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국 시,군 여행 자료

충남 예산 여행자료▶봉수산 임조성 성곽 둘레길&수덕사↝정해사↝대흥향교 관광 트레킹 여행자료

by 여행을즐기는사람 2023. 2. 8.
728x90

↜ Tracking&Travel 

이페이는 여행을 즐기는 사람들을 위한 카페입니다.

여행에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 충남 예산 

 2023년 0월 0일 충남 예산 관광 트레킹 코스 

↜ 봉수산 임조성 성곽 둘레길 트레킹 

↜ 대련사남문지기점북동치북서치임존성남문지대련사 ↝

↜ 수덕사↝정해사 관광 트레킹 

수덕여관금갈문사천왕문수덕사소림초당향운각금선대정해사견성암선수암환희대

2023년 0월 0일(수) 대전 월평동 출발수덕사 주차장봉수산 임조성 주차장대흥향교 주차장대전

거리; 약 201.6km, 시간; 약 4시간

~~~~~~~~~~~~~~~~~~~~~~~~~~~~~~~~~~~~~~~

 경로주소 

수덕사 주차장; 충남 예산군 덕산면 사천리 산 29-3봉수산 임조성 주차장; 예산군 광시면 봉수산로 220-67&

충남 예산군 광시면 마사리 산 28대흥향교 주차장;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 교촌향교길 88

~~~~~~~~~~~~~~~~~~~~~~~~~~~~~~~~~~~~

↜ 충남 예산 

 2023년 0월 0일 충남 예산 관광 트레킹 코스 

↜ 예산 봉수산 임조성 성곽 둘레길 트레킹&수덕사정해사 관광 트레킹 

~~~~~~~~~~~~~~~~~~~~~~~~~~~~~~~~~~~~

↜ 봉수산 임조성 성곽 둘레길 트레킹 

↜ 대련사남문지기점북동치북서치임존성남문지대련사 ↝

2023년 0월 0일 예산 임조성 성곽 둘레길 트레킹  봉수산 임조성(백련사 코스)

대련사 주차장남문지임종성 이정표(의좋은 형제공원 4.50km, 백련사 0.6km)오른쪽 소나무길로 진행산불초소와 북동치 정자복동치에서 바라본 뷰~(예당호와  뒷쪽 오서산 방향 뷰~)이정표(봉수산 정상0.2km)임존성 방향으로 진행북서치에서 하산길에 뷰~임종성 조망점(오서산 방향 뷰~)나무로 만든 2층 팔각정자남문지 이정표(남문지 1.2km, 대련사 0.6km)대련사로 하산대련사

거리; 약 4km,  시간; 약 2시간

(북동치에서 바라보는 예당호, 북서치에서 360도 멋진뷰, 그리고 임존성과 산성 위에서 보이는 오서산이 뷰~)

~~~~~~~~~~~~~~~~~~~~~~~~~~~~~~~~~~~~~

↜ 수덕사↝정해사 관광 트레킹 

수덕여관금갈문사천왕문수덕사소림초당향운각금선대정해사견성암선수암환희대

2023년 0월 0일 수덕사정해사 관광 트레킹 ▶ 주차장원담대종사 부도탑부도전일주문수덕여관금갈문사천왕문수덕사 승가대학수덕사 대웅전(조인정사, 무하당, 법고각, 법종사, 청린당, 백련당, 수덕사 템프스테이, 화소굴, 삼층석탑, 명부전, 엄화실, 심우당)소림초당관음보살입상향운각U턴금선대정해사U턴견성암선수암환희대주차장

거리; 약 5km,  시간; 약2시간소요

~~~~~~~~~~~~~~~~~~~~~~~~~~~~~~~~~~~~~

↜ 봉수산 임조성 ↝

봉수산(鳳首山)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 광시면과 홍성군 금마면 경계에 있는 산이다. 높이는 483m. 대흥산(大興山)이라고도 불린다. 정상 부근에 임존성(사적 제90호)이 남아있다. 

사적 제90호. 봉수산과 그 주위의 봉우리를 둘러싸고 있어 봉수산성이라고도 한다. 둘레가 약 2.5㎞이며 현재 남아 있는 북동쪽 성벽 높이는 4.2m, 서쪽 성벽 높이는 2.6m이고 너비는 1.6m이다. 그밖에 성문·수구문·우물터·건물터 등이 남아 있다. 이 성은 한산의 주류성과 함께 백제 부흥운동의 중심지였다. 660년(의자왕 20) 백제가 나당연합군에게 패망한 뒤, 복신과 도침이 일본에 가 있는 왕자 풍을 왕으로 받들어 주류성에서 거병하는 한편 흑치상자는 임존성에서 군사를 일으켰다. 복신은 한때 사비성을 포위하기도 했으나 전세가 불리 해져 임존성으로 후퇴해 흑치상지와 힘을 모았다. 그러나 유인궤 등이 이끄는 나당연합군의 공격과 백제부흥군 내부의 분열로 말미암아 여러 성이 차례로 함락되고 최후로 임존성마저 함락됨으로써 백제부흥운동은 막을 내렸다.

~~~~~~~~~~~~~~~~~~~~~~~~~~~~~~~~~~~~~

↜ 수덕사 ↝

대한불교조계종 제7교구의 본사이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백제말 숭제법사가 창건하고 고려 공민왕 때 나옹이 중수했다고 하며, 일설에는 백제 599년(법왕 1)에 지명법사가 창건하고 원효가 중수했다고도 한다.  조선시대말에 경허가 선풍을 일으킨 뒤 1898년(고종 35) 그의 제자인 만공의 중창으로 번성하여 현재 36개 말사를 관장하고 있다.

* 주요문화재 *

수덕사대웅전(국보), 수덕사3층석탑(지방유형문화재), 수덕사7층석탑 육괴정, 황하루, 근역성보관, 사리탑 외

수덕사 주차 요금; 승용차 2천원, 승합차 3천원, 대형차 5천원, (무료주차 10분)/ 수덕사 입장료; 3천원

~~~~~~~~~~~~~~~~~~~~~~~~~~~~~~~~~~~~~

↜ 대흥향교 ↝

1405년(태종 5)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그 뒤의 역사는 전하지 않으며,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성전(大成殿)·명륜당·동무(東廡)·서무(西廡)·삼문 등이 있다. 대성전에는 5성(五聖), 10철(十哲), 송조6현(宋朝六賢)의 위패가, 동무·서무에는 우리나라 18현(十八賢)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조선시대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전적·노비 등을 지급받아 교관 1인이 정원 30인의 교생을 가르쳤으나, 갑오개혁 이후 신학제 실시에 따라 교육적 기능이 없어지고, 봄·가을에 석전(釋奠)을 봉행(奉行)하며 초하루·보름에 분향을 하고 있다. 이 향교의 대성전은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72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전교 1명과 장의(掌議) 수명이 운영을 담당하고 있다.

~~~~~~~~~~~~~~~~~~~~~~~~~~~~~~~~~~~~

[주의] 안내도 정보는 이동 경로 구성을 위한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십시오. 

       현재 탐색 경로가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이 점 양해 바랍니다.  

~~~~~~~~~~~~~~~~~~~~~~~~~~~~~~~~~~~~

 봉수산 임조성 안내도 

수덕사-정헤사, 금선대, 향운각, 관음보살입상, 소림초당, 염불원, 수덕여관 안내도 

728x90