라우도 의병장이 되어 상복차림으로 북상하여 금산.무주의 왜적을 격퇴하였다.

~~~~~~~~~~~~~

 최경회장군 사당 

임진왜란시 제2차 진주성 싸움에서 활약한 최경회(1532~1593) 장군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조선 순조 때 세운 이 사당은 처음에 능주목 동면 금전리에 세웠다가 1963년 금전 저수지 축조로 지금 있는 자리에 옮겨 세웠다.

최경회 장군은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전라남도 능주에서 태어났다. 명종 16년(1561) 생원시에 합격하였으며, 1567년에는 과거에 급제하였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모집하여 일본군을 장수에서 막아 싸웠고 금산에서 퇴각하는 적을 공격하여 격파하였다. 선조 26년(1593) 6월 왜군이 진주성을 다시 공격하자 창의사 김천일 등과 함께 진주성을 지켰으나 9일만에 함락되고 남강에 투신 자살하였다. 시호는 충의(忠毅)이다. 건물은 앞면 3칸·옆면 2칸 규모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으로 꾸몄다.

~~~~~~~~~~~~~~~~~~~~~~~~~~~~~~~~~~~~

  도고온천 주변 숙박지 

더원비즈니스무인호텔; 061-371-5000, 전남 화순군 도곡면 온천1길 77, 예약 정보; 야놀자

(스탠다드 4만원, 디럭스트윈 - 1객실 1주차 6만원)

유한회사 므네모; 061-372-8965, 전남 화순군 도곡면 온천1길 28-50 예약 정보; 야놀자

(스탠다드더블킹베드, 클래식더블킹베드, 프리미엄더블킹베드(라텍스,구스이불,넷플릭스) 6만원, 

넷플릭스전용관(넷플릭스&유튜브,우퍼사운드) 6만원,  

화순 므네모 무인호텔; 전남 화순군 도곡면 온천1길 28-50, 예약 정보; 인터파크투어

(넷플릭스 시청 전용관, 클래식 더블-킹베드, 스탠다드 더블-킹베드, 프리미엄 더블-킹베드 5만 7천원)

므네모 무인호텔; 061-372-8969, 전남 화순군 도곡면 온천1길 28-50

(스탠다드 더블-킹베드, 클래식 더블-킹베드,  프리미엄 더블-킹베드 5만 5천원)

호텔타타미 무인텔; 061)375-5511, 전남 화순군 도곡면 온천1길 108, 

야식 룸써비스; 피자나 스낵 기타 술과 안주류.

(준특실A(복층,대형욕조,하늘창) 4만원, 특실 싱글+퀸배드 6만원, 특실 복층/월플 6만원)

쉼무인호텔; 061-373-0044, 전남 화순군 도곡면 온천2길 51-1 

(스탠다드 더블,  클래식 더블, 비지니스 더블 5만 5천원)

퀸무인텔; 061-375-7711, 전남 화순군 도곡면 온천1길 28-5, 

예약 정보; 야놀자 (일반실 4만원, 특실 5만원)

신라무인텔; 061-375-8777, 전남 화순군 도곡면 온천1길 18-9

(일반실 (쿠쿠 직수정수기,일체형 비데) 4만원, 스위트룸, VIP 트윈룸, 프리미엄 준특실 5만원)

애니텔모텔; 061-375-5533, 전남 화순군 도곡면 온천1길 28-19

(일반실 3만 5천원, 특실 4만 5천원, VIP 5만 5천원)

~~~~~~~~~~~~~~~~~~~~~~~~~~~~~~~~~~~~

 주변 맛집 ↝

 2024년 0월 0일(2일차) 전남 화순 관광 트레킹 

0월 0일(토) 더원비즈니스무인호텔 출발  화순 세계거석테마파크 주차장  운주사 주차장  쌍봉사 주차장  유마사 주차장  능주 삼충각 주차장  정암조광조선생 유배지 주차장  더원비즈니스무인호텔

거리; 134.9km시간; 3시간, 통행료; 약 0원, 주유비; 약 19,873원

~~~~~~~~~~~~~~~~~~~~~~~~~~~~~~~~~~~~~~~~~~~~~~

 2일 경로주소 

화순 세계거석테마파크 주차장; 전남 화순군 도곡면 효산리 153  운주사 주차장; 전남 화순군 도암면 천태로 91-44  ↝ 쌍봉사 주차장; 전남 화순군 이양면 증리 738 ↝ 유마사 주차장; 전남 화순군 사평면 유마리 282-1 ↝ 능주 삼충각 주차장; 전남 화순군 능주면 잠정리 산 33-1  정암조광조선생 유배지 주차장; 전남 화순군 능주면 정남리 221 ↝ 더원비즈니스무인호텔; 전남 화순군 도곡면 온천1길 77  &호텔타타미; 전남 화순군 도곡면 온천1길 108

~~~~~~~~~~~~~~~~~~~~~~~~~~~~~~~~~~~~~~~~~~~~~~

↜ 전남 화순군 

 2024년 0월 0일(2일차) 전남 화순 관광 트레킹 

화순 세계거석테마파크(효산리 모산마을고인돌나군+화순고인돌선사체험장)  

운주사(칠성바위앞칠층석탑+와불+연화탑+칠층석탑+대웅전앞다층석탑+불사바위+발형다층석탑

+원형다층석탑+석조불감앞칠층석탑+석조불감+층상응회암+쌍교차문칠층석탑+구층석탑) 

 쌍봉사(공양간설법천중창불사+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 유마사(해련탑) ↝ 능주 삼충각(화순성화명도로수축시주목록암각기문) 

↝ 정암조광조선생 유배지+정암조광조선생 적려유허비

2024년 0월 0일(2일) 화순 관광 트레킹 코스 

~~~~~~~~~~~~~~~~~~~~~~~~~~~~~~~~~~~~

 화순 세계거석테마파크 

화순군(군수 구충곤)이 5년간 추진 중인 세계거석테마파크 조성 사업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어 오는 4월 준공을 앞두고 있다. 화순군 도곡면 효산리에 있는 세계거석테마파크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고인돌 유적지의 관광 자원 확충 사업 중 하나다.

세계 대표 거석 조형물 7종과 10개국의 거석 안내판 등을 설치해 거석문화 체험 공간으로 조성한다. 이 사업에 국비와 군비 등 총 50억 원이 투입됐다. 이스터섬 모아이 석상, 인도 우산돌, 프랑스 로체 돌멘 등 거석 조형물을 조성했다. 라테스톤, 사부섬 고인돌, 스톤헨지 등 거석 안내판도 설치했다. 특히, 콜롬비아의 산 아구스틴 돌멘, 북한 관산리 고인돌, 중국 석붕, 인도 우산돌, 아프리카 환상열석은 원형 크기로 제작하고 원석과 비슷한 석재를 사용해 최대한 원형에 가깝게 재현했다. 현재 7개국의 거석 조형물과 10개국의 거석 해설판이 설치되었고 쉼터, 관리사 등이 조성됐고 조경 공사가 한창이다. 군은 세계거석테마파크가 인근의 고인돌 오토캠핑장, 고인돌 선사체험장, 고인돌 정원 조성사업 등을 연계한 선사 거석문화의 메카로 거듭날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

 운주사 

조계종 제21교구 송광사의 말사로 운주사라고도 한다. 신라말 도선국사가 풍수지리에 근거해 비보사찰로 세웠다는 설이 있다. 출토된 유물로 볼 때 늦어도 11세기 초에는 건립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1530년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운주사는 천불산에 있는 절로 석조감실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고 1984년 발굴조사에서 '홍치 8년'이라 새겨진 기와편이 발견되어 조선 초기까지는 존속했던 것으로 보인다. 정유재란으로 폐사된 것을 1800년 경 설담자우가 불상과 무너진 불탑을 세우고 약사전 등을 중건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주변에 91구의 석불(완형 50구)과 21기의 석탑 등이 흩어져 있다. 대표적 유물은 석조불감(보물 제797호)·9층석탑(보물 제796호)·원형다층석탑(보물 제798호)·와불 등이다.

~~~~~~~~~~~~~~~~~~~~~~~~~~~~~~~~~~~~

 쌍봉사 

2001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쌍봉사 대웅전에 봉안되어 있는 목조 석가여래좌상 및 가섭존자상과 아난존자상이다. 이 불상과 동시에 제작된 쌍봉사 극락전 아미타여래좌상의 대좌 밑바닥에 쓰인 「발원문」에 “……강희(康熙) 33년 미타전에 미타(彌陀)와 좌우 관음(觀音)·대세지보살(大勢至菩薩)을, 삼층보전에 석가(釋迦)와 아난(阿難)·가섭존자(迦葉尊者)를 봉안하였다. … 금어질 색난(色蘭), 모현(慕賢), 득우(得牛)…”라 적혀 있어 1694년(숙종 20)에 색난, 모현, 득우 등이 불상을 조성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 삼존불상이 봉안되어 있는 삼층목탑형인 대웅전은 1690년에 중수되었음이 해체 보수 때 상량문을 통하여 밝혀졌으나, 이 전각은 1984년에 화재로 소실되었다. 다행히 법당 내부의 불상은 화재를 피해 1986년 새로 복원된 대웅전 내에 다시 봉안되었다.

~~~~~~~~~~~~~~~~~~~~~~~~~~~~~~~~~~~~

 유마사 

유마사는 시원 계곡과 울창한 수림에 둘러싸여 있다.유마사는 당나라에서 건너온 유마운과 그의 딸 보안이 창건했다. 전설에 따르면 보안 처녀와 그를 겁탈하려는 젊은승 사이에 한판 승부가 벌어졌는데 보안이 제월천에 잠긴 달을 건져 젊은승을 굴복시켰다고 한다. 그리고 보안 처녀가 치마에 바위를 싸다가 놓았다고 한다.홍건적의 침입을 피해 숨어 들었다는 공민왕의 이야기도 전해온다. 시원한 물소리를 내며흐르는 계곡에 발 담그고 옛 사람들이 즐기던 탁주를 음미해 볼 수 있는 곳이 모후산이다. 유마사의 단풍과 해련부도 주변의 풍광은 특히 가을에 아름답다. * 해련부도(보물); 고려 초기 부도의 전형적인 모습을 담고 있다. 중석 받침의 복련은 각각의 모서리마다귀꽃을 조각하여 장식하고 있다.

~~~~~~~~~~~~~~~~~~~~~~~~~~~~~~~~~~~~

 능주 삼충각(綾州三忠閣) 

능주 삼충각(綾州三忠閣)은 1593년 6월 제2차 진주성 전투에서 일본군과 싸우다가 순국한 최경회, 문홍헌, 그리고 이보다 앞선 1555년의 을묘왜변 때 달량포에서 전사한 조현 등 3인의 충절을 표창하기 위해 1685년(숙종 11)에 건립한 3동의 정려건물이다. 삼충각 전면을 바라볼 때 좌측 건물이 최경회의 정려1) 이며 가운데가 조현의 정려, 오른쪽이 문홍헌의 정려이다. 3동 모두 거의 같은 구조의 정면 1칸, 측면 1칸의 맞배집이다. 내부에는 비(碑) 없이 정려현판만 걸려 있다. 삼충각 건물 3동은 그리 높지 않은 절벽 바위 위에 있으며, 그 앞으로는 충신강(忠臣江)이 흐르고 있다. 삼충각은 1985년 2월 25일 전라남도 기념물 제77호로 지정되었다. 창령 조씨 문중에서 관리하고 있다.

~~~~~~~~~~~~~~~~~~~~~~~~~~~~~~~~~~~~

  도고온천 주변 숙박지 

더원비즈니스무인호텔; 061-371-5000, 전남 화순군 도곡면 온천1길 77, 

예약 정보; (야놀자 예약) (스탠다드 4만원, 디럭스트윈 - 1객실 1주차 6만원)

호텔타타미 무인텔; 061)375-5511, 전남 화순군 도곡면 온천1길 108, 

야식 룸써비스; 피자나 스낵 기타 술과 안주류.

(준특실A복층,대형욕조,하늘창4만원,특실큰방5만원,특실싱글+퀸배드6만원,특실복층/월플6만원)

~~~~~~~~~~~~~~~~~~~~~~~~~~~~~~~~~~~~

 주변 맛집 ↝

 2024년 0월 0일(3일차) 전남 화순 관광 트레킹 

0월 0일(일) 더원비즈니스무인호텔 출발동구리 호수공원 주차장만연사 산림공원 주차장대전

거리; 210.3km시간; 3시간, 통행료; 약 10,100원, 주유비; 약 30,980원

~~~~~~~~~~~~~~~~~~~~~~~~~~~~~~~~~~~~~~~~~~~~~~

 3일 경로주소 

동구리 호수공원 주차장; 전남 화순군 화순읍 동구리 18-3  만연사 산림공원 주차장; 전남 화순군 화순읍 수만리 715

~~~~~~~~~~~~~~~~~~~~~~~~~~~~~~~~~~~~~~~~~~~~~~

↜ 전남 화순군 

 2024년 0월 0일(3일차) 전남 화순 관광 트레킹 

 동구리 호수공원+만연저수지+동구리호수공원+만연사  만연사 산림공원+수만리 생태숲공원 

 만연저수지 둘레길 트레킹 

2024년 0월 0일(3일) 화순 관광 트레킹 코스 

~~~~~~~~~~~~~~~~~~~~~~~~~~~~~~~~~~~~

 화순 정암 조광조선생 적려 유허비 

전체 높이 295㎝, 비신 높이 164㎝, 너비 81㎝, 두께 29㎝. 전라남도 기념물 제41호. 이 비는 능주향교로 들어가는 도로변에 위치하고 있는데, 조광조가 1519년(중종 14) 기묘사화 때 이곳에서 귀양살이한 것을 추모하기 위하여 1667년(현종 8) 능주목사 민여조가 세운 것이다. 비는 귀부와 비신·이수를 갖춘 완형이다. 귀부는 완전한 형태가 아니라 자연석에 가까운 암석으로 귀부 형태만 갖추었고, 귀두(龜頭)도 형상만 다듬었다. 비신은 전면에 ‘靜菴趙光祖先生謫廬遺墟追墓碑(정암조광조선생적려유허추묘비)’라 크게 음각하고, 뒷면에 유배 내력을 기록하였다. 비문은 송시열(宋時烈)이 짓고, 전면의 글씨는 민유중(閔維重)이 썼으며, 후면은 송준길(宋浚吉)이 썼다. 이수는 반원형인데 전면에 쌍룡이 어우러져 있으며 배면은 한 마리의 용이 구름을 타고 오르는 모습을 하고 있다. 비각(碑閣)은 정면 1칸, 측면 1칸 맞배지붕으로 창방과 평방을 두르고 우물천장을 하였으며 방풍판을 부착하였다. 이 비각은 1984년에 보수하고 그 후 1986년 정면 5칸, 측면 2칸의 강당과 정면 3칸, 측면 1칸의 영정각(影幀閣)을 새로이 건립하여 영정을 봉안하였으며, 귀양살이 당시의 초가도 복원하였다.

~~~~~~~~~~~~~~~~~~~~~~~~~~~~~~~~~~~~

↜ 만연저수지(萬淵貯水池) 

만연제(萬淵堤)라고도 한다. 1945년 준공되었으며, 제방 형식은 흙으로 둑은 쌓은 토언제(土堰堤)이다. 유역 면적 264ha, 수혜 면적 55ha, 만수 면적 4ha이며, 유효 저수량은 22만t이다. 제방 길이는 165m, 제방 높이는 13m이다. 저수지 주변의 빈터에 공원을 조성하여 만연제호수공원이라 부른다. 저수지 주변을 둘러싼 산책로와 맨발로 걸으면서 지압을 즐길 수 있는 지압보도를 비롯하여 전망대와 정자, 쉼터 등을 갖추어 지역 주민들에게 휴식공간을 제공한다. 또 주변의 만연산에는 생태숲과 산림욕장이 조성되어 있다.

~~~~~~~~~~~~~~~~~~~~~~~~~~~~~~~~~~~~

 만연사(萬淵寺) 

화순 만연사 괘불탱(和順 萬淵寺 掛佛幀)

화순 만연사 괘불탱(和順 萬淵寺 掛佛幀)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화순군 만연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탱화이다. 2002년 7월 2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345호로 지정되었다. 이 괘불은 1793년에 금어(金魚) 비현(丕賢)과 편수(片手) 쾌윤(快允)·도옥(道玉) 3명이 그렸다. 좌·우에 여의(如意)를 든 문수보살과 연꽃 줄기를 든 보현보살이 시립한 석가삼존불입상 형식으로, 삼존(三尊)의 크기가 서로 같지만 본존불은 신체에 비해 얼굴이 크고 협시보살은 얼굴이 작아 늘씬하다.

용·당초·파도 문양 등의 문양과 영락장식이 화려한 이 괘불탱은, 특히 보살의 하의에 마치 청화백자 문양처럼 흰바탕에 청색안료로 대나무·죽순·소나무·기암괴석 등을 묘사하고 있어 특징적이다. 비록 18세기 말 조성의 작품이기는 하지만 전통적인 면을 고수하면서 화려한 문양과 짙은 채색·유 려한 필선 등에서 독보적인 경지가 엿보이고 있어 주목된다. 화순 만연사 동종은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동구리, 만연사에 있는 동종이다. 2005년 1월 15일 화순군의 향토문화유산 제23호로 지정되었다.

~~~~~~~~~~~~~~~~~~

 만연사 동종 

동종은 사찰에서 불교 의식에 사용되는 공예물로써 일반적으로 시간을 알리거나 또는 일반 대중 법회 때 사용되고 있다. 만연사 범종은 “順治十七年 庚子 四月”이라는 명문이 있어 그 주조연대가 1660년(현종1)에 주조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먼저 범종의 하단에는 폭 80cm의 하대를 돌리고 그 내부에 인동당초문을 새겼다. 종신 중앙 위의 표면의 4방으로는 유곽을 구획하였는데 방형의 유곽 내에는 당초문을 시문하고 그 안에 유두 9개를 배치하였다. 유두 외곽에는 4엽의 화문을 장식하 다소 간략화 된 것이다. 사방의 유곽사이에는 두광을 갖춘 보살입상 4구가 새겨졌으며 보살입상과 유곽사이에는 위패형 액좌를 구획하고 글자를 명문하였다. 상단으로 올라와서는 상대부분에 범자 18자를 원형으로 돌려 새겨넣었고 그 위로는 천판이 이어지는데 12엽 복련을 장식하였다. 용뉴는 두 마리의 용이 서로 꼬리부분을 뒤틀어 붙들고 있으며 앞발은 발톱 3개씩이 돌출하여 종신의 천판부분에 부착되게 하였다. 이는 종을 끈을매어 걸때 종의 무게를 지탱케 해주고 있다 할 것이다. 용두는 턱 밑에 역린이 있고 머리 뒤쪽으로는 뿔 세줄기가 돌출하고 있어 생동감을 보여주고 있다. 한가지 특이한 것은, 여의주가 입속에 있는 것이 아니고 용뉴 정상부분인 뒷다리 부분에 고착되어 있다. 음통은 생략되고 그 대신 천판 표면에 조그마한 구멍(직경 3.5cm)을 뚫어 놓았다. 이는 조선시대후기 범종에서 거의 같은 형태로 나타나고 있는 현상이다. 특히 범종을 주조하는데 총감독격인 鑄匠 金龍岩이란 자와 글씨를 판각한 刻手인 印哲, 一彦, 贊云 등이 기록되고 있는데, 이들 모두가 승려 신분임이 확인된 것은 주목 할만한 일이다.

~~~~~~~~~~~~~~~~~~

↜ 화순 만연사 선정암 목조관음보살좌상 

화순 만연사 선정암 목조관음보살좌상(和順 萬淵寺 禪定庵 木造觀音菩薩坐像)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선정암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이다. 2011년 12월 20일 전라남도의 문화재자료 제277호로 지정되었다.

화순 만연사 선정암 목조관음보살좌상은 보존상태도 우수하고 17세기 후반의 양식적 특성을 잘 보여주고 있는 불상이다. 화려한 보관과 상호는 둔박한 얼굴로 상하가 사각형, 통견의 천의, 손 모습은 중품하생인(中品下生印)을 하고 있으며, 어깨를 덮고 내려온 천의 자락, 그리고 무릎을 덮은 군의 주름선이 매끈하며 미려하다.

복장이 원형으로 전하지 않아 확실한 조성연대를 알 수 없지만 제작 수법으로 보아 17세기 후반경 삼인(三忍)의 작품과 유사성을 보이고 있다. 전남지방에서 17세기 불상이 문화재로 지정된 경우는 모두 연대가 확인되는 작품이고 또 삼존불인 경우가 대부분으로(서동사, 불갑사, 달성사) 보살의 단독상인 경우가 없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양식상으로는 제작시대나 작가가 추정될 정도로 확연한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미진한 점이 있어 문화재자료로 지정하여 보존관리할 필요성이 있다.

~~~~~~~~~~~~~~~~~~~~~~~~~~~~~~~~~~~~

↜ 수만리 생태숲공원 

화순은 산이 높고 골이 깊어 물이 풍부하며, 적벽(절벽)으로도 이름난 고장이다. 화산읍 수만리서 큰 재를 지나 안양산까지 이어지는 수만리 생태숲 공원은 한국의 알프스라고 불릴 만큼 뛰어난 경관을 자랑한다. 수만리는 물촌, 새터, 만수, 중지 등 4개의 자연 마을로 이루어져 있는데,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어 사계절 언제나 산세가 웅장하고 수려해, 가만히 있어도 힐링이 되는 풍경이 장관이다. 단풍나무숲과 철쭉나무숲으로 이어지는 여러 갈래의 산책로에는 나무데크가 잘 조성되어 있고, 중간중간 쉬어갈 수 있는 쉼터도 있어 산책하기 좋다. 나무냄새, 흙냄새를 맡으며 걷는 길이 아름다워 자연의 기운을 느끼기에 더할 나위 없이 좋다.

~~~~~~~~~~~~~~~~~~~~~~~~~~~~~~~~~~~~~~~

[주의] 안내도 정보는 이동 경로 구성을 위한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십시오. 

       현재 탐색 경로가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이 점 양해 바랍니다.  

~~~~~~~~~~~~~~~~~~~~~~~~~~~~~~~~~~~~

화순 서유리 공룡발자국화석 산지 안내도 

화순 물염정 안내도 

화순 적벽투어 안내도 

화순 환산정 안내도 

화순 충의사(최경회장군사당) 안내도 

화순 세계거석테마파크 안내도 

화순 운주사 안내도 

쌍봉사 안내도 

유미사 안내도 

화순 능주 삼충각 안내도  

화순 정암 조광조선생 적려 유허비 안내도 

동구리 호수공원만연사(자연산자유의숲마연산 오감연결길)만연산 산림공원(수만리 생태숲공원) 안내도 

동구리 호수공원 안내도 

만연사(자연산자유의숲마연산 오감연결길) 안내도 

만연산 산림공원(수만리 생태숲공원안내도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