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국 시,군 여행 자료

충남 부여 여행 자료 ▶부여 금성산+조왕사↝수북정+자온대↝부산서원+대재각+부산+각서석↝천정대+한국농어촌공사 호암양수장↝백제문화단지 여행자료

by 여행을즐기는사람 2023. 2. 9.
728x90

↜ Tracking&Travel 

이 까페는 여행을 즐기는 사람들을 위한 카페입니다.

여행에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충남 부여 

 2023년 0월 0일 부여 관광 트레킹 

부여 금성산+조왕사수북정+자온대부산서원+대재각+부산+각서석천정대+호암양수장백제문화단지

 2023년 0월 0일 부여 관광 트레킹 

2023년 0월 0일(수)대전부여 금성산+조왕사 주차장수북정&자온대 주차장대재각+부산+각서석 주차장

천정대&호암양수장백제문화단지 주차장1대전

 거리; 약 143.1km, 시간; 약 3시간 30분소요,  주유비; 약 23,080

~~~~~~~~~~~~~~~~~~~~~~~~~~~~~~~~~~~~~~~

 경로주소 

부여 금성산+조왕사충남 부여군 부여읍 계백로 334-47수북정+자온대 주차장; 부여군 규암면 규암리 152-1

↝부산서원+대재각+부산+각서석 주차장; 부여군 규암면 진변로 138천정대 주차장; 부여군 규암면 호암리 33-2

&호암양수장 주차장; 부여군 규암면 호암리 141-2백제문화단지 주차장; 부여군 규암면 합정리 164-1

~~~~~~~~~~~~~~~~~~~~~~~~~~~~~~~~~~~~~~~

 충남 부여 

 2023년 0월 0일 부여 관광 트레킹 

 부여 금성산+조왕사수북정+자온대부산서원+대재각+부산+각서석천정대+호암양수장백제문화단지 

2023년 0월 0일 부여 관광 트레킹 코스

~~~~~~~~~~~~~~~~~~~~~~~~~~~~~~~~~~~~~~~

 부여 조왕사 석탑 

부여 조왕사 석탑(扶餘 朝王寺 石塔)은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에 있다. 1995년 6월 1일 부여군의 향토문화유산 제13호로 지정되었다. 1987년 7월 23년 폭우로 인하여 노출되어 발견되었다.

고려시대 석불(금성산 석불좌상)이 현존한 사찰에서 발견된 석탑으로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있다.

~~~~~~~~~~~~~~~~~~~~~~~~~~~~~~~~~~~~~~~

 수북정&자온대 

수북정은 부여팔경(扶餘八景)의 하나로 경치가 매우 아름다운 곳이다. 동에는 부소산(扶蘇山)과 나성(羅城)이 있고 정자 밑에는 백마강(白馬江)이 맑게 흐르고 있다. 수북정은 조선 광해군(1608∼1623) 때 양주(楊州) 목사(牧使) 김흥국(1557∼1623)이 건립하였다 하며, 그의 호를 따서 수북정이라 불린다. 김흥국(金興國)은 김장생(金長生), 신흠(申欽) 등과 친교가 매우 깊었으며, 지금도 신흠의 수북정(水北亭) 팔경시판(八景詩板)이 걸려 있다. 수북정은의 구조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집이다.
* 왕의 행차를 반기는 바위, 자온대 *
수북정 아래쪽에 있는 자온대(自溫臺)는 백제시대왕이 왕흥사(王興寺)에 행차할 때 이 바위를 거쳐가곤 했는데, 왕이 도착할 때마다 바위가 저절로 따뜻해져서 구들돌이라 명명했다 한다. 이 전설에 따라 자온대라 불려오며, 암벽에는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의 자온대(自溫臺)라고 쓴 친필이 음각 유존(遺存)되어있다.

~~~~~~~~~~~~~~~~~~~~~~~~~~~~~~~~~~~~~~~

 부산 각서석 

부산 각서석(浮山 刻書石)은 충청남도 부여군 백마강가 암벽에 새긴 글씨로, 조선 후기의 문신인 이경여(1585∼1657 ) 선생의 의지를 후손에 알리고자 쓴 것이다. 1976년 1월 8일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47호로 지정되었다. 부여군 백마강가 암벽에 새긴 글씨로, 조선 후기의 문신인 이경여(1585∼1657 ) 선생의 의지를 후손에 알리고자 쓴 것이다. 조선 효종 때 영의정을 지내던 백강 이경여 선생은 효종 8년(1657) 병자호란의 치욕을 씻고자 이완·송시열과 함께 청나라를 쳐야한다는 상소를 올렸다. 왕은 ‘경의 뜻이 타당하고 마땅하지만 진실로 마음이 아프나 뜻을 실현하기에는 너무 늦다’라는 답장을 내렸는데, 청나라에서 그를 벼슬에서 물러나게 하도록 간섭하여, 결국 그는 부여로 낙향하였다. 그 후 우암 송시열이 이 내용을 여덟 자로 써서 후손에게 전하였고, 숙종 26년(1700) 그의 손자 이명이 그 글을 바위에 새긴 후, 바위 위에 건물을 세워 ‘대재각(大哉閣)’이라 하였다. 글씨의 필체가 힘차고 강건하여 금석문의 자료로도 소중한 가치를 지니며, 당시 벼슬을 그만두고 초야에 내려와서도 북벌계획을 왕과 협의하고 토론하던 늙은 재상의 굳은 의지가 고스란히 전해온다.

~~~~~~~~~~~~~~~~~~~~~~~~~~~~~~~~~~~~~~~

 백제문화단지 

충청남도 부여군에 위치한 백제문화단지는 찬란한 문화의 꽃을 피우던 백제역사문화의 우수성을 세계에 알리고자 건립한 한국 최대 규모의 역사테마파크이다. 넓은 부지 위에 웅장한 백제문화의 흔적이 남았다. 백제의 왕궁인 사비궁은 삼국시대 왕궁의 모습을 최초로 재현했다. 백제의 왕실 사찰 능사는 부여읍 능산리 유적을 실물 크기로 복원했다. 중문인 대통문을 지나 마주하는 능사 오층석탑은 단지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건축물이다. 위례성은 한성백제 시기의 성으로 사비궁과는 다른 시대 백제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제형루에 올라서면 단지 전체가 한눈에 들어온다.

~~~~~~~~~~~~~~~~~~~~~~~~~~~~~~~~~~~~~~~

 천정대 

천정대(天政臺)는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호암리에 있는 백제 때에 재상을 선출하던 곳이다. 1984년 7월 26일 충청남도의 기념 제49호로 지정되었다.

백제 때에 재상을 선출하던 곳이다. 고대에서부터 신성시 해온 성스러운 곳으로, 부소산 취령봉 꼭대기의 범바위(호암)라 부르는 넓적한 암반, 근처 절벽 아래에 있는 임금바위, 신하바위라 부르는 바위가 솟아 있는 이 일대를 천정대라 칭하고 있다. 삼국유사에 따르면 천정대를 ‘정사암(政事岩)’이라 불렀는데, 이는 나라에서 재상을 뽑을 때, 3∼4명의 후보 이름을 적어 상자 안에 넣어두고 며칠 후 열어보아 이름 위에 도장이 찍힌 사람을 재상으로 삼았기 때문이라고 한다. 또한 임금바위, 신하바위 위에서는 임금과 신하가 각각 하늘에 제를 올리고 기원했다는 전설도 같이 전하고 있다. 하늘을 받들고 섬기던 부족사회로의 풍습이 백제 때에도 여전히 남아 재상임명 등 나라의 중대사를 결정하는 일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지이다.

~~~~~~~~~~~~~~~~~~~~~~~~~~~~~~~~~~~~~~~

 부여송국리유적 ↝

부여 송국리에 있는 청동기시대 집터 유적이다. 하천과 평지에 인접한 낮은 구릉과 대지 위에 100여 기 이상의 집터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집터는 평면 형태에 따라 둥근 것과 긴 네모꼴인 것이 있다. 둥근 집터는 30∼150cm 깊이로 땅을 파서(수혈식주거지) 만들었으며, 한쪽 벽을 얕게 파서 문를 만든 듯하다. 화덕자리가 발견되지는 않았지만 다수의 저장용 구덩이가 발견되었다. 바닥 중앙에 1m 내외의 긴 타원형 구덩이를 파고 그 구덩이 안에 몇 개의 둥근 구덩이를 만들었다.네모꼴 집터는 30㎝ 미만으로 땅을 판 반움집이나 지상식에 가까운 것으로 기둥구멍이 발견되지 않았으나, 주춧돌이 있는 발달된 집 형태를 하고 있다. 집터 안에서는 토기와 석기가 많이 출토되었다. 토기는 무문 토기와 붉은 토기(홍도), 검은 간토기(흑도)가 나왔다.무문토기는 납작한 밑,긴 달걀형의 몸체, 목이 없이 아가리가 밖으로 약간 꺾인 모습을 하여 이전의 무문 토기와 달라 송국리식토기라 불린다. 돌칼, 돌화살촉, 방추차, 돌도끼를 비롯하여 다양한 석기들도 출토되었다. 그 밖에 많은 양의 불탄쌀과 벽체에 세웠던 판자가 불탄채로 나오기도 하였고, 청동도끼 거푸집(동부용범)이 출토되었다. 청동도끼 거푸집은 부채날형 청동도끼의 틀로서 요령지역의 것과 닮은 것이다. 집터 서쪽에는 우리 나라에서 처음으로 무문토기 가마터가 확인되었다. 송국리집터에서 나오는 유물은 출토유물로는 서까래의 흔적을 비롯, 비파형동검(琵琶形銅劍) ·붉은간토기 ·민무늬토기 ·돌도끼 ·대팻날 ·끌 ·돌낫 ·돌검 ·숫돌 등 다양하다. 이러한 유물을 토대로 기원전7∼6세기전에 농경과 수렵에 기반을 둔 사람들에 의해 만들어진 것으로 추측 되며, 청동기 시대 사람들의 생활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

[주의] 안내도 정보는 이동 경로 구성을 위한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십시오. 

       현재 탐색 경로가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이 점 양해 바랍니다.  

~~~~~~~~~~~~~~~~~~~~~~~~~~~~~~~~~~~~

부여 관광 트레킹 코스 안내도 

부여 조왕사~금성산 안내도 

부산서원~대재각 부산 각서석 안내도 

부여 천정대 안내도 

백제문화단지 안내도 

부여 능산리고분군 안내도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